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 번식군 내 마이코플라스마 하이오뉴모니아에(Mycoplasma hyopneumoniae; 유행성 폐렴) 상태를 분류하기 위한 표준화된 체계가 개발되었다; 통제되지 않은 양성(I), 통제된 양성(II), 잠정 음성(III), 음성(IV). 이는 돈군의 노출 및 배출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일련의 진단 지침을 정의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이 분류 체계는 마이코플라스마 하이오뉴모니아에의 역학적·생태학적 특성에 기반하며, 현재 현장에서 시행 중인 통제 및 근절 관행을 반영한다. 학계, 산업계, 돼지 수의사, 미국돼지수의사협회(AASV), 국가돼지고기위원회대표로 구성된 작업 그룹이 개발하였으며, 2019년 10월 2일 AASV 이사회에서 승인되었다. 명확하고 간결한 용어 사용은 모든 이해관계자 간 의사소통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논문 원문(바로보기), Establishing Mycoplasma hyopneumoniae herd status classification criteria for breeding herds, Maria J. Clavijo(Iowa State University), AASV, 2020] 번역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한국베링거인겔하임동물약품(대표 서승원)이 지난 5일 대전 롯데시티호텔에서 ‘M.HYO INSIGHT(엠하이오 인사이트)’ 세미나를 열고 돼지 유행성 폐렴(Mycoplasma hyopneumoniae)의 최신 동향과 질병 컨트롤 전략을 공유했습니다. 이날 세미나에는 전국의 양돈전문가·대리점·농장관계자 등 50여 명이 함께 자리했으며, '한국마이코플라즈마질병자문단(KMAP)' 소속 연자들이 실제 농장 데이터와 진단 기준, 예방 전략을 공유했습니다. 유행성 폐렴은 돼지에게 직접적인 폐사를 유발하지 않지만, 일당증체량·사료요구율 저하 등 생산성에 큰 영향을 주는 질병입니다. 폐사율의 주요 원인인 PRDC의 1차 요인이기도 합니다. 이 때문에 PRRS만큼이나 경제적 피해를 주는 질병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최근 유행성 폐렴 음성 종돈장이 늘면서 이들 음성 후보돈을 도입하는 농장에서 순치에 어려움을 겪고 유행성 폐렴으로 더 큰 피해를 보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첫 발표에 나선 오유식 박사(한국베링거인겔하임동물약품)는 유행성 폐렴과 함께 KMAP을 소개했습니다. 오 박사는 “KMAP는 국내 양돈장의 유행성 폐렴 질병 이해도를 높이고, 손실을 줄이기 위해 지난 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