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스코(대표이사 김남욱)는 지난달 29일 경기도 포천에서 ‘골드피그팜 우수농장의 날(Field Day)’을 개최하고 성황리에 마무리했습니다. 이번 행사는 경기북부 지역의 오피니언 리더 농장으로 꼽히는 골드피그팜(대표 이건영)이 MSY 28.6두(모돈당 연간 출하두수)라는 성과를 내며 한돈산업의 생산성 혁신 사례로 주목받은 것을 기념해 마련됐습니다. 이날 현장에는 양돈농가 대표와 산업 관계자 등 80여 명이 참석해 좌석을 가득 메웠습니다. 참가자들은 발표자료 촬영과 메모가 이어질 정도로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행사 전반은 현장 중심의 실질 해법을 공유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습니다. 행사는 김민규 양돈팀장의 ‘높은 돈가 속에서도 살아남는 해법, 생산성에서 답을 찾다’라는 주제 발표로 문을 열었습니다. 이어 김광문 부장은 ‘MSY 28.6두 달성의 핵심 사양관리 포인트’를 통해 실제 농장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료 효율 개선과 생산성 향상 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시했습니다. 이미주 수의 R&D팀장은 ‘동절기 질병관리 및 차단방역 포인트’를 발표하며 겨울철 리스크 관리와 현장 적용이 가능한 방역 솔루션을 제안했습니다. 행사 후 진행된 우수농장 시상식에서는 ‘황금보다
팜스코가 주최한 '우수농장의 날' 행사가 연천군 백학자유로리조트에서 지난 25일 성황리에 열렸습니다. 이 행사는 경기북부 연천지역의 양돈 농가 관계자 약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지속 가능한 양돈산업 모델을 제시하고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되었습니다. 특히, 이번 행사에서는 '돈우리농장'의 성공적인 운영 사례가 소개되어, 생산성 향상과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인 노하우가 공유되었습니다. 파주에 위치한 돈우리농장은 모돈 200두 규모의 양돈 농장으로, 총사료요구율(FCR) 2.8과 출하일령 150일이라는 뛰어난 성과를 달성하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행사에서 신대환 부장은 돈우리농장을 지속 가능한 양돈산업의 롤모델로 소개하며, 팜스코 프리미엄 사료 리더맥스GT마스터 젖돈 육성돈 급여가 이러한 성과의 핵심적 요인임을 전했습니다. 김영훈 S1본부 양돈팀장은 최근 3년간 한돈 산업이 지속적으로 고정비용 증가와 생산성 저하 문제를 겪고 있는 현실을 지적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해답은 생산성 극대화에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김 팀장은 "이번 행사는 팜스코 사료를 통해 성공을 거둔 돈우리농장의 사례를 중심으로, 생산성 향상과 환경 문제 해결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