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다보니 이런 돼지도 보네요. 축산 분야뿐만 아니라 인체 분야 질병 등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신기한 돼지가 개발되었습니다.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유전자 가위로 널리 알려진 캐스나인(Cas9, CRISPR associated protein 9) 단백질을 몸속에서 발현하는 돼지를 개발하고 이를 특허 출원(출원번호 1020230140898)했다고 최근 밝혔습니다. 살아있는 돼지에서 유전자를 편집할 수 있는 돼지가 국내에서 개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세계적으로는 중국(2017, 2023)과 독일(2021), 덴마크(2022)에 이어 네 번째입니다. 농촌진흥청은 유전자 기능 연구에 있어 돼지를 활용한 유전자 편집 동물 제작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체세포 복제 방법을 활용해 이를 발현하는 돼지를 생산했습니다. 캐스나인 유전자 가위가 살아있는 돼지의 몸속에 있으면 유전자 기능을 동물의 체내에서도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실험실에서 배양된 세포를 활용하는 것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원하는 유전자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살아 있는 동물 체내에서의 유전자 편집은 기존에는 '캐스나인 유전자 가위'와 '가이드 알엔에이
양돈산업은 전업화 또는 대규모화로 꾸준히 발전해오고 있다. 이와 함께 돼지의 번식능력 개량뿐만 아니라 돈육도 증체량과 함께 품질이 날로 향상되어 가고 있다. 본 연구는 1970년대부터 2018년까지 번식모돈 양돈장을 대상으로 총 80농장과 23명의 연구자의 번식경영 보고 자료를 이용하여 번식관리 경영분석 결과를 가지고 고찰한 내용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총산자수는 2018년에 11.50두로 최근 년도일수록 점점 상승하였으며, 2010년대(10.85두) 대비 2018년은 14.43% 향상되었다. 그리고 포유 개시두수는 2000년대 9.84두 대비 2018년은 10.15두로 3.15% 증가되었다. 모돈 회전율은 2000년대에 2.10회에서 2018년에서는 2.30회로 9.52%가 향상되었다. 그리고 모돈 도태율은 2000년도에 28.31% 대비 2018년은 26.72%로 -5.62%가 낮아진 것(감소)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모돈의 번식성적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복당 이유두수는 2000년대는 8.15두로 비교적 저조하였으나, 2000년대 대비 2018년은 9.85두로 13.87%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포유 중 육성률은 2000년대에 88
비육돈의 제한된 사육공간은 개체 성적 및 증체량 등의 생산성에 영향을 주는 연구들이 많이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는 돈사 내 사육밀도에 따른 비육돈의 생산성 및 공격 행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돈사별 사육 밀도는 저밀도(1.0㎡/마리), 중밀도(0.8㎡/마리), 고밀도(0.6㎡/마리)로 구분하여 돈방별로 8두씩 총 24두(평균 체중: 75.1±4.3kg)를 공시하여 총 56일간 사양시험 및 공격행동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양시험기간 동안 사료와 물은 자유섭취하게 하였다. 시험종료시 체중과 증체량 및 일당증체량은 저, 중밀도 사육이 고밀도 사육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1). 도체중은 저밀도 및 중밀도 사육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1). 등지방두께는 저밀도 사육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1). 공격행동 분석의 결과는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공격행동 빈도가 저밀도 군에서 평균 32.0회로 가장 낮은 빈도로 발생하였다. 또한 귀물기, 몸통물기, 싸움행동은 사육밀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귀물기 행동에서는 중밀도 처리구에서 저밀도 및 고밀도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현대의 양돈 시스템에서 자돈들은 이유하면서 이유자돈사로 옮겨지게 되는데, 그곳에서 자돈들은 모돈으로부터의 분리, 고형사료를 섭취해야하는 문제, 새로운 환경과 사회적 분위기에 대한 스트레스, 새로운 병원체에 대한 노출 등 다양한 스트레스에 노출되며, 이유 후 48시간 동안 서열을 정하는 과정을 겪게 된다. 이러한 물리적 스트레스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만 하는 사회적 스트레스가 한꺼번에 오면서 이유자돈은 식욕감소, 성장정체, 설사 등의 증상을 보이고, 생산성에도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이유 후 돈군 이동지연이 자돈의 성장,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평균 체중 6.77±1.395kg의 3원 교잡종([Yorkshire×Landrace]×Duroc) 180두를 공시하였으며, 3처리 6반복 펜당 10마리씩 성별과 체중에 따라 난괴법으로 배치하였다. 처리구는 1) D0: 이유 직후 분만사에서 자돈사로 이동한 처리구, 2) D3: 이유 후 분만사에서 3일 대기한 후 자돈사로 이동한 처리구 3) D5: 이유 후 분만사에서 5일 대기한 후 자돈사로 이동한 처리구이다. 실험 결과 성장성적과 설사지수에서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발견
2020년 대비 2022년 포유자돈 사육비는 약 24%, 비육돈 사육비 약 25%, 번식돈 사육비는 약 52% 상승하고, 후보모돈 가격은 약 34%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같은 사실은 한돈미래연구소(소장 김성훈, 이하 연구소)가 지난 22일 발표한 '2022년 양돈경영지표'에서 확인되었습니다. 이번에 연구소가 발표한 '2022년 기준 양돈경영지표'는 단순한 표 한 장입니다. 여기에는 2022년 한돈팜스 조사자료를 활용한 ▶모돈 1복당 평균 포유 및 이유두수 ▶모돈 연간 평균 이유두수·출하두수·출하중량 ▶분만율 ▶모돈회전율 등의 분석 결과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담았습니다. 아울러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포유자돈 생산비, 비육돈·번식돈 사육비 등의 내용도 포함했습니다. 후보돈 및 번식돈 생산지표, 후보모돈 및 웅돈, AI정액 가격 등 시장 조사가격 등도 수록했습니다. 이번 '2022년 양돈경영지표'는 추후 구제역·ASF 등 제1종 법정전염병 발생으로 피해를 보게 되는 양돈농가에 대한 보상기준으로 활용될 예정입니다. 정부는 지난 7월 살처분 보상기준을 개정하고, 돼지 살처분 보상금 산정 시 현장에서 영수증 등 증빙이 어려울 경우 한돈협회에서 발표하는 '양돈경영지
국내 양돈업의 생산성은 선진국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다. 생산성 정체의 가장 큰 원인은 가축관리 미흡, 가축질병 발생으로 인한 높은 폐사율 때문이다. 이러한 부분을 조기에 진단하여 생산성 저하를 높이기 위해서는 평소 돼지의 스트레스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해외양돈업과 다르게 국내양돈업에서는 평시에 개별농가 현장에서 길러져 납품되고 있는 돼지의 바이오마커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않았다. 또한 돼지의 질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혈액분석법 대신 로프를 이용해 채취한 타액 내 바이오마커 농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농장에서 길러지고 있는 돼지들의 스트레스 수치를 정량화하였다. 돼지 스트레스의 표지가 되는 바이오마커를 네 가지(α-amylase, CRP, IgA, cortisol) 선정하여, sandwich ELISA 방법과 competitive ELISA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고, 스트레스 조건은 수정 스트레스와 공기정화에 의한 스트레스 두 가지 요인을 보았다. 모돈의 수정 스트레스의 경우, IgA는 급성 염증 바이오마커인 CRP와 유사한 경향성을 보였고 면역력을 나타내는 IgA는 수정 진행 후 면역력 수치가 올라갔다가 내려오는 것을 알
돼지 정액을 저장하는 동안 산화스트레스의 발생은 정자의 질과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이다. 정액의 저장은 온도 변화, 동결보호제 등의 다양한 스트레스 인자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정자 내에서의 산화스트레스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생성에 의해 발생되며, 이는 지질, 단백질, DNA와 같은 세포를 구성하는 물질에 산화적으로 손상을 일으킨다. 활성산소종과 항산화물질의 균형있는 체계는 정자의 생존과 그 기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액을 장기간 보존하게 되면 활성산소종의 수준이 증가하여 정자의 운동성, 막 온전성, DNA 온전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활성산소종에 의해 유도된 지질과산화 반응은 정자막의 유동성과 안정성에 영향을 미쳐 정자의 운동성을 감소시킨다. 그리고, DNA의 산화적 손상은 DNA 단편화를 일으켜 정자의 DNA 온전성을 손상시킬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정액을 보관하는 동안 발생되는 산화스트레스는 정자의 질과 기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 따라서, 산화스트레스의 기본적인 메커니즘과 정자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것은 산화스트레스로부터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이고
김인수 대표의 꽃밭농장(모돈 120두 일관, 세종)은 지난 '17년 재건축과 함께 '3주간 그룹관리' 농장이 되었습니다. 김 대표가 3주간 그룹관리를 도입한 이유는 무엇보다 '올인-올아웃' 적용으로 질병고리를 차단할 수 있다는 점 때문입니다. 또한 소규모 농장으로서 인력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점도 있습니다. 덕분에 꽃밭농장은 외부 인력 없이 가족(부부)만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지난 '18년부터 현재까지 무항생제 인증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지난해에는 '전국축산물품질평가대상 최우수상(장관상)'을 수상한 바 있습니다(관련 정보). 참고로 김인수 대표는 한우사육과 경축순환농업도 겸하고 있습니다. 정리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