
돼지 써코바이러스(PCV2)는 돼지 생식기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PRRSV)나 마이코플라즈마 하이오뉴모니아(M. hyo) 등 다른 병원체와 복합감염될 경우, 체내에서 PCV2 복제가 증가하며 돼지 써코바이러스 연관 질병(PCVAD, 더 알아보기)을 더욱 쉽게 유발해 문제를 악화시킨다.
PCVAD는 이러한 병원체적 요인뿐 아니라 돈사 시설, 위생 상태, 방역 수준 등 다양한 환경적 요인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또한 온도 변화, 과밀 사육, 합사, 소음, 이동 등 돼지가 생애 동안 경험하는 여러 환경적 스트레스는 면역계를 억제해 질병 감수성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PCV2는 농장에서 반드시 철저히 관리해야 할 주요 병원체 중 하나이다.
더 효과적인 PCV2 컨트롤을 위해 번식돈에도 써코백신을 접종하자!
자돈에게 써코백신을 접종하는 것만으로는 농장의 써코바이러스(PCV2)를 완벽하게 컨트롤하기 어렵다. 자돈 백신이 돼지 써코바이러스 연관 질병(PCVAD)에 대해 분명한 예방 효과를 보이지만, 자돈 단계에서만의 방어로는 한계가 있다.
농장 내 전체적인 질병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동시에 번식성적 개선까지 기대하기 위해서는 번식돈(후보돈, 모돈, 웅돈)에도 정기적으로 써코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자돈 백신이 커버하지 못하는 부분을 보완하며, 농장 전체의 면역 수준을 한층 강화하는 핵심 전략이 된다.
“써코백신 모돈 접종은 농장 내 써코바이러스 컨트롤에 도움이 될까요?” 이 질문을 중심으로 세바코리아 카카오채널을 통해 현장에서의 의견을 들어보았다. 그 결과, 응답자의 약 86.4%가 “도움이 된다”고 답해, 대부분이 모돈 써코백신 접종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써코백 모돈 접종은 농장 생산성 개선의 디딤돌이다!
세바의 돼지 써코바이러스(PCV2) 백신인 써코백(더 알아보기)을 모돈과 후보돈에 접종하면 능동 면역 반응이 형성된 후, 초유를 통해 자돈에게 모체이행항체가 전달된다. 이러한 항체는 PCV2와 관련된 림프조직 병변과 폐사율을 낮춰 자돈 피해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써코백 접종군과 비접종군의 PCV2 PCR 항원검사 결과를 비교한 연구에서, 써코백을 접종한 모돈 그룹은 모두 음성이었으나,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그룹에서는 4.17%의 모돈에서 분만 시기에 PCV2 DNA가 검출되었다. 이는 써코백 모돈 접종이 수직감염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낮춘다는 점을 시사한다.
더불어 모돈의 번식 성적 개선 효과도 보고되었다.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모돈 그룹과 비교하였을 때, 써코백 접종군에서는 평균 생존산자수가 1.3두 증가하였으며, 복당 이유자돈 수도 0.8두 더 많았다(Oliver-Ferrand, 2017).
PCV2 컨트롤 치트키, 써코백 모자돈 접종!
써코백을 경쟁사 제품과 함께 ‘자돈 접종(21일령)’, ‘모돈+자돈 접종’, ‘모돈만 접종’ 형태로 적용한 뒤, 공격접종 당일인 56일령에 자돈의 그룹별 중화항체 수준을 비교한 결과, 써코백 접종군은 경쟁사 백신 접종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중화항체가를 보였다(P < 0.05).
또한, 모돈에 백신을 접종한 후 태어난 자돈에게 써코백을 추가로 접종하였을 때에도 모체이행항체에 의한 간섭 없이 충분한 면역반응이 유도됨을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써코백은 경쟁사 제품 대비 모돈 접종 시에도 훨씬 우수한 면역 효과를 나타냈다.
써코백, 모돈과 자돈 모두에 접종 가능한 유일한 써코백신!

써코백은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써코백신 중 유일하게 모돈과 자돈 모두에 접종이 허가된 백신이다. 써코백은 써코바이러스 전체(Whole virus)를 항원으로 포함하고 있어, 다양한 변이주에 대해서도 효과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경쟁사 백신들과 달리, 써코백은 써코바이러스 복제에 관여하는 ORF1을 함유하고 있다. 이로 인해 써코바이러스 혈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림프절을 확실히 보호하는 검증된 써코백신으로 평가된다.
현재 써코바이러스 컨트롤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지금 바로 모돈에 써코백을 적용해보자!

※ 위 기고 내용과 관련하여 궁금하신 사항은 세바코리아 (070. 8277. 4747 / 카카오톡채널: 세바코리아(바로 가기) / ceva.korea@ceva.com)로 문의주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