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원고는 지난 4월 27일 한국양돈수의사회 주최 '2017 수의양돈포럼'에서 발표되었습니다.

♦ 개요
베일로신은 틸바로신(tylvalosin)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의 상품명이며, 전세계적으로
돼지와 닭에서의 Mycoplasma spp. 관련 질병의 치료목적으로 사용되어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베일로신 [VALOSIN ®]](http://www.pigpeople.net/data/photos/20170521/art_14959735761367_0e39af.jpg)
국내 돼지에서 분리된 M. hyopneumoniae와 M. hyorhinis에 대한 MIC 시험결과 기존 항생제에 비하여 낮은 MIC를 나타내어 국내의 양돈산업에도 베일로신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이 연구된 바 있다.
해외에서 시도된 베일로신을 이용한 양돈장에서의 Mycoplasma hyopenumoniae(유행성 폐렴, 이하 Mh) 근절 사례가 있어 이를 소개하고, 국내 적용 가능성을 가늠해보고자 한다.
♦ 임상보고 1
1) 개요 및 진단
-스페인 북서부에 위치한 모돈 1,200두 규모 농장(GGP)이며 비육돈 수용규모가 1,200두인 일괄사육농장을 대상으로 Mh 근절 프로그램을 2006년 6월부터 적용하였다.
-농장은 PRRS 음성이며 육성돈에 약한 Mh 증상이 있는 상태였다.
2) 적용 프로그램
-부분 돈사 비우기(partial depopulation) : 포유자돈을 제외한 9개월 이하 돼지는 모두 제외하여 이유자돈사 및 육성시설을 비웠다. 이후 시설 세척 및 소독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시작 3주간 자돈은 외부시설로 이유시켰고, 자가선발 후보돈 역시 외부시설로 이동하여 베일로신을 50ppm용량으로 21일간 9개월령 도달까지 투약하였다. 이후 후보돈은 프로그램 시작 후 4개월, 6개월, 8개월차에 재도입하였다.

-투약 : 후보돈, 모돈, 웅돈에 21일간 베일로신을 50ppm 용량으로 사료첨가 투약하였다. 이 기간에 분만모돈은 tiamulin 9mg/kg 용량으로 주사하였고, 식욕이 떨어지는 모돈은 tulathromycin 2.5mg/kg 용량으로 주사하였다. 3일령 이상 포유자돈 역시 tulathromycin 2.5mg/kg 용량으로 2회 주사하였다.
3) 결과
-임상증상 : 베일로신 투약기간동안 사료섭취 저하 등 이상증상은 없었다. 2007년 12월 현재 이유자돈부터 비육돈까지 Mh관련 임상증상 없었다.
-센티넬 농장 : 2007년 1월부터 본 농장의 돼지를 6개의 Mh 음성이라 확신되는 농장에 전출시켰으며 농장도착 당시 ELISA음성임을 확인하였다. 이후 돼지를 받은 농장의 건강상태에 변화가 없었다.
-폐병변 : Goodwin 방법에 근거하여 도축 시 체크하였다.

-혈청학적 검사 : 근절 이후, 2006년 10월부터 2007년 11월까지 19회 샘플을 채취하여 294개 혈청 수집였고, IDEXX indirect ELISA를 사용하여 검사하여 음성결과를 얻었다.
-PCR : 2006년 11월 도축된 돼지 중 4개의 폐 샘플 수집하고, 2006년 12월에 외부 돈사에서 사육되는 60~100kg의 돼지에서 15개의 편도 swab 샘플 수집하여 Mh PCR 검사하였으며, 모두 음성결과를 얻었다.
-센티넬 돼지 : 2007년 9월 본 농장 돼지 30두를 Mh 음성농장에서 도입된 12두와 합사시켜 외부 돈사에서 사육하였다. 임상증상은 없었으며 2007년 11월 혈청검사 결과 30두 모두 음성이었으며, 그 중 3두 부검결과 Mh로 의심되는 폐병변은 없었다.
♦ 임상보고 2
1) 개요 및 진단
-스페인에 위치한 모돈 800두 규모의 GGP 농장의 Mh 근절을 목표로 하였다.
2) 적용 프로그램
<2011년 8월.(D0)>
-동물 : 본장에는 모돈 800두, 포유자돈 및 후보돈 300두(11개월령 이상)을 남겨놓고, 이유자돈 및 육성비육돈, 후보돈은 전출시켰다.
-투약 : 베일로신을 50ppm 용량으로 4주간 사료첨가하여 투약하였다. 모돈의 경우 D0일과 D15일에, 포유자돈의 경우 3일령과 17일령에 2회 tulathromycin 2.5mg/kg 용량으로 주사하였다. 분만모돈 및 식욕이 떨어지는 모돈은 tiamulin 9mg/kg 용량으로 주사하였다.
-모든 돈사는 수세 및 소독을 실시하였고 슬러리 피트는 가성소다 소독실시하였다.
<2011년 9월(D28)>
-동물 : 틸바로신 투약 종료하였다.
-돈사를 4급 암모늄으로 소독실시하였다.
3) 결과
-폐병변 : 매월 100두 폐병변 체크하였다.
-PCR : 2011년 321두, 2012년 월 30두 폐조직 PCR 검사하였고 음성결과를 얻었다.
-2011년 389두, 2012년 월 22두 ELISA 혈청검사하였고 음성결과를 얻었다.
-임상증상 : 프로그램 종료 후 14개월 간 관찰 결과 Mh 관련 임상증상 없었다.

♦ 임상보고 3
1) 개요 및 진단
-네덜란드에 양돈산업 밀집지역에 위치한 모돈 2,450두 규모 일반농장의 Mh 근절을 목표로 하였다.
2) 적용 프로그램
-후보돈을 10주령에 도입하였다.
-자돈은 이유 시 전출시켰다.
<2011년 6월-7월(D-30~D0)>
-치료에 반응하기 힘드리라 예상되는 동물은 돈군에서 제거하였다.
-다음 도입전까지 공백을 메우기 위해 후보돈 도입을 일시적으로 증가시켰다.
-모든 모돈에 1회 접종 Mh 백신을 접종하였다.
<2011년 7월(D0)>
-모돈에 4주간 베일로신을 50ppm 용량으로 사료첨가 투약하였다.
-포유자돈의 경우 7일, 17일 27일령에 tulathromycin 2.5mg/kg 용량으로 주사하였다.
-식욕부진 모돈은 tulathromycin 2.5mg/kg 용량으로 주사하였다.
<2011년 8월(D28)>
-모돈 투약을 중단하였다.
-근절기간 중 태어난 포유자돈에 이유까지 tulathromycin을 주사하였다.
<2011년 9월(D56)>
-후보돈 투약을 중단하였다.
3) 결과
-근절 14개월간 Mh 임상증상 발생이 없었다.
-근절 1년 이후 혈청검사(Mh 항체)에서 음성이었다.
♦ 요약
해외의 GGP농장 및 일반농장에서 Mh 근절을 목표로 베일로신을 사용하였을 때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마이코플라스마의 근절을 목표로 한 국내 돼지농장에도 이러한 프로그램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 참고문헌
1. Korean J Vet Res, 2016, 56(2), 109-111
2. Enric Marco et al, 2008, ERADICATION OF Mycoplasma hyopneumoniae IN A HERD USING AIVLOSIN®, Proc. IPVS
3. Enric Marco et al, MYCOPLASMA HYOPNEUMONIAE ERADICATION IN A 800 SOW HERD BY PARTIAL DEPOPULATION AND MEDICATION WITH TYLVALOSIN (AIVLOSIN®), TULATHROMYCIN (DRAXXIN®) AND TIAMULIN, Eco Animal Health
4. Mark Roozen et al, ERADICATION OF MYCOPLASMA HYOPNEUMONIAE IN A 2450 MULTIPLIER SOW HERD USING TYLVALOSIN (AIVLOSIN®) WITHOUT HERD CLOSURE, Eco Animal Healt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