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5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대관령 10.0℃
  • 북강릉 14.9℃
  • 흐림강릉 15.7℃
  • 흐림동해 15.1℃
  • 흐림서울 16.5℃
  • 흐림원주 15.8℃
  • 수원 17.3℃
  • 흐림대전 19.4℃
  • 안동 16.9℃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맑음고산 26.8℃
  • 구름조금서귀포 26.1℃
  • 흐림강화 15.4℃
  • 흐림이천 16.2℃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김해시 21.3℃
  • 흐림강진군 23.0℃
  • 흐림봉화 15.6℃
  • 흐림구미 18.3℃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창 18.8℃
  • 흐림합천 19.9℃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슬기로운 분만사 관리

철분제, 무엇을 선택하고 어떻게 쓸까?(1)

슬기로운 분만사관리 32편/세바코리아 농장동물사업부(ceva.korea@ceva.com)

 

자돈은 태어날 때 약 50mg 정도의 적은 양의 철분만을 보유하고 있으며, 생후 3일이면 이 저장량이 고갈될 수 있다. 실제로 약 40%의 자돈은 태어날 때부터 철분이 부족한 상태이고, 모돈의 젖 또한 하루 필요량의 10~20%밖에 공급하지 못한다. 이로 인해 철분 보충이 적기에 이루어지지 않으면 철분결핍성 빈혈이 발생한다. 빈혈은 자돈의 성장 속도를 늦추고 질병 저항성을 떨어뜨려, 결국 성장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게 만든다. 따라서 철분 주사는 분만사에서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핵심 관리 항목으로 꼽힌다.

 

최근 다산성 품종의 도입으로 산자수는 증가하고 성장 속도는 빨라지면서, 빈혈 관리의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 산자수가 많은 모돈에서 태어난 자돈은 태아 시기 철분 저장량이 제한되고 모유 섭취량도 줄어 철분 부족이 쉽게 발생한다. 더불어 성장 속도가 빠를수록 철분 요구량이 늘어나 임상적 혹은 준임상적 빈혈 발생 가능성은 과거보다 높아졌다(더 알아보기).

 

 

 

최적의 철분 보충을 위해 고려해야 할 기준은 두 가지다. 첫째, 적혈구 생성을 위해 충분한 철분을 알맞은 시기에 공급하는 것, 둘째, 혈장 헵시딘(Hepcidin)*의 비정상적 상승을 피하는 것이다.

*헵시딘(Hepcidin): 철의 흡수와 혈액 내 유입을 조절하는 간에서 분비되는 펩타이드 호르몬

 

철분 보충은 근육주사 또는 경구투여로 가능하지만, 경구투여는 흡수율이 낮고 섭취량이 일정치 않아 어린 자돈의 철분결핍성 빈혈 예방에는 효과적이지 않다. 또한 대장균과 같은 세균이 철분을 증식에 활용하기 때문에, 경구투여는 설사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다.

 

반면, 근육주사를 통한 철분 보충은 정확한 용량을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고 흡수율도 높아, 자돈 빈혈 예방 및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널리 입증되어 있다. 현재 주사용 철분제는 크게 ‘덱스트란 철’과 ‘글렙토페론’ 두 성분으로 나뉘며, 제품 특성에 따라 1회 또는 2회 투여 방식으로 사용된다. 그렇다면 두 성분 중 어느 것이 더 우수할까?

 

 

 

세바코리아 카카오톡 채널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6.5%가 ‘글렙토페론’을 선택했고, 13.3%는 ‘덱스트란 철’을, 8.2%는 두 성분 간 차이가 크지 않다고 답했다. 이는 아직도 많은 현장에서 철분제 선택 시 두 성분의 차이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철분 주사가 분만사에서 필수 관리 항목임은 분명하다. 그러나 어떤 성분을 선택하고, 어떻게 사용하는지가 더욱 중요하다. 다음 편에서는 덱스트란 철과 글렙토페론의 차이를 구체적인 연구 결과와 함께 살펴보며,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철분 보충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 위 기고 내용과 관련하여 궁금하신 사항은 세바코리아 (070. 8277. 4747 / 카카오톡채널: 세바코리아 / ceva.korea@ceva.com)로 문의주시기 바랍니다.

 

References:

Chen, X., Zhang, X., Zhao, J., Tang, X., Wang, F., & Du, H. (2019). Split iron supplementation is beneficial for newborn piglets. Biomedicine & Pharmacotherapy, 120, 109479.

J. Borobia , Clinical case: Iron toxicity in piglets(28 Jan 2020), Pig333

Morales, J., Manso, A., Martín-Jiménez, T., Karembe, H., & Sperling, D. (2018). Comparison of the pharmacokinetics and efficacy of two different iron supplementation products in suckling piglets. Journal of Swine Health and Production, 26(4), 200-207.

Starzyński, R. R., Laarakkers, C. M., Tjalsma, H., Swinkels, D. W., Pieszka, M., Styś, A., ... & Lipiński, P. (2013). Iron supplementation in suckling piglets: how to correct iron deficiency anemia without affecting plasma hepcidin levels. PloS one, 8(5), e64022.

 

배너

관련기사

배너
총 방문자 수
13,408,024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