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양돈산업에서 경제적 피해를 일으키는 주요 세 가지 핵심 질병 - PRRS, 마이코플라즈마(유행성폐렴), 써코바이러스(PCV2)에 대해 ‘접종 방식 자체를 바꿔서 관리하자’는 해법이 제시됐습니다. 한국히프라(한국사업부문장 노상현)는 지난 22일 대전 인터시티호텔에서 ‘무침피내접종의 현재와 미래’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열고, 기존 '근육주사' 대신 '무침피내접종'을 백신 적용의 표준으로 제안했습니다. 무침피내접종은 주사침을 근육에 찌르는 대신 고압으로 약물을 피부 바로 아래층(피내층)에 주입하는 방식입니다. 주사침을 쓰지 않기 때문에 주사침 파손이나 체내 잔류, 질병 수평전파 위험을 줄일 수 있고, 근육 손상이 거의 남지 않아 이른바 ‘이상육(주사부위 병변육)’ 발생을 낮출 수 있습니다. 이날 히프라는 무침피내주사기 ‘히프라더믹(HIPRADERMIC)’과 PRRS 백신 ‘유니스트레인 ID’, 써코·마이코플라즈마 복합 백신 '마이써코 ID' 등 무침피내 전용 백신을 함께 공급하는 플랫폼 전략을 공개했습니다. 첫 발표자인 신재혁 수의사(도드람양돈농협동물병원)는 여러 농장에서 구제역 백신을 이용한 무침접종 그룹과 기존 근육주사 그룹을 비교한 결과 이상육 평균 발생
한돈산업에 혁신적인 기술이 적용된 백신 제품들을 발빠르게 공급하고 있는 한국히프라(사업부문장 노상현)가 세계 최초 피내접종 마이코플라즈마·써코바이러스 복합 백신인 ‘마이써코 ID’의 국내 등록을 지난 9월 완료하고 조만간 출시 예정이라고 최근 밝혔습니다. 기존 마이코플라즈마(MH)·써코바이러스(PCV2) 복합 백신들은 각각의 항원이 담긴 백신병을 혼합해야 하거나, 한 병에 두 항원이 들어 있어 접종 전 잘 흔들어 사용해야 합니다. 반면, 이번에 등록된 ‘마이써코 ID’는 기존 백신들과 차별화된 기술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히프라가 자체 개발한 균주인 ‘넥시온(Nexhyon)’을 항원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유전적 재조합을 통해 써코바이러스와 마이코플라즈마 항원을 입자 단계부터 결합시킨 것이 특징입니다. 이에 ‘마이써코 ID’는 별도의 혼합이나 흔드는 과정 없이도 두 질병에 대한 면역을 고르게 유도할 수 있는 진정한 RTU(Ready to use, 바로 사용 가능한) 백신입니다. 또한 ‘마이써코 ID’는 물리적 불활화 과정을 통해 안전성과 효능을 높였습니다. 항원 불활화 과정에서 화학 약품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항원의 구조를 온전히 유지하면서도 불순물을 포함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