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증상과 설사를 유발하는 병원체로 알려진 '돼지 아스트로바이러스'가 호흡기 질병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 USDA 농업연구소, 아이오와 주립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크루즈의 공동 연구팀은 '돼지 건강 정보 센터(Swine health information center)'의 자금 지원을 받아 '돼지 아스트로바이러스 4형(porcine astrovirus 4, 이하 PoAstV4)' 단독으로 호흡기 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연구를 실시했습니다. PoAstV4 미감염 새끼 돼지(CDCD)를 바이러스에 감염시키고 그로 인한 감염과 병리학적 병변을 특성화하는 것이 포함되었습니다. 연구 결과 감염된 새끼 돼지는 분비물로 바이러스를 배출하고, 기관염과 기관지염을 나타냈고 조직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었으며,, 감염에 대한 생산적인 면역 반응(IgM 및 IgG 검출)을 보였습니다. 이번 연구의 결과는 PoAstV4가 새끼 돼지의 호흡기에서 상피친화성 바이러스 감염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한 최초의 연구입니다. PoAstV4가 어린 돼지에서 기관염과 기관지염을 유발할 수 있는 주요 호흡기 병원체임을 뒷받침하
최근에 아스트로바이러스(AstVs)와 관련된 신경계 질환이 돼지, 반추동물, 밍크, 인간에서 보고되었다. 2017년 헝가리와 미국에서 뇌척수염을 보이는 돼지의 중추신경계(CNS)에서 신경침습성 돼지 아스트로바이러스(Ni-PAstV) 3형이 검출되었다. 국내 돼지에서 신경학적 증상을 보이는 개체들을 진단하는 과정에서, 화농성 뇌척수염과 뇌막염, 신경세포의 빈혈구화, 신경교증(Gliosis)를 특징으로 하는 조직병리학적 소견이 관찰되었으며, 2020년 8월부터 9월까지 한국 내 3개 농장(정읍, 함양 소재)에서 채취된 4마리의 돼지(4~8주령) CNS 샘플에서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을 통해 PAstV가 확인되었다. 이후 3개의 뇌 샘플에서 ORF2 부위(region)가 성공적으로 분리되어 후속 분석이 가능해졌다. PAstV의 4가지 유전형(PAstV1, 3, 4, 5)이 검출되었으며, 뇌 샘플에서 PAstV의 다중 유전형 동시 감염이 관찰되었다. 이는 한국에서 돼지에서 Ni-PAstV 감염을 보고한 첫 번째 연구이다. [논문 원문(바로보기), Porcine Astrovirus Infection in Brains of Pigs in Korea,
'아스트로바이러스(Astrovirus)'는 포유류와 조류를 감염시켜 위장염, 신경계 질환 또는 무증상 감염을 일으킵니다. '돼지 아스트로바이러스 4(PoAstV4)'는 이전에 임상 호흡기 질환에 걸린 돼지의 상기도에서 검출된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호흡기 감염의 증거와 이 바이러스가 호흡기 병리와 연관성이 밝혀진 적은 없습니다. 원인을 알 수 없는 임상 호흡기 질환이 있는 어린 돼지를 대상으로 한 '후향적 연구(retrospective study)'에서 117마리 중 85마리(73%)의 상피세포성 바이러스 감염과 일치하는 병변에서 PoAstV4가 검출되었습니다(RNA in situ hybridization). 모든 사례에 대한 임상 사례 데이터는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호흡기 상피에서 PoAstV4가 검출된 85건의 사례는 총 15개 주(미국)에서 제출되었습니다. PoAstV4가 검출된 돼지의 중앙값과 평균 일령은 각각 21일령과 23.2일령이었습니다. 의뢰 수의사는 85건의 PoAstV4 양성 사례 중 80건(94%)에서 호흡기 이환율을 주요 우려 사항으로 지적했으며, 특정 임상 징후를 보고한 89건의 사례 중 63건(79%)에서 기침을 설명했습니다. 간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