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자수가 많은 다산종 모돈에게는 새로운 사료급여 방법이 필요합니다. 전통적인 3단계 증량 프로그램(초기-소량, 중기-증량, 말기-다량 급여)에서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증량(경산·허약돈 중심)하는 프로그램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임신중기 50~60일령(BCS 집중 관리기)까지 체형관리를 마무리하고, 유선 중점 발육기(기본 사료량 급여)를 60~95일령 길게 권장합니다. 말기(포유용 영양축적기)에 사료량을 늘려주되 무리하지 않도록 합니다. 충분한 급수는 매우 중요합니다. 정리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후보돈 관리는 농장의 기본으로 번식성적을 좌우합니다. 전용돈사 마련은 필수이며, 연간 40% 갱신을 목표로 월별 도입 계획을 수립합니다. 도입 시 격리돈사에 수용하고 충분한 순치 과정을 거칩니다. 이후 후보돈사로 옮긴 후 적정 체중·일령에 발정이 제때 올 수 있도록 관리합니다. 발정 유도를 위해 발정이 온 경산돈이나 웅돈을 활용합니다. 정리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모돈의 포유 중 BCS(체평점)는 포유자돈 발육뿐만 아니라 다음 산차 번식성적(발정, 산자수, 생시체중)에 영향을 줍니다. 너무 마르거나 너무 살찌지 않게 포유모돈이 적정 BCS를 가지도록 관리합니다. 이유시점 모돈의 BCS 관리는 농장 생산성적 전체를 좌우할 만큼 중요합니다. 정리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분만 후 모돈의 무유증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스트레스가 가장 큰 요인입니다. 무유증 모돈의 자돈은 극도의 기아 상태에 놓입니다. 이후 설사, 위축을 거쳐 결국 폐사로 이어집니다. 무유증은 예방이 최선입니다. 무유증이 확인되면 해열제 투여 등 즉각 조치합니다. 정리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양돈장 경영은 자금 흐름뿐만 아니라 돼지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기록관리를 철저하게 시행합니다. 사료 허실과 낭비를 줄입니다. 생산성적을 지속적으로 개선합니다. 질병·화재 등 재해 예방에도 힘씁니다. 목표를 달성하는데 모두가 힘을 합치는 분위기를 조성합니다. 정리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