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 귀 끝 괴사(Porcine ear necrosis)'는 주로 이유자돈에서 나타나며 증상 정도는 개체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대부분 발생 원인을 특정할 수 없는 가운데 여하튼 외상(물림 상처) 또는 혈액 순환 장애 등으로 일어납니다. 혈액 순환 장애의 경우 귀에 분포된 혈관에 문제가 발생해 괴사가 나타나는데 세균·바이러스뿐만 아니라 곰팡이독소가 원인일 수 있습니다. 귀 끝 괴사는 돼지 건강과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므로 평상시 사전 모니터링과 관리가 요구됩니다.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돼지증식성장병증(porcine proliferative enteropathy, PPE)은 L. intracellularis(로소니아 인트라셀룰라리스)에 의해 발생하는 소화기 질병으로 전 세계에 만연하여 양돈농가에 큰 피해를 주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1995년 발생이 확인된 이후 지속적으로 발생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축산관련차량 중에서도 특히, 전국 각 지역의 양돈 차량에서 샘플을 채취할 수 있는 도축장 출하 차량에서 L. intracellularis의 분포 실태를 조사하여 방역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실시하였다. 2017년 1∼12월까지 전북 남부지역 관할 도축장에서 매월 가축운반차량 5대씩 운전석 발판, 운전자 방역복 및 신발, 짐칸, 차량 외부, 타이어 등의 5부위를 도말(swab)하여 총 300건을 대상으로 검사하였습니다. 조사 결과 전체적으로 양성은 119건(39.7%)이었으며, 운전자 방역복 및 신발이 26건(43.3%), 운전석 발판이 25건(41.7%), 짐칸이 23건(38.3%), 타이어가 23건(38.3%) 그리고 차량외부가 23건(36.7%)으로 채취 부위에 따라 결과가 유사하였다. 계절별로는 겨울 58.7%,
지난해 돼지의 구제역 백신 항체양성률이 역대 최고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감염으로 의심할 수 있는 감염항체 검출도 없었던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사실상 지난해는 9년 만에 구제역이 문제가 없었던 해입니다. 농림축산검역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2월까지 돼지 총 40만 9천 476마리에 대한 구제역 SP(백신) 항체양성율은 번식돈이 97.4%, 비육돈이 92.5%입니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0.3%포인트, 1.2%포인트 증가이며, 지난 '11년 전국적인 상시 백신을 실시한 이래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번식돈과 비육돈을 합한 돼지 전체 평균 항체양성률은 93.2%입니다. 이 역시 전년 대비 1.1%포인트 증가이며, 역대 가장 높은 기록입니다. 참고로 소와 염소의 평균 항체양성률은 각각 98.2%, 89.8%입니다(전년과 동일).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는 항체양성률 기준치 이하 양돈농가는 최근 손에 꼽을 정도로 줄었습니다(번식돈 60%, 비육돈 30%). 일례로 지난달의 경우 비육돈 2농가만이 기준 이하로 확인되었습니다. 또한, 지난해 감염항체라 부르는 NSP 항체는 새롭게 검출된 사례가 없었습니다. 돼지의 경우 모두 40만 5천 281마리에 대해
현재까지 돼지를 감염시키는 4종의 써코바이러스가 확인되었다; 돼지 써코바이러스 1형(PCV1), 2형(PCV2), 3형(PCV3), 4형(PCV4). PCV1은 비병원성으로 간주되는 반면 PCV2, PCV3 및 PCV4는 돼지에서 다양한 임상 증상과 관련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PCV2, PCV3, PCV4를 검출하고 타이핑할 수 있는 새로운 tqPCR(triplex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분석법을 개발하고, 국내 돼지 시료를 이용하여 진단 가능성을 평가하여 3종의 병원성 PCV의 유병률 및 동시 감염 여부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국내 198개 양돈농가의 1,476개 임상검체(개별 돼지)를 이용한 임상평가에서 tqPCR 검사에 의한 PCV2, PCV3, PCV4 검출율은 각각 13.8%, 25.4%, 3.8%로 나타났다. 농장 수준에서의 PCV2, PCV3 및 PCV4의 유병률은 각각 46.5%, 63.6% 및 19.7%로 파악되었다. PCV4 경우 개별 돼지 수준보다 농장 수준의 유병률이 더 높아 향후 PCV2, PCV3와 마찬가지로 국내 양돈농가에서 풍토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본 연구는 국내 PRRS 양성 농장들에서 사육단계별 돼지로부터 채집한 개체별 혈액과 돈방 단위 구강액 시료 사이의 PRRSV(PRRS 바이러스)와 PRRSV 특이 항체 진단 결과를 비교하여 오랫동안 진단 시료로 이용한 개체별 돼지의 혈액을 돈방단위 구강액 시료로 대체 가능한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최근 1년 이내 PRRSV 감염 경력이 있는 5농가를 선정했다. 각 농장의 사육단계별(6주, 9주, 12주, 16주, 후보돈) 가장 작은 체중을 보이는 1개의 돈방을 선정하고, 5두씩 25두(전체 125두)의 돼지 혈액과 멸균된 면 로프를 이용하여 1개씩 5개(전체 25 개)의 구강액 시료들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검사 결과 개체별 혈액의 항체 양성률은 68.8%(86/125)로 나타났고 돈방 단위 혈액의 항원 양성률은 44.0%(11/25), 항체 양성률은 80.0%(20/25)를 보였다. 돈방 단위 구강액의 항원 양성률은 40.0%(10/25), 항체 양성률은 84.0%(21/25)로 나타났다. 돈방 단위의 구강액 시료를 이용한 항원, 항체 검사는 혈액과 거의 동일한 수준의 양성률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PRRSV 감염이 토착화된 국내 농장들에서 구강액 시료는 PR
Actinobacillus(A.) pleuropneumoniae는 돼지가 유일한 자연 숙주이며, 돼지 흉막폐렴(porcine pleuropneumonia)의 원인체로 전 세계적으로 양돈산업에서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제주도에서 발생하는 돼지 흉막폐렴에 대한 병리학적 연구를 통하여 병변의 특징을 파악하였으며, 병변을 유발하는 A. pleuropneumoniae의 혈청형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또한 배양된 균체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재료로 최근 5년 동안 제주도 소재 24개 양돈장으로부터 제주대학교 수의과대학 병리학교실에 병성감정 의뢰된 돼지 흉막폐렴 시료 가운데 PCR을 통해 A. pleuropneumoniae 감염이 확인된 총 50개의 폐장 시료를 실험에 공여하였다. 연구 결과 총 50두 중 심급성 23두(46%), 급성 22두(44%), 만성 5두(10%)로 분류되어 본 실험에서는 흉막폐렴이 주로 심급성 및 급성 형태임을 알 수 있었다. 연령에 따른 흉막폐렴의 발생 양상을 살펴보았을 때 전체 50두 중 43두(86%)가 3∼4개월령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주지역 돼지 흉막폐렴이 연중 발생하
돈두(豚痘, swinepox, SWP)는 돼지에서만 발생하는 급성의 바이러스성 피부 질병으로 남북미, 유럽, 아시아 등 전 세계적인 발생 분포를 보인다. 원인체인 돈두바이러스(swinepox virus, SWPV)는 Poxviridae, Suipoxvirus속이며, 외피(envelope)로 둘러싸여 있고 이중 가닥의 DNA를 가진 벽돌 모양(brick-shaped)의 대형 바이러스이다. 3-4개월령의 어린 자돈에서는 이환율이 100%에 이르기도 하고 심한 증상을 나타내는 반면, 성돈에서는 경미한 병변을 유발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가 치유되는 경향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SWPV의 전파는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질이 손상된 피부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발생한다. 또한 SWPV는 '돼지 이(Haematopinus suis)'에 의한 기계적 전파가 가능하며, 드물게 선천적 감염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본 증례는 국내 양돈 농장에서 발생한 신생 자돈의 SWP 발병 예이다. 2018년 5월, 전남 나주시 소재 모돈 400두 규모의 자돈생산농장(farrow-tonursery farm)에 사육 중인 3산차 모돈으로부터 태어난 13두의 신생 자돈 중 4두에서 비정
농림축산검역본부(이하 검역본부)가 다가오는 겨울철 일선 농가에 PED 발생 주의를 당부하면서 PED 백신을 사용한다면 반드시 G2b 타입의 PED 백신을 쓸 것을 당부했습니다. 최근 열린 한국돼지수의사회 연례세미나에서 검역본부 안동준 연구관은 '전국 모돈 PED 항체 현황과 올바른 백신 선택'이라는 주제로 발표했습니다. 안동준 연구관에 따르면 올해 PED 발생건수는 9월 말 기준으로 모두 204건이 발생해 지난해 전체 발생건수 48건의 4배를 넘어선 상황입니다. 가장 발생건수가 많았던 2018년 221건을 넘어설 태세입니다. 안 연구관은 "올해 PED는 1월에 경남 고성에서 12농가가 집단 발생하였으며 2월에는 전북 정읍, 익산, 김제의 농가들에서 대단위로 발생을 하였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3월에 충남 홍성, 제주 농가들로 전파되면서 이후 4월부터는 전국적인 유행 양성으로 전환하였고, 여름 기간을 지나면서 현재는 소강상태"라고 설명했습니다. 현재 유행하고 있는 PED 바이러스는 지난 2013년 말부터 한돈산업에 큰 피해를 주고 있는 G2b타입의 바이러스입니다. 이전에는 G1 타입의 바이러스가 주로 문제를 일으켰습니다. 이에 검역본부와 백신제조사는 G2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