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김정희, 이하 검역본부)는 지난 23일 검역본부와 민·관·산·학 전문가 15명이 참여한 가운데 경북 김천 소재 검역본부에서 ‘돼지질병 분야별협의체’를 개최했다고 최근 밝혔습니다. 토론에 앞서 한국동물용의약품평가연구원 김명휘 센터장은 '양돈농장의 주요 질병과 생산성 감소 요인’이라는 주제로 최근 농가에서 다수 보고된 주요 질병 사례와 생산성 저하 요인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이어, 참석자들은 PRRS 변이주 확산에 대비한 병원성과 생백신별 유행주에 대한 교차방어능 분석 필요성을 제기하였습니다. 기존 백신의 안전성과 효과를 강화하기 위한 맞춤형 백신 플랫폼 구축, 불활화백신 개발 등에 대한 의견을 나누었습니다. 인공지능(AI) 분석 기법을 통한 센서·카메라·GPS 활용 양돈장 모니터링과 유전자·단백질 정보 분석, 맞춤형 백신 예측 및 신소재 물질 개발 연구 과제 필요성을 제시하였습니다. 기초 연구 데이터의 체계적 수집과 민간·정부 간 데이터 공유 및 연계 체계 구축을 통한 질병 전파 예측 가능성도 제기하였습니다. 그외 돼지써코바이러스 유전형 3(PCV3) 병원성 연구와 귀 괴사증 원인 분석과 대책 마련 필요성에 대한 의견도 나왔습니다. 검역
경기도가 올해 상반기 8000두에 대한 돼지질병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지난 25일 경기도동물위생시험소(이하 '시험소')는 올해 상반기 도내 돼지농장 82곳과 도축장 7곳의 돼지 약 8천여 두(혈청검사 3,301두, 도축검사 4,830두)를 대상으로 돼지소모성질병 방제 피드백 사업을 추진했고 이에 대한 결과를 해당 농가에 통보했다고 밝혔습니다. 시험소에 따르면 혈청검사를 실시한 결과 질병별 항체 양성율은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PRRS)은 75.5%, 써코바이러스2형(PCV2)은 93.2%, 마이코플라즈마는33.2%, 흉막폐렴은 60.0%, 파스튜렐라는 89.4%, 글래서병은 52.1%, 살모넬라는 51.3%, 구제역SP 68.2% 로 나타났습니다.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PRRS)의 바이러스 검출은 4.5%(16년 7.1%)가 검출됐으며, 주로 비육단계인 40일, 70일령에 가장 많이 감염되는 것으로 검출됐습니다. 이중 북미형이 42%, 유럽형이 44%, 혼합형 14%로 나타났습니다. 살모넬라 감염률은 51.3%로 나타났는데, 이는 지난 2011년 배합사료 내 항생제 첨가금지 조치 이후 꾸준히 증가한 수치입니다. 도축장 병변검사를 실시한 결과, 유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