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회 주사로 부종병 철벽 방어, ‘에코포크 시가’! 세바의 ‘에코포크 시가(Ecoporc Shiga)’는 전 세계 최초로 개발된 오리지널 부종병 백신으로, 임상형뿐만 아니라 준임상형 부종병까지 효과적으로 예방합니다. 2013년 첫 출시 이후 전 세계적으로 1억 두 이상의 돼지에게 접종되며 그 효과가 입증되었습니다. 세계 최초로 개발된 오리지널 부종병 백신 뛰어난 안전성과 효능으로 임상형 및 준임상형 부종병 컨트롤 항생제 및 산화아연 사용량 감소 농가의 생산성과 수익성 향상 농장의 보이지 않는 위험, ‘돼지 부종병’ '돼지 부종병(Edema disease of swine; ED)'은 농장에서 주요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PCV2, PRRS, PED 등과 같은 질병들보다 많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농장 내에 보이지 않는 위험 요소로, 앞으로 더욱 중요하게 다뤄져야 할 질병입니다. 돼지 부종병은 병원성 대장균 중 ‘시가톡신(Stx2e)’을 생산하는 '부종병 대장균(STEC)'에 의해 발생하는 독혈증입니다. 주로 이유자돈 시기에 발생하지만, 육성-비육 구간에서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출하 시점까지 철저한 보호가 필요합니다. 전형적인 임상 증상으로는 돼지의 안면과 눈
세계 최초 모돈/후보돈/자돈 허가 PCV2 백신, ‘써코백’! '써코백(Circovac)'은 세계 최초로 개발된 써코 백신으로, 모돈과 자돈 모두에게 사용이 허가된 유일한 백신입니다. 써코 바이러스 전체 항원(Whole virus)을 함유하고 있으며, 면역증강제 '이뮨이지'로 강력하고 안전하게 면역을 유도합니다. ▶ 세계 최초 & 유일! 모돈/후보돈/자돈 허가 백신 ▶ 강력하고 안전하게 면역 유도 ▶ 출하까지 강하고 오래 유지되는 면역지속기간(DOI) ▶ PCV2d에 대한 최적의 교차방어능 현재 국내외 양돈 농가 중 PCV2 백신을 사용하지 않는 곳은 거의 없을 것입니다. 돼지 써코바이러스 2형(Porcine Circo Virus 2; PCV2)은 이미 국내 양돈 농가에 상재화된 병원체로, 대부분 농가는 자돈들이 이유되기 전에 PCV2 백신을 일괄적으로 접종하여 PCV2 감염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모돈과 후보돈에는 써코 백신을 접종하지 않는 농장이 많아, PCV2 컨트롤의 사각지대로 남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모돈들이 머무는 임신 교배사는 올인-올아웃(All-in All-out)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돈군 내에서 PCV2의 순환
세바코리아(대표 김용석)가 지난 1일 'MSY 개선 프로젝트, 써코는 모돈부터!'라는 주제로 웨비나가 열고 모돈에 대한 써코 백신 필요성을 전했습니다(관련 기사). 이날 웨비나에는 채찬희 교수(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를 비롯해 신현민 원장(팜스플랜 동물병원), 이현준 팀장(세바코리아 기술지원팀) 등이 발표자로 나섰습니다. '써코 바이러스(PCV2)'는 일령에 상관없이 돼지를 감염시킬 수 있습니다. 살아남기 위해 변이를 거듭하고 있습니다. 소독을 통해 제거가 어려울 정도로 강한 생존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PRRS나 마이코플라즈마 청정 농장은 존재해도 써코 청정 농장은 없습니다. 다행스럽게도 현재 상용화된 대부분의 백신이 예방 효과가 좋아 과거 백신 개발 이전의 5~30%대의 높은 자돈 폐사 피해를 겪고 있는 농장은 없습니다. 하지만 모돈 등 번식돈은 여전히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게 전문가의 지적입니다. 채찬희 교수는 "대부분의 농장에서 써코 백신의 자돈 접종 효과에 대해서는 너무나 잘 알고 있지만, 써코 백신의 모돈 접종 효과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 것 같다"라고 말했습니다. 채찬희 교수에 따르면 써코 바이러스는 모돈에 감염되어 유사산 등의 번식장애을
'돼지 써코바이러스 2형(PCV2)'은 전 세계 양돈농가에 상재화 된 병원체로, 자돈뿐만 아니라 모돈에게도 영향을 미쳐 농장의 생산 성적을 저하시킨다. 모돈에서의 'PCV2 생식기 질환(PCV2-RD; REPRODUCTIVE DISEASE)'은 재발, 유산, 미이라, 태자 흡수 등을 일으켜 번식 성적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시험에서는 PCV2에 의한 유산이 의심되는 농장에 ‘써코백(세바 PCV2 백신)’을 적용하고, 이를 통한 번식 성적 개선 효과를 확인해보았다. 시험 농장의 상황 시험농장은 프랑스에 위치한 모돈 1,600두 규모의 폐쇄돈군으로 운영되는 일괄 농장이다. 자돈들의 이유일령은 약 21일령이며, 후보돈은 다른 돼지들과 떨어진 별도의 시설에서 2개월간 격리되어 사육하고 있었다. 자돈들에게서는 써코 관련 임상증상이 보이지 않았으나, 모돈군에서는 번식 장애가 오랫동안 문제가 되어 생산 성적이 기대보다 훨씬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는 상태였다. 유산은 모돈의 산차와 상관없이 발생하는 패턴을 보였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태율(92% 이상), 미이라(복당 0.3마리), 사산(복당 0.73마리)은 나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농장에서는 3.5개월마다
돼지 써코바이러스 2형(Porcine Circo Virus 2; PCV2)은 전 세계 양돈 농가에서 흔히 검출되나 매우 중요하게 다뤄야 하는 병원체이다. 자돈에서는 이유 후 문제를 야기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모돈에서는 'PCV2 생식기 질환(PCV2-RD; REPRODUCTIVE DISEASE)' 형태로 재발, 유산, 미이라, 태자 흡수 등을 일으켜 번식 성적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포유자돈으로의 조기 감염 문제도 일으킬 수 있다. 자돈에서의 써코백신 접종은 공식처럼 당연시 여겨지지만, 모돈 접종은 소홀히 여겨지고 있다. PCV2에 의한 번식 성적 저하는 당장은 크게 눈에 띄지 않고 백신접종의 필요성을 체감하지 못할 수 있으나, 농장의 경제적 손실을 줄이고 생산성적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모돈에서도 정기적인 써코백신 접종이 필요하다. 이 시험은 독일에 위치한 3개의 일괄농장에서 진행되었으며, 심각한 임상형 PCVAD(돼지 써코바이러스 연관 질병)를 겪고 있는 농장들(자돈~비육돈의 총 폐사율이 약10%)을 대상으로 써코백(PCV2 백신) 사용이 농장의 번식 성적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그림 1). 각 농장의 전체 모돈 중 백
"세바는 동물용의약품의 연구개발에 전념하고 있는 세계 5위의 기업으로 110여 개 국가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세바의 '다 함께, 동물의 건강 그 이상의 가치를 위하여'라는 비전은 사람과 동물의 건강을 넘어서 복지가 함께 연결되어 있음을 강조합니다. 세바는 전 세계 수의사, 보호자 및 축산업에 종사하시는 분들이 동물들의 건강과 복지를 이룰 수 있도록 조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동물용 백신, 약품 및 건강제품을 연구하고 개발하여 최적의 사용을 보장하기 위해 기술지원 및 장비 관련 교육 등 전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세바코리아(대표 김용석)가 다음달 1일 오후 5시 ''MSY 개선 프로젝트. 써코는 모돈부터!'라는 주제로 1시간 동안 웨비나를 개최합니다. '돼지 써코바이러스 2형(PCV2)'은 전 세계 양돈산업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질병으로, 매년 양돈업계에서 적지 않은 손실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돈군 내 써코 바이러스 순환을 효과적으로 컨트롤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현장에서는 이를 실천하는 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이에 세바코리아는 써코바이러스 컨트롤 전략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이번 웨비나를 준비했습니다. 먼저 채찬희 교수(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가 '써코백신 모돈 접종 효과'를 소개합니다. 이어 신현민 원장(팜스플랜)이 써코바이러스 컨트롤 전략으로 '자돈+모돈 백신접종의 중요성'을 공유합니다. 이현준 팀장(세바코리아 기술지원팀)은 '유일한 모·자돈 허가 써코백신, 써코백!'을 설명합니다. 웨비나 참석은 사전 등록(바로가기)을 통해 누구나 가능합니다. 웨비나 참가자를 대상으로 시청 인증 이벤트도 준비되어 있습니다. 이번 웨비나에 대해 보다 자세한 사항은 세바코리아(070-8277-4748)로 연락하면 됩니다. 이근선 기자(pigpeople100@gma
산욕기는 분만 후에 임신 전의 상태로 회복되는 기간이다. 모돈은 이 기간 동안 분만 후 장애를 겪을 수 있는데, 농장의 경제성에 영향을 미치기에 현대 양돈산업에서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분만 후 유즙분비이상 증후군(PDS 또는 PPDS; Postpartum Dysgalactia Syndrome)'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며(Klopfenstein et al., 2006), '분만 전후 유즙분비저하 증후군(PHS; Periparturient Hypogalactia Syndrome)', '산후패혈증, 산욕열, 산후독혈증', 'MMA(유방염-자궁내막염-무유증; Mastitis-Metritis-Agalactia)' 등과 같은 이름도 제안되고 사용되어 왔다. 이 주제에 대한 많은 연구는 1970~1990년대 사이에 대부분 수행되었으며(Gerjets and Kemper, 2009), 그 후의 지속적인 연구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돌파구는 마련되지는 않았다. '분만 후 유즙분비이상 증후군(PDS)' 발생은 농장의 위생도와 사양관리 수준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최적의 위생도를 유지하고 수세 및 소독으로 잘 관리되는 농장에서도 발생한다. '분만후 유즙분비이상 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