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양돈산업에서 경제적 피해를 일으키는 주요 세 가지 핵심 질병 - PRRS, 마이코플라즈마(유행성폐렴), 써코바이러스(PCV2)에 대해 ‘접종 방식 자체를 바꿔서 관리하자’는 해법이 제시됐습니다. 한국히프라(한국사업부문장 노상현)는 지난 22일 대전 인터시티호텔에서 ‘무침피내접종의 현재와 미래’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열고, 기존 '근육주사' 대신 '무침피내접종'을 백신 적용의 표준으로 제안했습니다. 무침피내접종은 주사침을 근육에 찌르는 대신 고압으로 약물을 피부 바로 아래층(피내층)에 주입하는 방식입니다. 주사침을 쓰지 않기 때문에 주사침 파손이나 체내 잔류, 질병 수평전파 위험을 줄일 수 있고, 근육 손상이 거의 남지 않아 이른바 ‘이상육(주사부위 병변육)’ 발생을 낮출 수 있습니다. 이날 히프라는 무침피내주사기 ‘히프라더믹(HIPRADERMIC)’과 PRRS 백신 ‘유니스트레인 ID’, 써코·마이코플라즈마 복합 백신 '마이써코 ID' 등 무침피내 전용 백신을 함께 공급하는 플랫폼 전략을 공개했습니다. 첫 발표자인 신재혁 수의사(도드람양돈농협동물병원)는 여러 농장에서 구제역 백신을 이용한 무침접종 그룹과 기존 근육주사 그룹을 비교한 결과 이상육 평균 발생
지난 29일 한국히프라와 CTC바이오 주최의 '히프라 유니버시티' 세미나를 통해 히프라의 무침피내주사기, '히프라더믹'이 국내에 처음으로 소개되었습니다. 기존 침 방식의 연속주사기에 비해 접종시의 편리성을 더했을 뿐만 아니라 '백신 접종'을 체계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는 혁신적인 '스마트 주사기'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히프라더믹'에 대해 간략하게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히프라더믹은 주사침을 사용하지 않고 강한 압력을 통해 피하로 백신을 접종할 수 있는 주사기 입니다. 접종량은 0.2ml로 고정되어 있어 접종할 수 있는 백신의 종류는 제한적이며 전자적으로(RFID) 사실상 히프라 PRRS 백신(유니 스트레인 PRRS)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전기 충전식이며 별도의 방아쇠가 없이 단지 돼지 피부에 대고 밀어주기만 하면 자동으로 백신이 주입이 되기 때문에 돼지에게는 접종에 따른 스트레스를 줄여줄 수 있고 접종자에게는 접종시간을 단축시켜 줍니다. 특히나 주사침에 의한 바이러스 전파를 우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주사 부위는 모돈을 비롯한 큰 돼지의 경우 이근부와 유방부위, 회음부위 등 부드러운 피부가 분포된 곳으로 제한되며, 어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