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비육돈 생체 100kg 기준 생산비는 28만4천원이고 두당 순수익은 8만6천원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전년보다 각각 6.3%, 7.1% 증가한 수치입니다. 지난 25일 통계청(청장 황수경)은 지난해 비육돈을 포함한 축산물 생산비와 순수익 조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17년 축산물 생산비는 육계를 제외한 모든 축종에서 전년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계란 14.7%, 비육돈 6.3%, 육우 5.6%, 송아지 3.3%, 비육우 2.2%씩 각각 증가했는데 이는 가축비(비육돈, 계란), 노동비, 영농시설비 상승에 따른 것입니다.육계는 사료가격 하락에 기인하여 전년대비 0.5% 감소했습니다. ‘17년 축산물 순수익은 소축종은 전년대비 감소한 반면, 돼지 및 닭축종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우와 육우는 축산물 판매가격 하락에 기인해 감소했습니다. 반대로, 돼지와 닭은 축산물 판매가격 상승에 힘입어 순수익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한편 비육돈 중심으로구체적으로살펴보면, 먼저 ´17년 비육돈 생산비(100kg)는 가축비(6,557원↑) 및 사료비(6,288원↑) 등의 상승으로 전년보다 1만7천원(6.3%) 증가한 28만4천원인 것으로 파악되었
통계청이 지난 19일 올해 1/4분기(3월 1일 기준) 가축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한 가운데 돼지 관련 총마릿수와 모돈수, 사육가구수가 이전 자료와 큰 차이를 보여 적지않은 혼란과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올해 1/4분기 총마릿수는 11,156천두, 모돈수는 1,058천두, 사육가구수는 6275호입니다. 지난해 4/4분기 발표 수치 보다 각각 642천두, 58천두, 1869호가 증가한 수치입니다.실제로는 전분기 대비 모두 감소했습니다.이번에 함께 발표된 지난해의 분기별 돼지 동향조사 수치는 통계청이 새롭게 작성·제시한 것입니다. 통계청은 이번 돼지 동향조사에서 모집단을 '농림어업총조사'에서 '돼지이력제'로 변경하여 작성하였다고 밝혔습니다.농림어업총조사는 축산 가구를 대상으로 한 전수조사입니다. 반면,돼지이력제는 농장식별번호가 부여된 가축사육시설의 사육현황신고 자료입니다. '17년 4/4분기의 돼지 동향조사 자료를 농림어업총조사와 돼지이력제로 비교해 보면 총마릿수는 759천두, 모돈수는 58천두, 사육가구수는 1907호가 증가한 셈입니다. 반면 가구당 마릿수는 601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한편 그간 통계청의 가축사육통계에 대한 불신이 있어 왔던 것이 사실입니
지난해 돼지고기를 포함한 축산물의 생산·유통·소비 단계의 유통 정보를 총망라한 보고서가 나왔습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백종호, 이하 축평원)은 생산자, 유통업자, 소비자 모두에게 유용한 축산물 유통 정보를 조사·정리한 ‘2017 축산물 유통실태’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3일 밝혔습니다. 축평원은 지난 2012년부터 주요 축산물의 유통가격, 유통경로, 유통비용 등 유통 실태 현황에 대한 정보를 담아 보고서로 발간하고 있습니다. 이번 보고서에는 2017년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계란, 소‧돼지 부산물, 수입산 쇠고기, 수입산 돼지고기 등 기존 8개 대상 품목에 더해 수입 쇠고기 부산물, 수입 돼지고기 부산물을 추가하여 총 10개 품목에 대한 조사·분석을 담았습니다. 축평원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7년 품목별 유통비용률, 즉소비자가격에서 유통비용이 차지하는 비율은 닭고기 54.8%, 쇠고기 48.0%, 돼지고기 43.7%, 계란 37.5% 순으로 확인됐습니다. 돼지고기의 유통비용률 43.7%는 돼지고기 소비자 가격이 1,000원일 때 생산자 수취가격은 563원이고 유통비용은 437원이라는 의미입니다. 실제 생산 및 출하단계에서 돼지 두당 평균 가격은 41
지난 6일 경구 구미에서 올들어 45번째 돈사 화재 발생(관련 기사) 이후 추가 화재 소식은 없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화재가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하루 0.5건, 이틀에 한번 꼴로 돈사 화재! 소방청 자료에 따르면 13일 기준 올들어 양돈장 누적 화재 발생 건수는 47건입니다. 언론에 노출되지 않는 화재가 2건이 그새 발생했다는 얘기입니다. 2017년 돈사화재 기록은 최근 9년간 최고 기록이었습니다. 모두 189건입니다. 2016년에 비해 12건이 증가했습니다. 이는 365일 기준으로 하루 0.5건의 화재가 발생한 셈입니다. 이틀에 한번 꼴로 양돈장에서 불이 난다는 것입니다. 올해 화재 발생 추이는 작년과 비슷합니다. 상당히 좋지않은 소식입니다. 화재로 인해 얼마나 죽나? 작년 화재와 관련 많은 질문 중에 하나는 '돈사 화재가 그리 많이 발생하는지 몰랐다. 그런데, 도대체 얼마나 많은 돼지를 화재로 잃는 것이냐?' 입니다. 아쉽게도 관련 정확한 자료는 없습니다. 발생건수, 피해액, 인명피해 자료는 있으나, 구체적인 돼지 폐사 자료는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구체적인 자료가 공개되지 않은 것이 많은데다가 공개된 자료도 불완전합니다.관련 정보 수집에도 한계가 많
2022년 정부가 설정한 돼지고기 목표 자급률은 78.6%인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지난 5일 농림축산식품부는 홈페이지를 통해 2022년 식량 및 주요 식품의 자급률 목표를 고시하였습니다. 이번 고시는 '농업·농촌·식품산업 기본법'에 따른 것입니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은 5년마다 식량 및 주요 식품 자급률의 목표치를 설정하여 국민들에게 알리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번 고시를 통해 정부가 밝힌 2022년 식량자급률(식용곡물) 목표는 55.4%입니다. 사료용 곡물을 포함한 곡물자급률은 27.3%, 칼로리로 환산한 열량 자급률은 50.0% 입니다. 관심이 가는 축산물(육류) 자급률 목표는 72.0%입니다. 이 가운데 돼지고기는 78.6%이며 쇠고기는 42.6%, 닭고기는 83.2%입니다. 또한, 우유 및 유제품은 54.5%, 계란은 99.6%입니다. 정부는 돼지고기 자급률 목표를 다소 높게 설정했습니다. 이를 알 수 있는 것이 작년 한돈의 자급률 성적은 71%입니다. 그리고 올해 대한한돈협회·한돈자조금이 설정한 자급률은 75.2%입니다. 따라서 2022년 78.6%의 돼지고기 자급률은 현재의 축사적법화 및 냄새, 동물복지 등의 이슈로 마냥 모돈을 늘릴 수 없는 상황에
작년 76~80kg 구간 돼지 도체가 탕박 kg당 전국 평균 가격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를 제외하면 80~87kg 도체가 가장 높은 가격을 형성했습니다. 이와 같은 사실은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백종호, 이하 축평원)이 5일 발간한 '2017축산물등급판정 통계연보(이하 '통계연보')’를 통해 확인되었습니다. 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소·돼지·오리의 등급판정 물량은 늘고 닭과 계란은 조류인플루엔자 등의 영향으로 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돼지 판정두수는 전년 1,652만 4,000두 대비 1.1% 증가한 돼지 1,671만 3,000두 입니다. 국내산 돼지고기 공급량은 99만 8,000톤으로 전년 대비 1.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14년 이후 꾸준한 증가세 입니다. 돼지 탕박 평균 도체중량은 87.9kg으로 전년 대비 0.1kg 감소, 등지방두께는 21.8㎜로 0.2㎜ 증가했습니다. 돼지 탕박 도체의 kg당 평균 경락가격은 4,947원으로 전년과 비교해 347원 상승했습니다. 탕박(전국) 평균 경락가격을 도체중별로 살펴보면 도체중량 76kg이상∼80kg미만 구간에서 가장 높게(5,137원/kg) 나타났으며, 평균가격(4,947원/kg) 대
우리나라 양돈산업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없는 낱말 중 하나는 '가족(family)' 입니다. 양돈산업이 발달한 외국의 경우, 특히 미국과 캐나다 양돈산업에서 '가족'은 양돈산업의 출발점이자 원동력입니다. 또한 양돈산업을 지역사회로 끈끈하게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합니다. 물론, 로컬푸드로서 돼지고기 소비촉진의 무기이기도 합니다. 한편 양돈산업 역사가 그리 길지않은 우리나라에도 '2세 한돈인'이 생겨나고 그리고 늘어나고 있습니다. 매우 좋은 현상입니다. 한돈에 '가족'이라는 힘이 계속해서 더해지기를 바래봅니다. 어쩌면 지속가능한 한돈산업의 힘은 '가족'이라는 사람에서 찾을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2018년 한돈팜스 수급전망이 발표되었습니다. 4년째 이어온 고돈가는 내년 소폭 감소하지만, 여전히 긍정적입니다. 그러나 한돈의 생산성적 전망은 여전히 밝지 못 합니다. 낮은 한돈생산성이 높은 돈가를 지탱하는 셈입니다. 18일 대한한돈협회(회장 하태식)는 서울시 서초구 소재 양재 AT센터에서 '한돈팜스 2016년 전산성적 및 2018년 수급전망'을 발표하였습니다. 한돈팜스를 통한 생산성 분석은 한돈팜스에 등록된 4,279개 농가 중 3,320개 농가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입니다. 분석모돈수는 83.1만두에 해당됩니다. 한돈협회는 내년 출하두수는 1,716만두로 올해보다 2.6% 늘고, 돈가는 올해 평균가보다 300원 하락한 4,600원으로 예상했습니다. 또한 내년 돼지고기 수입이 감소할 것으로 보는 가운데, 내년 자급률 예상 목표는 75.2%로 올해보다 4.5% 증가해 2014년 수준으로 회복시킨다는 것입니다. 올해 양돈생산성 성적을 살펴보면 MSY는 17.7두로 추정하였습니다. 작년보다 0.3두 감소한 수치입니다. PSY는 20.9두로 작년보다 0.2두 증가했지만, 이유후 육성률이 2.1%로 감소한 여파입니다. 한돈의 고질적인 낮은 생산성은 높은 돈가에도
서울시 민생사법경찰국(이하 민사국)은 이달 3일 서울시 봄꽃 축제 기간 원산지 표시 특별단속을 실시한 결과, 원상지 거짓표시를 한 음식점 등 12개소를 적발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들 중 일부 음식점은 배달앱에 수입 돼지고기를 국내산으로 표시하여 소비자들을 속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특히 B업소는 김치찌개에 미국산 돼지고기를 사용하면서도 배달앱에 ‘국내산 생고기 농협 안심 한돈만 사용합니다’라는 거짓 정보를 제공했습니다. 이와 함께, 원산지 거짓표시 6개소와 혼동표시 1개소는 민사국에 의해 형사입건되었으며, 원산지 미표시 5개소는 농관원에서 과태료를 부과할 예정입니다. 서울시는 이번 단속을 통해 봄꽃 축제장 주변 인기 음식점들을 중심으로 원산지 표시의 정확성을 점검하는데, 시민들의 제보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강조했습니다. 원산지 표시를 거짓으로 하거나 소비자에게 혼동을 줄 우려가 있는 경우, 관련 법에 따라 최대 7년의 징역형이나 1억원 이하의 벌금형이 부과될 수 있으며, 원산지를 아예 표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서울시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원산지 표시 단속을 강화하고, 위법행위를 발견할 경우 적극적으로 신고할 것을 당부하며,
함양군은 함양한들자율상권조합(이사장 이현근)에서 주관한 '흑돼지 활용 창작요리 경연대회'가 지난 17일 한들거점센터 광장에서 성공리에 개최됐다고 밝혔습니다. 이 행사는 한들상권활성화사업의 하나로 진행되었습니다. 특히 이번 대회는 물 맑고 청정지역에서 키운 함양의 흑돼지를 활용해 전체 팀이 요리를 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으며, 저마다의 창의성을 발휘해 기존에 없는 요리를 개발해 독창성과 더불어 상품성이 높다는 좋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창작요리 경연대회는 레시피 심사를 거쳐 선발된 10개 팀이 참가했습니다. 심사는 호텔조리학 교수, 요리 전문 강사, 유튜버 등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참가자들의 요리를 맛과 창의성, 상품성 등을 평가했으며, 현장 방문객 50여 명이 참여하는 방식으로 진행됐습니다. 총 5팀이 수상한 가운데, 대상은 흑돼지에 특별한 소스를 가미한 샤슬릭과 오징어 먹물빵을 활용한 '흑돼지샤슬릭&샌드위치'가 선정됐습니다. 부상으로는 200만 원 상당의 상품권이 제공됐습니다. 한들자율상권조합은 함양의 낙후된 상권을 활성화하기 위해 중소벤처기업부 공모사업인 상권활성화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지리산함양시장을 중심으로 228개의 점포가 권역에 포함돼
공주 다산농장 이상묵 대표는 2025년 1월 마지막 출하를 끝으로 40년간 이어온 양돈 경영의 장을 공식적으로 마감했습니다. 이에 다비육종(대표이사 윤성규)은 이상묵 대표에게 그동안 쌓아온 소중한 인연에 대한 깊은 감사의 뜻으로 감사패를 전달하며, 대표의 업적에 경의를 표했습니다. 초기 도전과 도약의 발자취 1986년 모돈 8두와 60평 규모의 돈사에서 양돈업에 첫발을 내딛은 이상묵 대표는 경영의 즐거움을 깨닫고, 공주 정안면에 모돈 200두 규모의 일관농장을 신축하고 다비육종의 고능력 종돈을 기반으로 기초돈군을 조성하며 본격적인 양돈 경영에 도전장을 내밀었습니다. 한결같은 신념과 꾸준한 열정 1998년부터 2024년까지, 이상묵 대표는 26년간 단 한 번의 변심 없이 다비육종을 고집했습니다. 다산성 종돈을 PS(비육돈 생산용 모돈)농장 최초로 도입하며 수차례의 시행착오를 겪기도 하였지만 긴밀한 협조를 통해 위기를 극복해 나갔습니다. 매일 아침 6시에 출근하여 농장을 가꾸고 돼지를 관리한 그의 뜨거운 열정과 근면함은 다산성 종돈의 유전능력을 극대화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으며, 그 결과 매년 우수한 성적을 달성하였습니다. 경영 철학과 후대에 남길 유산 이상묵
"세상 누구보다 양돈에 진심이셨던 당신의 열정을 사랑하며, 같이 고민하고 함께 지낼 수 있어 행복했습니다. 이제 인생 2막을 시작하시는 이상묵 사장님~ 앞으로의 인생이 바라는대로 꿈꾸는대로 언제나 행복하고 평안하시길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지난 14일, 대한한돈협회 공주지부(지부장 송일환)에서는 매우 특별한 행사가 열렸습니다. 최근 농장을 스스로 접기로 결정한 이상묵 대표(다산농장)의 은퇴식이 있었습니다. 이날 공주지부 회원들은 이상묵 대표의 그간 양돈산업에 대한 진심과 열정을 기리며 감사의 마음을 전했습니다. 이근선 기자(pigpeople100@gmail.com)
[한계 없는 능력] 세계에서 가장 건강한 음식 8위 ‘돼지기름’ 올해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이하 한돈자조금)는 ‘한계 없는 능력, 국산 돼지고기 한돈’의 우수성을 알리고자 총 5회에 걸친 특집 기획기사를 준비했습니다. “한계 없는 능력으로 증명된 한돈의 진짜 실력”을 메인 테마로, 지난 1편 ‘한돈의 초고속 유통시스템’에 이어 이번 2편은 ‘세계에서 가장 건강한 음식 8위 돼지기름’편입니다. ◈ ‘비타민B1, D, 콜린까지… 돼지기름이 건강한 이유’ 전통적으로 돼지기름은 ‘살찐다’, ‘느끼하다’ 등 건강에 해롭다는 인식이 강했으나, 최근 들어 돼지기름에 대한 재평가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2020년에 영국 공영방송 BBC가 돼지기름(라드)을 세계 슈퍼푸드 8위에 선정한 것에 이어, 최근 BBC Future가 발표한 ‘세계에서 가장 건강한 음식’ 순위에 돼지기름이 8위에 올라 또다시 주목 받고 있습니다. 이는 완두콩·토마토·고등어 등 흔히 건강식으로 알려진 식품들보다 높은 점수를 기록한 것입니다. 그동안 외면당한 돼지기름에는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성분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습니다. 우선, 돼지기름에는 비타민B1(티아민)이 풍부한데, 이는 탄수화
축산환경관리원(원장 문홍길)은 이달 11일 ‘2025년 가축분뇨 처리시설 및 관련기술 평가’ 계획을 공고하고, 관련 기업과 기관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했습니다. 이번 평가는 서류심사, 현장점검, 발표 및 종합평가 순으로 진행되며, 기업의 기술 역량, 우수성, 경제성 등을 다각도로 검토할 예정입니다. 종합점수 70점 이상을 획득한 기술은 관리원 누리집과 책자를 통해 공개되어, 전국 지자체와 생산자 단체, 축산업 종사자들에게 유용한 기술정보로 제공됩니다. 이번 평가에서는 기존에 별도로 시행되던 ‘악취측정 ICT 기계·장비’ 항목이 다른 기술들과 통합되어 함께 심사됩니다. 이에 따라 공동 및 개별규모의 가축분뇨 처리시설, 처리기술, 악취저감 및 제어기술까지 총체적인 기술 평가가 이뤄질 예정입니다. 신청 접수는 5월 12일부터 6월 12일 자정까지이며, 축산악취관리시스템(lemi.or.kr/oms)에 신청서를 업로드하거나 담당자 이메일(junseob@lemi.or.kr)을 통해 제출하면 됩니다. 신청을 준비하는 기업들을 위한 사전 설명회는 4월 24일 오후 2시, 축산환경관리원 6층 대교육장에서 개최됩니다. 참석을 희망하는 업체는 공고문에 첨부된 신청서를 작성해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