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편 다시보기: 철분제, 무엇을 선택하고 어떻게 쓸까?(1) 지난 편에서는 철분 보충의 필요성과 투여 방식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번 편에서는 현장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두 가지 주사용 철분제 성분, 덱스트란 철(Dextran iron)과 글렙토페론(Gleptoferron)의 차이를 보다 깊이 있게 비교해 보고자 한다. 두 성분의 핵심 차이: 흡수 속도와 흡수율 두 성분의 가장 큰 차이는 흡수 속도와 효율성이다. ‘덱스트란 철’은 주사 후 72시간이 지나도 약 60% 정도만 흡수되는 반면, ‘포세리스(Forceris)’와 ‘글렙토실(Gleptosil)’에 함유된 ‘글렙토페론’은 24시간 이내에 95% 이상 흡수되어 훨씬 빠르고 완전한 효과를 보인다. 철분은 근육 주사 부위에서 신속하고 완전하게 흡수되어야 한다. 주사 후 주사 부위에 침착이 남거나, 근육 조직 내 잔류물이 관찰되어서는 안 된다. 일반적으로 투여된 철분은 늦어도 72시간 이내에 90% 이상 흡수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헤모글로빈 합성이나 간 저장 등 생리적 기능에 제대로 활용되지 못한다. 두 성분의 약동학·약력학적 특성을 비교한 연구에서도 차이는 분명했다. 글렙토페론을 투여한 자돈
자돈은 태어날 때 약 50mg 정도의 적은 양의 철분만을 보유하고 있으며, 생후 3일이면 이 저장량이 고갈될 수 있다. 실제로 약 40%의 자돈은 태어날 때부터 철분이 부족한 상태이고, 모돈의 젖 또한 하루 필요량의 10~20%밖에 공급하지 못한다. 이로 인해 철분 보충이 적기에 이루어지지 않으면 철분결핍성 빈혈이 발생한다. 빈혈은 자돈의 성장 속도를 늦추고 질병 저항성을 떨어뜨려, 결국 성장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게 만든다. 따라서 철분 주사는 분만사에서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핵심 관리 항목으로 꼽힌다. 최근 다산성 품종의 도입으로 산자수는 증가하고 성장 속도는 빨라지면서, 빈혈 관리의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 산자수가 많은 모돈에서 태어난 자돈은 태아 시기 철분 저장량이 제한되고 모유 섭취량도 줄어 철분 부족이 쉽게 발생한다. 더불어 성장 속도가 빠를수록 철분 요구량이 늘어나 임상적 혹은 준임상적 빈혈 발생 가능성은 과거보다 높아졌다(더 알아보기). 최적의 철분 보충을 위해 고려해야 할 기준은 두 가지다. 첫째, 적혈구 생성을 위해 충분한 철분을 알맞은 시기에 공급하는 것, 둘째, 혈장 헵시딘(Hepcidin)*의 비정상적 상승을 피하는 것이다. *
바이엘이 신제품 런칭 세미나를 개최합니다. 이번에 새로 국내에 선보일 제품은 '바이콕스 아이언'입니다. 항콕시듐제의 '원조'격인 '바이콕스'에 '철분제'를 더해 항콕시듐제와 철분제를 동시에 포유자돈에게 경구로 짜 먹일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제품입니다. 항콕시듐제 투약 프로그램을 갖고 있는 농장에서 주사용 철분제를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 편리성과 작업자의 노동효율을 높이고 포유자돈에게는 주사로 인한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바이콕스 아이언'의 마케팅을 담당하고 있는 바이엘의 정기원 수의사는 '브라질의 DanBred International 에서는 동물복지를 고려해 '바이콕스 아이언'을 2016년 1월부터 사용해 5월까지 십만마리 자돈에 적용하였고 이유체중은 이전과 동일했다.'며 '우리나라에서도 농장관리자와 포유자돈 모두가 행복할 수 있는 '바이콕스 아이언'을 추천한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바이콕스 아이언' 런칭 세미나는 오는 4월 19일 충남 예산(덕산 리솜스파캐슬)을 시작으로 21일 경기 이천(미란다 호텔), 26일 광주광역시(홀리데이인 호텔), 28일 경남 창녕(부곡로얄 호텔) 등 총 4회 개최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