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家庭), 가족(家族), 가계(家係), 국가(國家) 등의 한자어에 쓰이는 한자 '집 가(家)'. 여기 한자家(집 가)에 돼지가 숨어 있다고? 한자家(집 가)를 뜯어 보면지붕 (宀)과 돼지 시 (豕)로 나눌 수 있는데, 쉽게 말해 '지붕 아래에 돼지가 들어있는 모양'입니다. 혹자는 중국의 옛 가옥 구조에서 유래되었다고 얘기합니다. '사람이 사는 집 아래에 구덩이를 파서 거기에 돼지를 키웠지 않았나' 하고 말입니다. 실제 이와 유사한 가옥 구조 유적이 중국에서 발견된 적이 있다고 합니다. 다른 어떤 이는 돼지가 '다산과 풍요의 상징'으로서 새끼(자식)를 많이 낳는다는데서家(집 가)를 형상화 했지 않나 추정합니다. 옛사람의 입장에서 전통적으로 자식은 노동력과 번성에 꼭 필요한 동시에 집안의 대를 이을 소중한 존재이기 때문에 많이 낳아 잘 키우기를 바랬을 것입니다. 이밖에 한자家(집 가)에 대한 유래 관련 다양한 추정이 있습니다만, 두 번째가 가장 그럴싸하지 않나 싶습니다. 현재에도 여전히 그 의미가 통하니 말입니다. 참고로 '가돈(家豚)'이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자기 아들'을 말하며 '남에게 자기의 아들을 낮추어 이르는 말'입니다. 아무튼 수천년의 역사 속에
1994년 6월 22일 대한뉴스는 '면역성분 등 잔류물질이 없는 무공해 청정 돼지고기 '크린포크'를 개발해 우루과이 라운드를 헤쳐가는, 서울 공대 출신 공학도들이 세운 축산업체'를 소개합니다. 과거 양돈기업 '선진'의 모습입니다. 당시 일본으로 돼지고기 수출이 한창이어서 무엇보다 '위생' 개념이 중요했고 '크린포크(편집자 주 - 깨끗한 돼지고기)' 브랜드가 대표적인 예라 하겠습니다. 영상속의 농장은 아마도 이천 소재 '제일종축' 같습니다. 한편 2000년 구제역과 돼지열병 발생으로 일본으로 돼지고기 수출은 중단되었습니다. 선진은 2007년 하림 그룹에 의해 인수되었고 2010년 '선진크린포크'는 '선진포크'로 변경되었습니다. 2016년 제일종축은 '동물복지축산농장'으로 인증을 받습니다.
대한뉴스 제 744호(1969년 제작)는 '밝아오는 새농촌'이라는 1분 22초 영상입니다. 농협중앙회에서 '제 4회 축산계 특수조합 업적 경진대회'를 개최하여 최우수조합에 '경기도 양주군 축산조합'이 선정 되었습니다. 양주군 축산조합은 계란과 닭고기를 군납하여 농가소득을 올리고, 미국과 일본 등지로부터 개량품종 가축을 수입하여 관내 조합원들에게 공급하여 주고 있습니다. 특히 양주군 축산조합에서는 배합 사료공장을 만들어 하루 30톤의 사료를 생산하여 관내 축산 조합원들에게 적기에 공급하여 생산비를 줄였습니다. 비록 짧은 기록이지만 농협중앙회를 중심으로 부농이 되기위해 노력하는 선배 축산인들의 활기찬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1961년 8월 '농업협동조합법'에 의거하여 발족한 농협중앙회는 조합업적경진대회, 새농민운동 등을 통하여 이동조합(里洞組合)의 경영체제를 구축합니다.
대한뉴스 제362호(1961년 제작)에서는 1960년대 정부의 종농정책 가운데 양돈분야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당시파주 종돈장에서는 국내 우량 품종 보급과 해외수출을 목표로 바크셔(버크셔?)를 비롯한 각종 우량 품종을 연간 400두를 생산하였고 농가에 수입원이 될 목적으로 2600여 마리의 개량종을 농가에 무료로 나누어 주었는데 돼지 한 마리씩을 받아 흐믓해 하는 마을 주민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어 영상은 우리나라 축돈 5개년 계획을 소개하면서 기준년도 1,869.200마리를 생산하고 5년 뒤에는 세 배가 늘은 3,274,000마리가 생산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끝으로 당시 1961년에 홍콩을 중심으로 한 동남아 지역으로 살아있는 돼지, '생돈 수출'로 300만 달러를 벌어 들였고1962년에는 무려 11만두를 수출하여 440만 달러 외화를 획득할 것이라 소개하고 있습니다. 영상 끝자락에당당히 'MADE IN KOREA'가 쓰여진 나무상자에 담겨 해외로 수출되는 종돈들을 보고 있자니 신기하고 놀랍기만 합니다.
1964년 제작된 대한뉴스 제 481호 '꿀꿀이 공수작전'이라는 영상입니다. 서울에서 제주도로 700마리의 돼지를 비행기로 실어 나른다는것은 지금 대한민국에서는 상상하기도 힘든 일일 것입니다. 보릿고개가 있던 60년대 한국에서 돼지가 얼마나 중요한 가축이었는지 미루어 짐작할 수 있습니다. 1954년 제주도로 온 아일랜드 출신의 패트릭 제임스 맥그린치 신부는 가난한 제주도민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해 나갑니다. 특히 제주 농민을 가난에서 구제할 2000마리의 새끼돼지를 서울에서 제주도의 이시돌 중앙농장으로 옮기는 계획에 들어갑니다. 이에 공군의 도움을 받아 먼저 700마리를 공군 수송기에 실어 옮기는 한국 양돈 역사에 다시 없을 기발하고 엉뚱한 사건이 벌어진 것입니다. 이후 1969년에는 뉴질랜드에서 종돈까지 도입하였다고 하니 신부님의 제주도민 사랑이 얼마나 각별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신부님과 제주 농민들의 노력의 결과로 1973년 3월 양돈 농가 약 200세대가 돈협업 농가를 조직하게 됩니다. 현재는 과거의 역사로부터 출발합니다. 2017년 제주도의 양돈 산업의 뿌리를 찾아가보면 64년 그날 공군 수송기를 타고 갔던 꿀꿀이들이 씨앗이 된 것은 아닌지
영상을 통해 1991년 경남 김해의 양돈장에서 자동화 시설과 IT기술을 만났을 때 우리는 놀라움을 넘어선 경이로움을 느낍니다. 대한뉴스에 따르면 당시 태화 축산은 올인 올아웃 시스템을 이미 도입하여 10여명의 직원들이 5,000여두를 과학적으로 관리하고 있다고 합니다. 출산부터 양육 상태를 컴퓨터로 관리하고 1984년부터 급식 시설과 돈분 처리 시설에 자동화 시설을 도입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뉴스 영상은 현재 진호 축산의 전신인 26년전 태화 축산 모습입니다.태화 축산은 故이시길 대표가 1972년 돼지 30두로 양돈업을 시작했으며 현재는 선친의 뜻을 따라 이진호 대표가 모돈 850두(총 사육규모 9900여두) 규모로 양돈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몇 회에 걸쳐 본 지에서는 한돈 산업의 역사를 느낄 수 있는 옛 동영상을 발굴하여, 선배 양돈인들은 잠시 추억에 잠기는 시간을, 후배양돈인들은 선배들의 열정과 노력을 배우는 시간을 갖도록 하려고 합니다. 과거로의 여행을 통해 즐거운 시간 되시기 바랍니다.
‘수의정책 전략 실무 지침서’라 할 수 있는 '웬헬스로 여는 수의정책 콘서트'라는 제목의 책이 출간되었습니다. 이 책은 수의업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던 '수의정책 콘서트(관련 기사)'에 이은 두 번째 책입니다. 수의사로 34년 넘게 공직에서 일해온 저자(김용상 과장, 농림축산식품부 조류인플루엔자방역과)가 그간의 경험과 지식을 온전히 담아 현재 수의 환경을 점검하고 미래 수의 정책에 관한 실무 지침을 제시하고자 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저자는 "3년간 최선을 다해 썼다"라고 밝혔습니다. 책은 ▲정책 일반 ▲수의 정책 일반 ▲수의 의료 정책 ▲동물위생 정책 ▲수의공중보건 정책 ▲동물복지 정책 ▲원헬스 정책 ▲기후변화와 수의 정책 총 8개 파트, 4백여 페이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저자는 전 세계적으로 보건위생 분야에서 최선의 과학적 위생관리 방식으로 인정받는 원헬스(One Health) 관점에서 수의 분야 전반에 걸친 주요 시대적 쟁점 사안에 대한 해법을 제안합니다. 또한, 최근 사회적, 경제적으로 영향력이 급증하고 있는 수의정책에 대한 올바른 이해, 수립 및 실행 기법 등에 관한 국내외 사례, 저자의 경험 등도 소개합니다. 또한, 저자는 사람과 동물의 건강과 복지
지난 1일부터 서울 성수동 XYZ SEOUL에서 '한돈데이 팝업스토어' 행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관련 기사). 지방에서는 다양한 지역 축제가 열린 가운데 한돈을 즐기는 풍경이 연출되었습니다. 대표적으로 충북 증평에서는 인삼골축제(10.4-6일)가 열렸는데 행사 두 번째 날인 5일 홍삼포크삼겹살 대잔치가 관람객의 대성황 속에 열렸습니다. 전남 함양의 함양산삼축제(10.3-9일)에서는 함양흑돼지가 관람객의 입맛을 사로잡았습니다. 경북 봉화의 봉화송이축제(10.3-6일)에서는 봉화군의 토속음식인 돼지숯불구이를 제현해낸 메뉴가 선보였습니다. 경북 구미에서 열린 '구미푸드페스티벌(10.5-6일)에서는 '삼겹굽굽존'이 운영되었는데 시는 지난해 15만명 보다 더 많은 방문객이 이번 축제를 찾았을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앞으로도 지역 축제는 계속 이어집니다. 한편 지난주(9.29-10.5) 평균 돼지 도매가격(제주 및 등외 제외, kg당)은 5736원으로 2주 연속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다만, 5736원은 지난해 같은 기간(5048원)보다는 13.6% 높은 수준입니다.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이마트24는 국산 돼지고기 패티를 활용한 '한돈 불고기버거'를 판매한다고 25일 밝혔습니다. 한돈 불고기버거 패티는 국내산 돼지고기를 83% 함유하고 있습니다. 중량은 80g으로 일반 햄버거 패티보다 두툼하고 햄버거 번(빵)도 버터로 코팅해 특유의 윤기와 쫄깃한 식감을 느낄 수 있다고 이마트24는 설명했습니다. 이마트24는 편의점에서 프리미엄(고급) 버거를 찾는 고객들이 늘어남에 따라, 패티, 햄버거 번 등 원재료를 업그레이드하거나 내용물을 푸짐하게 구성한 프리미엄 버거 상품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실제 이마트24의 3천500원 이상 프리미엄 버거의 매출 비중은 지난해 49%에서 올해(1∼8월) 62%까지 늘었습니다. 프리미엄 버거 상품 종류도 지난해 14종에서 올해 18종으로 늘었습니다. 경도영 이마트24 FF(Fresh Food)팀 파트너는 "한돈 불고기버거는 한돈 패티를 활용한 프리미엄(고급) 버거"라며 "앞으로 한돈 패티를 활용한 상품과 버터로 코팅한 번을 활용한 프리미엄 버거 라인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전했습니다. 이근선 기자(pigpeople100@gmail.com)
충남 홍성군은 올해도 11월 1∼3일 홍주읍성 일원에서 ‘홍성 글로벌바비큐페스티벌’을 개최한다고 23일 밝혔습니다. 홍성 글로벌바비큐페스티벌은 지난해 관람객 50만명이 다녀가면서 대한민국 대표 특산물 축제로 발돋음 했습니다(관련기사). 축산의 도시 홍성군에서 준비되는 글로벌바비큐페스티벌은 군에서 생산하는 우수 농축산물을 바비큐로 즐기며 재미와 맛을 함께 느낄 수 있는 축제입니다. 특히 더본코리아와 지역대학생이 협업하여 운영하는 메인 바비큐존에서는 18시간을 숯으로 구워낸 돼지 바비큐를 맛볼 수 있습니다. 이밖에도 유튜버 바비큐존, 웨버 바비큐존, 조선 바비큐 '난로회' 체험 등이 운영될 예정입니다. 이용록 군수는 “남당항은 대하축제, 새조개 축제 등으로 전국에서 많은 인파가 몰리는 서해안 대표 먹거리 포구”라며 “바비큐 페스티벌을 통해 남당항의 매력을 널리 알리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근선 기자(pigpeople100@gmail.com)
대한한돈협회(회장 손세희)는 9일 서울경기양돈농협을 방문하여 이정배 조합장과 간담회를 갖고 최근 한돈산업의 주요 현안에 대해 논의를 진행하였다고 밝혔습니다. 이 자리에서 이정배 서울경기양돈농협 조합장은 손세희 회장에게 한돈산업발전기금 1천만 원을 전달했습니다. 이정배 조합장은 기금을 전달하며 “양돈 전문조합으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고, 경제사업의 다각화를 통해 조합원들의 생산성 향상과 생산비 절감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왔다”며, “대한한돈협회와 조합이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여 한돈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함께 도모하자”고 강조했습니다. 이에 손세희 대한한돈협회장은 “농가의 경영 안정을 위해 협동조합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다”며, “기탁해 주신 발전기금은 한돈산업 발전을 위해 의미 있게 사용할 것”이라고 화답했습니다. 서울경기양돈농협은 국내 한돈산업을 선도하는 대표적인 품목 협동조합으로, 내실 있는 경영을 실천하며 지난해 사업 실적이 약 4조 203억 원에 달하는 등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특히, 서울경기양돈농협의 대표 돈육 브랜드인 ‘허브한돈’은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굿브랜드’에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습니다. 한편, 서울경기양돈농협은 경기북부 지역
지난 8월 2일은 '수의사처방제'가 도입된지 만 11년이 되는 날이었습니다. 수의사처방제는 수의사 처방을 통해 항생제나 기타 약품에 대한 오남용을 막고 항생제의 축산물 잔류 및 내성균의 출현 등을 예방하기 위해 시행되었습니다. 실제 효과가 나타났는지 의문시되고 있습니다. 특히, 항생제 판매량(사용량) 자료에서는 전혀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관련 기사). 미국과 유럽의 경우 수의사 처방제는 기본이고, 여기에 더해 동물용항생제 사용 감축 노력이 활발합니다. 가시적인 성과를 나타내는 보고서가 속속 발표되고 있습니다(관련 기사). 항생제는 가축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좋은 도구입니다. 하지만, 공중보건상 위해를 가할 수 있습니다. 소비자에게 거부감을 줄 수 있습니다. 고기를 대체하는 산업에게는 대체육의 필요성의 구실이 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돼지와사람은 허재승 수의사를 만났습니다. 허 수의사는 항생제 관련 발표와 기고를 통해 한돈산업이 항생제 이슈를 어떻게 대하고 풀어나가야 할지를 전하고 있습니다. 허 수의사는 항생제 내성은 반드시 한돈산업이 시급히 풀어야 할 우선 과제이며, 무작정 줄이기보다 신중히 사용해야 함을 주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