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생산성도 좋아야 하지만, 생산 효율도 높여야 한다.
우리나라 양돈업에 대한 생산성 뿐만 아니라, 생산에 대한 효율도 개선의 여지가 매우 큽니다. 다양한 면으로 생산 효율을 가늠할 수 있겠지만, 1인당 모돈 관리 두수가 그 주요 지표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만약 우리농장에서 모돈 50두를 1명이 관리하는것이 일반적인데 비해, 외국의 경우 1인당 모돈 100두를 관리 한다고 한다면 우리의 생산성 효율은 절반에 불과합니다. 다비육종의 내부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종돈장의 1인당 모돈 관리 두수는 약 50두 내외이지만, 외국 종돈장의 경우 1인당 모돈 관리 두수는 70두로 생산효율의 측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에 필자는 생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 몇 가지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1. 임신사 1회 급여(Holt 등, 2016)임신사 사료 급여 횟수는 정해진 시간에 사료를 한번만 주는 게 핵심입니다. 사료를 한번만 주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스트레스 저감, 위 용적 증대 등 여러 장점이 있지만, 가장 중요한 이유는 관리 시간의 절감입니다. 임신돈 사료를 1회주건, 2회주건 성적에는 차이가 없다고 하니 한번 참고해 볼만 합니다. 임신모돈이 스트레스 받는다고 사료주기 위해 임신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