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자돈 핸들링의 중요성 (동물복지와 생산성) 자돈을 올바르게 다루는 것은 동물복지 향상은 물론, 생산성 측면에서도 큰 이점을 가져온다. 올바른 핸들링 방법을 따르면 자돈 입장에서 불필요한 고통과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으며, 부적절한 핸들링으로 인한 상처로 치료하거나 폐사 처리해야 하는 손실이 감소한다. 다시 말해, 자돈을 다루는 방법은 농장의 동물복지 수준과 생산성 향상에 결코 작은 부분이 아님을 인식해야 한다. 따라서 농장 내 모든 직원들이 올바른 자돈 취급 요령을 숙지하도록 교육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신생 자돈은 체온 조절 능력과 면역 체계가 아직 미숙하여 아주 작은 자극에도 쉽게 스트레스를 받고 회복도 더디다. 이러한 이유로 작업 현장에서 자돈을 다룰 때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때로는 불가피하게 자돈에게 스트레스를 줄 수밖에 없는 상황이 있더라도, 자돈의 스트레스 감수성에 대한 이해 없이 과도한 불편을 주는 잘못된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WOAH(세계동물보건기구)는 돼지의 복지 향상을 위한 사양관리 지침을 제정하고 있으며, 귀나 꼬리를 잡아 들기와 같이 통증을 유발하는 행위는 권장되지 않거나 금지되고 있다. 즉, 자돈
┃ 자돈 초기 건강관리, ‘단순화’와 ‘효율화’의 균형을 맞추다! 돼지의 생애 초기에는 자돈의 이유 전후 생존율과 생산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처치들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생후 며칠 이내에 철분제(글렙토페론)와 항콕시듐제(톨트라주릴)를 투여하고, 이유 전에는 써코바이러스 및 마이코플라즈마(유행성 폐렴) 백신을 접종한다. 특히 최근에는 항생제와 사료 내 산화아연 사용이 제한되면서, 이유 후 자주 발생하는 '부종병(Edema Disease, 이하 ED)'을 예방하기 위한 백신 접종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자돈에게 흔히 발생하는 '철분결핍성 빈혈(IDA)'과 '콕시듐증(Swine Coccidiosis)'은 원샷 복합주사제 포세리스(철분 + 항콕시듐제)를 통해 간편하게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또한, 이유 이후 '시가톡신 생성 대장균(shigatoxigenic Escherichia coli, STEC)'이 분비하는 시가독소(Stx2e)에 의해 발병하는 부종병은, 어린 자돈에 에코포크 시가(Ecoporc Shiga)를 접종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자돈의 스트레스는 줄이고, 효율은 높이고! 국내외에서는 자돈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고 농장의
무더위 안먹고, 안자랍니다! 깨끗하고 찬 물을 먹게 해주고, 신선한 사료를 쉽게 먹을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합니다!! 물통·밥통청소가 핵심입니다!!! ☞자돈성공►►►건강한 이유자돈+시설·환경+위생+적절한 영양+관리와 정성 ☞자돈은 이유 후 1주일 동안 1일 평균 300g 사료 섭취, 1일 250g 성장이 목표 ☞4~10주령 목표: 일당증체량 500g이상, 사고율 2%이내, 사료요구율 1.5이내 ★자돈관리 성공을 위한 핵심관리 10가지 체크리스트(*자가 진단 5단계 점수 2-4-6-8-10 ) ① 이유부터 이동·선별후 물과 사료의 접촉시간이 빨라야 한다(2~3시간 이내) ( ) ② 올인-올아웃(피트까지), 단열과 샛바람 없는 시설, 급이기와 급수기 사전 점검 ( ) ③ 자돈현황판 기록: 돈방-두수-생일-전입일-사료교체예정일-백신예정일-사고 ( ) ④ 따뜻한 바닥과 보온구역있는 자돈방 권장(권장온도: 보온구역 30도, 실내 25도) ( ) ⑤ 암수체중 선별, 환돈 조기 발견 후 격리 치료, 매일 다른 색 표시(빨-파-검)( ) ⑥ 저체중 자돈 온수액상급이와 1호 및 2호 추가 급여, 보온등 특별관리 실시 ( ) ⑦ 초기 1~2주 보조 급이, 보주 급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