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이 27일자로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하였습니다. 이번 주의보 발령은 지난 24~26일 동안 제주특별자치도 및 전라남도에서 채집된 42마리 모기 중 10마리가 올해 처음으로 일본뇌염을 매개하는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로 확인됨에 따라 내려졌습니다. 올해 주의보 발령은 지난해(3월 30일)보다 3일 정도 빨랐습니다. 이는 제주 및 완도 지역의 평균 기온이 전년 대비 상승(▲ 6.2℃)하면서 모기 활동이 빨라진 결과로 추정됩니다. 일본뇌염을 매개하는 ‘작은빨간집모기’는 논이나 웅덩이 등에 서식하며, 주로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하고, 3월 말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8~9월에 정점을 보입니다.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사람의 경우 대부분 발열이나 두통과 같은 가벼운 증상이 나타납니다.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될 경우 고열, 발작, 착란, 경련, 마비 등의 증상이 발생하며, 이 중 20~30%는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돼지의 경우는 대부분 별다른 증상을 나타내지 않습니다. 다만,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초산돈이 감염되면 약 40% 정도의 유산 및 사산을 일으킵니다. 이에 모기가 발생하기 전에 예방백신을 접
본 연구는 국내 양돈농가를 대상으로 PRRS 감염의 위험요인을 파악하고자 전국 305개 표본 양돈농가에 대한 질병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단변량 로지스틱 분석에서 PRRS 감염위험과 관련이 있는 변수는 총 8개였으며, 이 8개는 ▶농장성적 전산관리미이행 ▶무항생제 미인증 ▶정액에 대한 질병검사 결과 미확인 ▶위축돈을 완전 격리 미이행 ▶방명록 미작성 ▶구충구서 기록부 미보관 ▶수의사의 부정기적 방문 ▶, 차단방역 점검표 미운용 등으로 PRRS 감염위험의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최종 다변량분석에서는 위축돈을 완전 격리하거나 외부방문객에 대하여 방명록을 작성할 경우 PRRS 감염위험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을 계층요인으로 투입한 다층분석에서는 군집효과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어 개별 농가수준에서의 차단방역이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 원문(바로보기), 다층모형을 이용한 국내 양돈농가의 PRRS 위험요인 분석, 김으뜸(강원대학교 수의과대학·동물의학종합연구소) 외, 한국임상수의학회, 2017] 정리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지난해 전국 양돈농가에 큰 피해를 유발했던 PED가 최근 들어 다시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는 소식이 있습니다. 사실일까요? 네 사실입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산발적이며, 지난해에 비하면 크게 감소한 발생 수준으로 파악됩니다. 농림축산검역본부 자료(가축전염병 발생월보)에 따르면 올해 1월 PED 발생건수는 잠정 6건입니다. 모두 제주에서 확진되었습니다. 이후 공식적인 발생건수는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에 돼지와사람이 직접 취재해 보았습니다. 그 결과 올해 1월부터 3월 현재까지 PED는 제주를 비롯해 경기, 강원,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등에서 양성건수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시도별로 제주를 제외하고 1~2건에 불과합니다. 제주의 경우 만성적으로 상재화된 상태라는 의견입니다. 인터뷰에 응한 한 수의사는 "아직 확산 단계는 아니며, 농장에 있던 바이러스에 의해 재발생한 것이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자가선발 또는 외부 후보돈 도입시 PED 백신 접종을 잊지말 것"을 당부했습니다. 다른 수의사는 "지난해 조합농장에 일일이 연락해 국내 PED 주요 유전자형인 G2b 바이러스에 대응할 수 있는 백신을
돼지 인플루엔자는 Orthomyxoviridae infulenzavirus A에 의해 발생하는 돼지의 호흡기 질병으로서, 잠복기는 1~3일 정도이고 기침, 발열, 재채기, 호흡곤란 등의 임상증상을 보인다. 또한 모돈에 감염 시 유사산, 불임 등의 번식장애를 보이는 경우도 있다. 인플루엔자 A는 사람, 조류, 돼지에 감염 가능한 인수공통전염병이며 이 중 돼지는 조류와 사람 바이러스에 모두 감염될 수 있기 때문에 유전자 재조합이 일어날 수 있는 동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충북도 돼지에서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의 항체양성률을 조사하여 시간적, 공간적 분포를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2021년 3월부터 11월까지 충북동물위생시험소 관할 지역인 청주, 진천, 증평, 괴산에 위치한 돼지 농장에서 돼지열병 및 구제역 항체 검사를 위해 채취한 혈액 샘플을 사용했다(모돈, 육성·비육돈). 또한, 소모성 질병 지도지원 사업에 참여하는 3개 농장을 선택하여 모돈의 산차와 자돈의 일령에 따른 항체양성률 상태를 조사했다. 조사 결과 월별 항체양성률은 모돈은 5월과 8월에 가장 높고 육성 비육돈은 8월에 가장 높았다. 육성돈과 비육돈의 양성률은 3월부터 8월까지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모습
ASF는 전 세계 양돈산업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이 질병은 한때 특정 지역에만 국한되어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여러 대륙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어 연구자들과 양돈농가 모두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따라서 ASF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 개발은 최근 수의학 연구의 최우선 과제가 되고 있다. 생약독화 백신 후보주인 'ASFV-G-ΔI177L/ΔLVR'은 우수한 효능과 안전성을 보였고, 백신 접종 후 ASF 항체가 장기간 지속되었다. 이번 연구는 농장 환경의 변화에 따라 고병원성 동종 ASF 바이러스에 대한 보호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국내 돼지에 ASFV-G-ΔI177L/ΔLVR을 근육 내 접종한 후 병원성이 강한 야외 ASF 바이러스 균주로 공격 접종을 실시했다. 또한 백신을 접종한 돼지에서의 유전체 안정성(genomic stability; 후보주 배출)과 장기 항체 지속성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 백신을 접종한 모든 돼지는 높은 항체 양성률을 보였으며, 공격감염 시점에 더 높은 수준의 항체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높은 수준의 ASF 백신 항체는 백신 접종 후 약 2개월 동안 유지되었다. 백신을 투여한 지 약 2개월 후에 백신 바이러스 배출이 최소
최근 미국에서 가축수송차량의 PED 바이러스 오염도를 낮추기 위한 세척·소독 방법 비교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되고 있습니다. 미국은 지난 2013년 PED 바이러스가 유입되어 양돈산업 전체에 큰 피해를 입은 바 있습니다. 현재에도 산발적이나마 지속적으로 바이러스가 검출되고 있는 가운데 차단방역(사육단계별 농장 운영 포함) 개선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이번 연구는 가축수송차량의 PED 바이러스를 줄이는데 다양한 세척 및 소독 방법을 효능을 평가하는 것입니다. 미국돈육자조금(Pork Checkoff)과 식품농업연구재단(Foundation for Food & Agriculture Research)와 연계한 돼지건강정보센터(Swine Health Information Center) 프로그램의 지원을 받아 아이오와주립대학 로저 메인 박사(Rodger Main) 연구팀이 수행했습니다. 연구팀은 가축수송차량 세척 방법을 크게 3가지로 구분했습니다. ▶Dry Clean(드라이클린, 긁어내고 굽기) ▶Volume hose wash and disinfect(용량 호스 세척·소독) ▶Power wash and disinfect(압력 세척·소독). 추가로 양성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PRRSV)'는 유전적 다양성이 높고 독성 수준이 달라 질병 관리와 백신 개발을 복잡하게 만들고, 그 결과 전 세계 양돈산업에 상당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단일 세포 전사체학(single-cell transcriptomics)'을 포함한 기술을 사용하여 다양한 병원성을 가진 PRRSV 균주(JB15-N-M8-GN; NA8, JA142 및 JB15-N-PJ10-GN; NA10)에 따른 '기관지폐포세척액(bronchoalveolar lavage fluid)'의 면역 세포 구성의 종단적 변화(longitudinal changes)와 임상 결과를 평가했다. 고(高) 병원성 감염의 경우 바이러스 복제 속도가 빨라지면 폐 손상 시간의 피크가 더 일찍 발생한다. 이때, 심각한 간질성 폐렴, 대식세포의 현저한 감소, 림프구의 유입이 나타난다. 바이러스 추적 결과 대식세포의 5% 미만이 직접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 분석 결과 주변 세포의 사멸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엑소좀 마이크로RNA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여 조절된 것으로 보인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중간 정도의 병원성 감염의 경우, 폐 손상 시간의 피크가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 국립축산과학원은 전북대학교(김원일 교수팀), 중앙대학교(김준모 교수팀) 연구진과 공동으로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PRRS,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바이러스의 병원성에 따른 호흡기 감염 경로 차이를 규명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진은 4주령 돼지에 각기 다른 강도(저, 중, 고)의 병원성 PRRS 바이러스를 접종하고, 임상 증상과 기관지 내 세포의 유전자 발현 정보를 분석하고, 면역반응을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PRRS 바이러스는 핵심 면역세포인 '폐포 대식세포'를 감염시키는데, 바이러스의 병원성 차이에 따라 감염된 대식세포에서 분비하는 면역 관련 대사물질이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고 병원성 바이러스는 빠른 증식으로 간질성 폐렴을 유발하고 면역세포를 감소시키고 림프구 유입을 증가시켰으나, 중·저 병원성 바이러스로 인한 폐 손상은 상대적으로 완만했으며, 면역세포 구성도 차이가 있었습니다. 또한, 감염된 세포가 비감염 대식세포의 감염을 유도하는 것도 확인했습니다(감염 세포 유래 엑소좀 microRNA →비감염 대식세포(Bystander cell)의 사멸 유도). 중병원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