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인공지능 시대, '종이'는 최소화하고 '디지털'이 기본이어야

  • 등록 2025.11.23 21:45:53
크게보기

인공지능 기술 도입 발전으로 정보 검색 방법이 단어에서 문장(대화)으로 달라지고 있음...산업·기업 마케팅 전략 달라져야

"새로운 PRRS 바이러스의 농장 내 유입을 막을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일까?"

"여름철 돼지를 조기 출하하기 위한 사료 관리는 어떤 것이 있을까?"

"한돈이 수입산 돼지고기보다 나은 점을 알려줘"

 

 

생성형 인공지능(AI) 도입 및 발전으로 정보 검색 방법이 빠르게 바뀌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점차 단어 몇 개를 입력하지 않습니다. 대화하듯 묻고, 후속 질문으로 이어가며, 한 번에 정리·비교·계획까지 묻습니다. 네이버, 구글 등 포털과 챗봇은 이 요구에 맞춰 인공지능이 제시한 답을 요약해 보여 줍니다.

 

이러한 흐름에서 산업과 기업이 살아남는 길은 명료합니다. 먼저 오프라인 콘텐츠보다는 온라인 콘텐츠를 만들어야 합니다.

 

아무리 성능이 뛰어난 인공지능이라고 하더라도 종이 인쇄물에 직접 접근할 수 없습니다. 종이는 최소화하고, 디지털이 기본이어야 합니다. 인쇄물은 버리자는 뜻이 아닙니다. 종이는 사람을 온라인으로 데려오는 입구로만 쓰면 됩니다. 핵심 내용은 모두 온라인 검색으로 찾을 수 있는 웹에 있어야 합니다. 인쇄물이 꼭 필요하다면 요약, QR코드, 짧은 주소만 넣고, 자세한 설명··사례는 웹페이지로 연결합니다. 필요하면 다운로드용 PDF를 함께 두면 됩니다. 

 

 

또한, 온라인 콘텐츠를 많이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고객의 질문에 바로 답하는 좋은 글을 꾸준히 내는 것에 더 집중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검색 모두에서 노출이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좋은 글의 기준은 어렵지 않습니다. 첫째, 고객이 실제로 묻는 말로 제목과 소제목을 씁니다. “무엇인지”, “어떻게 하는지”, “무엇과 무엇이 다른지”를 바로 보여 줍니다. 둘째, 믿을 수 있는 근거를 붙입니다. 특장점, 효과, 기능, 사진 등의 정보를 분명히 씁니다. 셋째, 현장 사례를 담습니다. 어떤 문제가 있었고 어떻게 해결했는지, 결과가 어땠는지 간단히 밝힙니다. 넷째, 내용을 자주 갱신해 최신 상태를 유지합니다. 

 

인공지능 시대 결론은 분명합니다. 생성형 AI가 답을 요약하는 시대일수록, 근거가 있는 좋은 원문과 검색 가능한 디지털 형태가 경쟁력입니다. 산업과 기업이 할 일은 화려한 말보다 고객의 일을 덜어 주는 글을 성실하게 쌓는 것, 그리고 그 글을 종이보다 웹에서 쉽게 찾고, 쉽게 읽고, 쉽게 행동하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이 꾸준함이 검색 노출과 판매, 두 마리 토끼를 함께 가져옵니다.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관리자 pigpeople100@gmail.com
Copyright @2016 돼지와 사람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돼지와 사람 I 031-988-1184 I 신문사업등록번호: 경기아51445 I 등록연월일: 2016년 12월 9일 I 제호: 돼지와사람 I 사업자등록번호: 136-12-63379 I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 중부부천 제 2017-1호 I 발행인: 이득흔 | 편집인: 이근선 I 발행소: 경기도 김포시 김포한강2로 192, 302-901| 청소년보호책임자: 이근선| 대표메일: pigpeople100@gmail.com I 돼지와사람은 인터넷신문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Copyright @2017 돼지와 사람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