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센티브와 벌칙으로 사람에게 특정 행동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이른바 '당근과 채찍' 방법입니다. 행동을 유도하는 방법에는 '넛지(nudge)'라는 것도 있습니다. 원래 뜻은 '팔꿈치로 슬쩍 찌르다', '주의를 환기시키다'입니다만, 미국의 행동경제학자에 의해 최근에는 '사람들이 특정 행동을 자연스럽게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부드럽고 비강제적인 방법'이라는 뜻으로도 쓰이고 있습니다. '남성소변기에 붙인 파리 스티커'나 '학교 급식에서 건강한 음식을 눈에 잘 띄는 위치에 우선 배치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비용은 적으면서 큰 효과를 발휘합니다. 넛지는 양돈현장에서도 응용되고 있습니다. 바닥에 페인트로 줄을 그어 장화 갈아신는 것을 습관화시킬 수 있습니다(관련 기사). 농장에 여러분만의 '넛지'를 만들어 보세요.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지난해 6월 '돼지와사람'은 '발판소독조? 차라리 신발을 갈아신어라(관련 기사)!'라는 기사를 실어큰 관심을 모은 바 있습니다. 당시 해당 기사 조회수가 1천6백 회를 넘어섰습니다. 그로부터 1년이 지난 현재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사태로 전국이 뜨거운 요즘 다시금 발판소독조와 신발 갈아신기가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대한한돈협회도'돈사입구와 돈사 간·돈방 간 신발갈아신기를 실천하자(바로가기)'고 나섰습니다. 양돈산업 온라인 커뮤니티에도 관련 농장에서 실천하고 있는 사례들을 담은 사진들이 속속 공유되고 있습니다. 더불어행복한 농장의 김문조 대표는 사진을 올리며 "이동전용과 돈사별 장화를 구분하고 있다"며, "방역 준수를 통해 내 농장과 주변 농장을 보호하는 것이 내가 사는 길이다"고 강조했습니다. 금강축산 송일환 대표는 "돈사 내외부 전용 장화뿐만 아니라 이를 소독할 수 있는 소독조를 따로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한수양돈연구소 정현규 박사는 "극히 적은 양의 바이러스라도 차량 바퀴나신발을 통해 ASF가쉽게 전파된다"며, "발판소독조만 믿는다면 ASF 바이러스에 내 농장을 내맡기는 것과 같다"고 지적하고 돈사 간 신발 갈아신기를 실천할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