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8 (월)

  • 구름많음동두천 10.3℃
  • 구름많음대관령 9.9℃
  • 흐림북강릉 15.4℃
  • 흐림강릉 17.6℃
  • 흐림동해 18.4℃
  • 흐림서울 12.1℃
  • 구름많음원주 12.3℃
  • 구름많음수원 10.0℃
  • 구름많음대전 13.0℃
  • 구름많음안동 12.5℃
  • 흐림대구 15.7℃
  • 흐림울산 16.5℃
  • 흐림광주 15.6℃
  • 흐림부산 16.8℃
  • 구름많음고창 11.9℃
  • 흐림제주 14.9℃
  • 흐림고산 13.8℃
  • 서귀포 15.3℃
  • 구름조금강화 9.0℃
  • 구름많음이천 12.0℃
  • 구름많음보은 9.8℃
  • 구름많음금산 12.5℃
  • 흐림김해시 17.2℃
  • 흐림강진군 14.9℃
  • 구름많음봉화 6.5℃
  • 구름많음구미 14.6℃
  • 흐림경주시 13.8℃
  • 흐림거창 10.9℃
  • 흐림합천 13.5℃
  • 흐림거제 15.9℃
기상청 제공

[참고] 역대 ASF 양성 야생멧돼지 관련 상세 정보 I

자료 출처: 국립환경과학원(1차부터 29차 감염멧돼지 발견 정보)

지난 10월 3일 연천 비무장지대(DMZ) 내에서 야생멧돼지에서는 처음으로 ASF 바이러스가 확인되었습니다.

 

 

일반 양돈장에서의 ASF 발생은 10월 9일 14차를 끝으로 멈추었지만, 야생멧돼지에서의 ASF 감염 사례는 4일 기준 37건으로 늘어났으며, 당분간 계속될거라는 전망입니다. 

 

 

관련해 '돼지와사람'은 최근 국립환경과학원에 정보공개 청구를 통해 확보한 감염멧돼지 관련 정보를 공유합니다. 10월 3일 1차부터 11월 27일 29차 감염멧돼지 발견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폐사체로 발견된 가운데 일부 포획된 개체도 있습니다. 폐사체는 온전한 것부터 백골화가 한창 진행된 것까지 다양합니다. 

 

이번 ASF 사태에서 아직까지 야생멧돼지와 일반돼지 사이의 역학 관계는 밝혀진 바 없습니다. 여하튼 야생멧돼지에서의 ASF 바이러스를 제거하지 않고서는 이번 ASF 사태가 끝났다 볼 수 없습니다. 

 

※ASF 실시간 현황판(바로가기)

배너

관련기사

배너
총 방문자 수
12,069,671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