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가축분뇨 공동자원화사업에 대한 지식수준을 기준으로 응답자를 구분하여 민원요인을 분석하고, 이와 관련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인지적 요인, 갈등민원, 당위적 요인, 경제적 요인, 환경적 요인, 행정적 요인의 6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지식 수준이 높은 주민들은 당위적·경제적·행정적 요인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 반면, 지식 수준이 낮은 주민들은 환경적·당위적·행정적 우려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차별화된 갈등 대응 전략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시설이 이미 설치되었거나 운영 중인 지식 수준이 높은 지역에서는 참여형 계획 수립과 투명한 보상 절차를 우선시해야 한다. 반면, 향후 시설 설치 가능성이 있는 지식 수준이 낮은 지역에서는 맞춤형 정보 캠페인과 제3자 검증을 통해 환경 영향, 건강 문제, 경제적 혜택에 대한 인식 제고에 주력해야 한다. 두 그룹 모두에서 행정적 요인은 불만 수준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신뢰할 수 있는 거버넌스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투명한 소통, 프로젝트 세부사항의 조기 공개, 일관된 공공 참여가 필수적이다. 지방 공무원 대상 역량 강화 프로그램과 지역사회 중재자 양성도 권장된다.
정부가 농어업·농어촌과 상생협력 및 ESG 경영활동을 시행하고 있는 민간기업, 공공기관, 기타 단체를 대상으로 환경·사회·투명경영(이하 ESG) 실천인정제를 본격 확대합니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 해양수산부(장관 강도형, 이하 해수부),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김영환 사무총장, 이하 협력재단)은 농어촌 ESG 활동에 기여한 우수 기업·기관을 인정하고 홍보하기 위한 ‘2024년 농어촌 환경·사회·투명경영(ESG) 실천인정제(이하 실천인정제)’를 시행한다고 18일 밝혔습니다. 협력재단은 지난 2022년부터 농어촌상생협력기금 활성화의 일환으로 실천인정제를 시행해 왔습니다. 올해부터는 최근 ESG 경영 확산 기조를 활용한 농어촌 소멸위기 극복을 위해 농식품부, 해수부, 협력재단이 공동 주최하는 등 확대·개편된 실천인정제를 추진합니다. 이를 위해 객관적인 평가를 위한 평가지표를 개선하였습니다. 농어촌상생협력기금 출연 기업 외에 농촌사회공헌 인증기업 등 농어촌 ESG 관련 활동을 하는 모든 기업·기관·단체로 참여 대상도 확대하였습니다. 농어촌 ESG 실천 인정은 기업·기관·단체의 농어촌 상생협력 및 ESG 활동에 대해 환경(Environ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