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연천 사육돼지 ASF 발생(관련 기사)과 관련해 예방적 살처분이 실시된 것이 뒤늦게 확인되었습니다. 해당 농장(1,200여두 규모)은 비육농장으로 발생농장과 불과 60미터 거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농림축산검역본부와 지자체의 합동 위험도 평가에서 발생농장과 차량 진출입로를 공유하고 사실상 같은 부지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등 감염위험이 높다는 의견이 제시되었습니다. 지난 15일 발생농장에 이어 살처분 조치되었습니다. 이번 ASF 관련 예방적 살처분은 지난 1월(51차 양주, 발생농장과 인접)과 7월(53차 파주, 동일 양돈단지)에 이어 올해 세 번째입니다. 경기 고양에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발생농장의 가족농장(비육)은 예방적 살처분이 실시되지 않았습니다. 정밀검사 결과 음성이었고 살처분을 최소화한다는 원칙이 적용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집중 소독과 예찰이 동시에 진행 중입니다. 한편 지난 14일 오후 8시부로 연천과 인접 5개 시군(파주·동두천·양주·포천·철원)에 내려진 48시간 일시이동중지 명령이 연장없이 16일 오후 8시에 종료되었습니다. 이는 발생농장에 대한 돼지 847마리에 대한 살처분 조치가 15일 순조롭게 완료되었고, 발생농장 주변 방역대 농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방역당국)가 끝내 예방적 살처분을 실시했습니다. '과학방역'을 버리고 예전 '심리방역'으로 되돌아갔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앞으로 8대 방역시설이 예방적 살처분으로부터 보호해줄 것이라는 기대를 접어야 할 것 같습니다. 지난 11일 강원도 철원 비육장서 ASF가 발생했습니다(관련 기사). 해당 비육장은 지난 6일 발생이 확인된 포천 농장과 동일 소유주의 농장(가족농장)입니다. 6일에 이어 11일 실시한 2차 예찰 검사에서 '감염'이 확인되었습니다. 철원 발생농장 돼지는 포천 발생농장의 돼지가 이동한 것으로 뒤늦게 전해졌습니다. 그런데 연초부터 연이은 농장 발생에 방역당국의 태도가 바뀌었습니다. 앞서 6일 포천 발생과 달리 전격 '예방적 살처분'을 결정했습니다. 발생이 확인되지 않은 농장의 돼지를 확산 예방 차원에서 미리 없애기로 한 것입니다. 11일 자정에 가까운 시각 방역당국은 보도자료를 내고 "발생 농장(2,369여 마리 사육)과 가족농장(14,070여 마리 사육, 3개 농장; 철원 2, 포천1)에서 사육 중인 전체 돼지에 대해 살처분을 실시한다"고 밝혔습니다. 12일 이른 아침 비대면으로 진행된 '중앙가축방역심의회'에서는 철원 발생농장
지난해 11월에 이어 철원 돼지농장에서 또 다시 ASF가 발생했습니다. 해당 농장은 강원도 철원군 동송면 양지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2천 4백여 두 규모의 비육농장입니다. 지난 6일 ASF가 확진된 포천 발생농장(#29)의 가족농장 네 곳 가운데 한 곳입니다. 지난 6일 이래 이동제한 상태였으며, 7일 정밀 검사에서는 '음성'으로 진단되어 예방적 살처분을 면했습니다. 하지만, 11일 두 번째 검사에서 4마리가 '양성' 반응을 보여 감염으로 확진되었습니다. 올해 두 번째 발생 사례입니다. 사육돼지의 ASF 발생 사례는 이제 모두 30건으로 늘었습니다(경기 12, 강원 13, 인천 5). 방역당국은 이번 철원 발생농장과 함께 다른 가족농장 3곳(포천 1, 철원 2)에 대해서도 모두 살처분을 실시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모두 합쳐 1만 6천여 마리에 달합니다(1만 6,439두). 철원 발생농장 반경 10km 내 이른바 '방역대 농장'의 숫자도 추가로 늘어납니다. 잠정 34호(8만 7천 마리)로 파악됩니다. 이들 농장은 30일 이상 이동제한 대상입니다. 반경 500미터 내 농장 한 곳은 정밀검사 결과에 따라 예방적 살처분이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