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광판을 통해 한돈산업 관련 월별 일별 주요 정보와 단신을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돼지와사람]
◆이달의 주요 행사 및 일정
- 7.8일 2025년 민관학 합동 방역대책위원회 전체회의(15:00, JW메리어트호텔)
◆'25년 7월 등급판정두수 및 도매가격, 수입육, 소매가격, 한돈재고동향, 소비자심리지수 요약
◆ 이달의 한돈산업 관련 주요 단신
- 4일 국회 본회의 2025년도 2차 추가경정예산 수정안 통과
- 5일 정부 2차 추가경정예산 의결....민간회복지원금 21일부터 지급
- 9일 한국은행 6월 은행 가계대출 전월 대비 6.2조원 증가....8월까지 증가 예상
- 10일 한국은행, 기준금리 연 2.50% 동결...가계부채 급증 영향
- 15일 중앙재난안전상황실 폭염 돼지 폐사 신고두수 26,748마리(5.20-7.13)...전년동기 4,673마리
- 16일 경기 파주 파평면 사육돼지(2500두 규모) ASF 발생...경기 5개 시군 48시간 스탠드스틸 발령
- 17일 파주 발생농장 동일 단지 내 다른 농장(다른 소유주) 예방적살처분 사전 검사서 비육돈 양성 진단(53차 발생과 통합)
- 18일 중앙재난안전상황실 폭염 돼지 폐사 신고두수38,920마리(5.20-7.16)...전년동기 5,178마리
- 16~20일 전국 호우 지속(누적 강수량 mm: 산청 793.5, 합천 699, 하동 621.5, 창녕 600, 함안 584.5, 서산 578.3, 담양 552.5)
- 21일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접수 개시
- 22일 한국은행 6월 생산자물가지수 0.1% 상승...돼지고기 9.5%
- 23일 한국은행 7월 소비자심리지수 전월보다 2.1포인트 증가한 110.8 기록...4개월 연속 상승세
- 29일 통계청 '2024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발표...지난해 11월 기준 총 인구 5,181만명..65세 인구 첫 1천만명(1012만2000명) 돌파
- 29일 중앙재난안전상황실 폭염 돼지 폐사 신고두수 51,372마리(5.20-7.27)...전년동기 12,563마리
- 31일 미국 정부와 관세협상 타결...8월 1일부터 부과 예정인 관세 25%에서 15% 하향 협의
☞2024년과 2025년 주차별 평균 돈가('24년은 같은 기간)
☞월별 등급판정두수(단위 천두) 및 평균 가격(단위 원)@돼지와사람 편집
◆ 이달의 일별 도매가격, 경매두수, 등급판정두수 추이
- 경매가격과 경매두수는 등외 및 제주 제외임
- 축산물품질평가원 축산유통정보(바로가기)
- 축산물품질평가원 통계월보·연보(바로가기)
-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 시황정보(바로가기)
- 월간육류유통(바로가기)
- 한이음 축산 유통 정보(바로가기)
※ 7월 7일자 주간 돼지고기 시황(출처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
▶국내산 구이류는 일부 대형할인점에서 대대적 할인행사 진행수요가 있었으나 전체 행사물량이 크지는 않았으며, 그 이외 대형 및 중소마트, 정육점, 외식으로부터의 수요는 여전히 저조하였다. 금명간 지원될 민생회복지원금 기대 영향으로 소비지출이 더욱 감소하며, 도축 및 생산 감소에도 불구하고 덤핑이 보다 심화되는 모습이었다. 정육류는 변화 없이 전지가 여전히 강세 시장상황을 보이고 있으며, 후지는 강보합세를 보였고 등심은 보합세가 계속되었다. 갈비는 대부분 냉장판매를 하는 가운데, 일부 물량만 냉동생산하고 있다. 6월 4주 대비 지육가격(제주 제외)이 34원/kg 상승한 가운데, 가공업체 판매제시가격은 모든 부위가 변화 없었다.
▶수입산 냉장 구이육은 첫째주에 평균물량이 입항된 가운데, 무더위로 외식이 더욱 부진해져 대형 및 중소마트 할인행사가 이어졌는데 100g당 1,000원 미만의 대대적 행사도 한시적으로 진행하는 등 소비확대를 위해 노력하는 모습이었다. 냉동 구이육은 6월에도 전월과 거의 동일하게 많은 물량이 수입되었는데, 프랜차이즈와 꾸준한 대패삼겹살 등의 할인행사로 일정 수준의 소비가 유지되었다. 목전지 포함 앞다리의 실수요가 불경기로 소폭 약하지만 고정거래처 수요는 꾸준한 편이었다. 그러나 6월 수입이 전월대비 감소했음에도 여전히 공급이 과다하여 4주 연속 약세가 지속되었다. 국내 도매유통가격은 전주대비 목전지와 목뼈가 소폭 하락하였다.
※ 7월 14일자 주간 돼지고기 시황(출처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
▶국내산 전주 대비 소비시장 상황은 변화가 거의 없었는데, 돼지 출하급감으로 작업할 물량이 없고 판매도 저조하여 주중 휴무를 실시하는 가공업체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구이류는 대형할인점으로부터의 발주가 크지는 않았지만 일정물량이 납품되었으며, 중소마트, 정육점, 외식으로부터의 수요는 부진이 지속되었는데 생산이 큰폭으로 감소함에 따라 적체는 조금 완화되는 모습이었다. 정육류는 변화 없이 전지가 여전히 강세 시장상황이 이어지고 있으며, 후지는 강보합세를 보였고 등심은 보합세가 계속되었다. 7월 1주 대비 지육가격(제주 제외)이 166원/kg 상승한 가운데, 가공업체 판매제시가격은 모든 부위가 변화 없었다.
▶수입산 냉장 구이육은 평균적인 물량이 입항되고 있는 가운데, 폭염으로 인해 외식이 더욱 부진해졌지만 대형 및 중소마트 등에서 할인행사를 지속하고 있어 수요가 일정 수준 꾸준하게 나타나고 있다. 냉동 구이육도 프랜차이즈 등의 외식소비가 저조하나, 7월 공급이 전월대비 감소세를 보이고 있고 꾸준한 할인행사 진행으로 일정 수준의 소비는 유지되고 있다. 목전지 포함 앞다리의 실수요가 불경기로 소폭 약해졌지만 고정수요처에서의 수요가 꾸준하고 7월 공급도 전월대비 감소세를 보이고 있어 하락세가 중단되었다. 국내 도매유통가격은 전주대비 대부분의 품목이 변화가 없었다.
※ 7월 21일자 주간 돼지고기 시황(출처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
▶국내산 구이류는 일부 대형할인점의 대대적 할인행사가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발주가 크지는 않았으며, 중소마트, 정육점, 외식에서의 수요도 전국적인 폭우 등으로 인해 저조하였다. 민생회복지원금이 내주부터 지원 시작되나 유통에서의 일부 준비수요 이외에는 전반적으로 준비수요가 없었지만, 출하급감으로 인한 큰폭의 생산감소로 적체되지는 않는 모습이었다. 정육류는 변화 없이 전지가 여전히 강세 시장이 이어지고 있으며, 후지는 강보합세를 보였고 등심은 보합세가 계속되었다. 갈비는 대부분 냉장판매를 하는 가운데, 명절을 대비한 냉동생산이 일부 증가하는 모습이었다. 7월 2주 대비 지육가격(제주 제외)이 42원/kg 상승한 가운데, 가공업체 판매제시가격은 삼겹살, 전지, 등심, 갈비, 안심 등이 상승하였다.
▶수입산 냉장 구이육은 셋째주에 평균을 소폭 상회하는 물량이 입항되었는데, 폭우 등으로 인해 외식이 계속 저조하고 대형 및 중소마트 할인행사의 할인폭도 감소하였지만 일정 수준의 수요는 꾸준히 나타나고 있다. 냉동 구이육도 프랜차이즈 등의 외식소비가 저조하나, 7월 공급이 전월대비 약 12% 감소하였고 꾸준한 할인행사 등으로 적체되지는 않고 있다. 목전지 포함 앞다리의 실수요가 불경기로 소폭 약해졌지만 고정수요처에서의 수요가 꾸준하고 7월 공급도 전월대비 약 22% 감소하여 전주에 이어 보합세가 계속되었다. 국내 도매유통가격은 전주대비 대부분의 품목이 변화가 없었다.
※ 7월 28일자 주간 돼지고기 시황(출처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
▶국내산 구이류는 민생회복지원금 사용처가 아닌 대형할인점의 발주가 저조하였고, 휴가철임에도 농협마트, 중소마트, 정육점, 외식 수요도 저조하였다. 또한 지원금에 대한 기대감도 적어 대부분의 유통경로에서 준비수요가 없었지만, 출하감소로 인한 생산감소로 크게 적체되지는 않는 모습이었다. 정육류는 학교급식 납품중단에도 전지가 생산감소로 인해 여전히 강세 시장상황이 이어지고 있으며, 후지는 강보합세를 보였고 등심은 보합세가 계속되었다. 갈비는 대부분 냉장판매를 하는 가운데, 명절을 대비한 냉동생산이 일부 있었다. 7월 3주 대비 지육가격(제주 제외)이 108원/kg 하락한 가운데, 가공업체 판매제시가격은 족발이 상승하였다.
▶수입산 냉장육은 넷째주에 평균적인 물량이 입항되었는데, 외식은 장마 종료 후 폭염이 다시 시작되며 계속 저조한 모습이었고 대형 및 중소마트의 할인행사는 할인폭이 감소하였지만 수요가 일정 수준 꾸준하였다. 냉동 구이육은 7월 공급이 전월동기대비 소폭 감소한 가운데, 프랜차이즈 등의 외식소비가 저조하나 꾸준한 할인행사 등으로 적체되지는 않고 있다. 목전지 포함 앞다리의 실수요가 불경기로 소폭 약하지만 고정수요처에서의 수요가 꾸준하고 7월 공급이 전월동기대비 약 22% 감소함에 따라 보합세가 계속되고 있다. 국내 도매유통가격은 전주대비 대부분의 품목이 변화가 없었다.
☞소비자심리지수(출처 한국은행)
- 7월 소비자심리지수 전월보다 2.1포인트 증가한 110.8 기록...4개월 연속 상승세
- 소비자심리지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경기에 대한 판단이나 전망 등을 조사하여 경제상황에 대한 심리를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지표. 100을 기준으로 초과 시 긍정 전망, 미만 시 부정 전망
◆ 이달의 일별 돼지고기(삼겹살) 소비자 가격 추이
- 국산 냉장, 수입은 냉동 100g당 중품 가격(바로가기)
◆ 돼지고기 재고동향(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 바로가기)
- 한돈(회원사 대상 조사 수치로 국내 전체 재고 추정): '25년 5월 기준 43,573톤(전월대비 -6.0%, 전년대비 12.4%)
- 수입산(수입육 이력제 기반 조사, 정육): '25년 4월 기준 153,004톤(전월대비 10.6%, 전년대비 -4.4%)
◆ 월별 돼지고기 및 쇠고기 수입량 추이
- 식약처 수입축산물 부위별 검사 통계(단위 만 톤)/수입식품정보마루(바로가기)
- '25년 7월 돼지고기 수입량 42,388톤(전월대비 -4.9%, 전년대비 -6.3%)
- '25년 7월 쇠고기 수입량 46,186톤(전월대비 21.9%, 전년대비 24.1%)
◆ 한돈팜스 사용 농가의 월별 분기별 생산 성적(출처 대한한돈협회)
◆ 향후 6개월 사육 및 출하 전망(한돈미래연구소, 단위 두, %)
◆ 분기별 사육두수 추이(바로가기)
◆ ASF 실시간 현황판(바로가기)
◆ 해외곡물 가격동향
◆ 달러환율추이(바로가기)
◆ 유가변동추이(바로가기)
◆ 농업관측정보(바로가기, 돼지, 한육우, 젖소, 산란계, 오리는 분기보, 육계는 월보, 국제곡물, 해외축산)
◆ 도축장별 축종별 도축실적(바로가기)
- 도축장 현황 및 도축실적(바로가기)
◆ 축종별 배합사료 생산실적(바로가기)
- 월별 배합사료 생산 및 가격 통계(바로가기), 돼지 도매가격(원/kg, 제주 및 등외 제외)
- '25년 6월 양돈용 배합사료 생산량 524천톤(전월대비 -8.6%, 전년대비 -0.2%)
- '25년 6월 양돈용 배합사료 평균 가격 733원/kg(전월대비 0.4%, 전년대비 0.1%)
◆ 동물용의약품 통합검색(바로가기)
- 통합검색에서 업체별, 품목별 검색
- 한국동물약품협회 제품명 검색(바로가기)
◆ 가축전염병 연도별 발생 통계(바로가기)
◆ 동물 및 축산물 검역통계(바로가기)
- 품목별-국가별 수출입현황
◆ 연도별 축산물 생산비(바로가기)
- 국가통계포털에서 '비육돈'으로 검색(전년도 생산비 다음해 5월 발표)
◆ 스마트한 축산통계(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바로가기)
- 축산업 생산액, 사육두수 및 호수, 생산성, 생산비, 수입실적, 도소매 가격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