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 돼지 4백여 마리를 한꺼번에 수용, 통제된 상태에서 동물시험을 할 수 있는 시설이 마련되었습니다. 일반 백신 및 동물용의약품 등의 개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김정희, 이하 검역본부)는 지난 23일 경북 김천 소재 본부에서 50여 명의 내외빈이 참석한 가운데, 소·돼지 등 중대동물 질병대응기술 개발에 이용하게 될 중대동물실험동의 개소식을 개최했다고 밝혔습니다. 그간 국내에서는 생산성 저하로 소와 돼지 사육 농가에 경제적 피해를 주고 있는 가축전염병 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소·돼지 등 중대동물 전염병의 체계적인 연구를 위한 실험시설의 신설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이에 검역본부는 소·돼지 난치성 전염병 예방 기술, 신종 질병 치료 기술 등의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최적화된 시설을 마련하기 위해 2021년부터 중대동물실험동 건립을 추진해왔습니다. 이번에 신축된 중대동물실험동은 생물안전2등급(BL2) 연구시설로, 2023년 9월 시공을 시작해 17개월에 걸쳐 지하 1층, 지상 2층 연면적 2,746m2 규모입니다. 앞으로 최대 돼지 400여 마리 또는 소 80여 마리의 동물실험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습니다. 시설의 20%는
농축산용 미생물 제품의 수출 확대를 지원하기 위한 ‘GMP 기반 미생물산업화 지원시설’의 준공식이 29일 열렸습니다. 전북 정읍에 위치한 농축산용미생물산업육성지원센터(미생물분야 그린바이오 거점기관)에서 운영하게 될 미생물산업화 지원시설은 총 100억 원(국비 50억, 도비 15억, 시비 35억)의 사업비를 들여 지상 3층에 연면적 1540㎡ 규모로 건립됐습니다. GMP 인증과 미생물 배양 장비, 정제·농축 장비, 건조·제형 장비 등을 보유하고 있으며 공인기관이 인증하는 미생물 분야 제품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반려동물 펫푸드부터 비료와 작물보호제 등 농축산용 미생물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보증합니다. 이를 통해 국내 농축산용 미생물 관련 기업체들의 고부가가치 제품생산과 해외시장 진출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미생물 분야 기업체들의 애로사항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농식품부 양주필 식품산업정책관은 “오늘 준공되는 ‘GMP 기반 미생물산업화 지원시설’ 구축을 통해 소규모 기업이 고가장비의 투자 없이도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수출 확대는 물론 그린바이오 산업의 경쟁력 제고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
국제적으로 농림·수산·식품 분야에서 가장 권위있는 기구인 유엔식량농업기구(이하 ‘FAO’)의 한국 협력연락사무소(이하 ‘한국 사무소’)가 13일 개소식을 갖고 향후 본격적인 활동을 위한 업무에 들어갔습니다. 사무소는서울 종로구의글로벌센터빌딩에 자리했습니다. FAO 한국 사무소는 세계 식량안보 기여를 목적으로 우리나라와 FAO간 연락 및 교류, 식량안보 및 빈곤 퇴치를 위한 공동협력사업, 개도국에 대한 한국의 농정경험 및 기술전수 등을 추진하게 됩니다. 이날 개소식에는이개호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 장관을 비롯해호세 그라치아노 다 실바 FAO 사무총장, 박원순 서울시장 등이 참석했습니다. 실바 사무총장은 "대한민국은 이미농업, 수산, 임업, 동물 건강 및 식량 등의 부문에서 중요하고 감사한 역할을 해주고 있다"며,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보다 넓은 부문에서 깊은협력이 예상되어 매우 기쁘다"고 말했습니다. 이개호 장관은 “앞으로 식량안보와 빈곤퇴치, 영양개선 등과 관련한 국제적인 논의에서 우리나라의 영향력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며,“FAO 한국 사무소에서 세계 식량안보에 기여하는 전문성과 리더십이 발휘될 수 있도록 FAO와의 협력을 강화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