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 일본뇌염은 작은빨간집모기가 매개하는 전염병으로 돼지에서 번식장애를 일으켜 양돈농가에 큰 피해를 줄 뿐만 아니라, 사람에게도 감염되어 뇌염 등을 일으키므로 의학적, 수의학적으로 매우 중요시되고 있는 전염병이다. 본 연구에서는 ELISA 방법을 통해 일본뇌염바이러스를 증식시키는 주요 숙주인 야생멧돼지의 일본뇌염 항체 양성률을 조사하여 충남 지역의 야생멧돼지의 일본뇌염 감염현황을 파악하고 일본뇌염 예방대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충남 지역 15개 시·군에서 2022년 1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포획된 야생멧돼지의 혈액(1,062개)을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에서 제공받아 ELISA 검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평균 46.7%의 일본뇌염바이러스 항체 양성률을 나타내었다. 계절별 항체 양성률은 봄 49.2%, 여름 42.5%, 가을 41.8%, 겨울 45.2%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충남지역 야생멧돼지가 일본뇌염바이러스에 노출되어 있으며, 야생멧돼지가 일본뇌염바이러스의 자연감염사이클에서 증폭 숙주로 역할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추후 RT-PCR을 이용하여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특이적인 유전자를 검출하여 일본뇌염 양성 여부를 판정하는 추가적인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이 지난 23일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했습니다. 이번 주의보 발령은 앞서 21일과 22일 제주와 부산 지역에서 올해 처음으로 일본뇌염을 매개하는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가 확인됨에 따라 나온 조치입니다. 올해 주의보 발령은 지난해보다 19일 가량 빨랐습니다. 일본뇌염은 돼지(유사산)뿐만 아니라 사람(뇌염)에게 병을 일으키는 인수공통전염병입니다. 사람이 감염되면 최대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실제 '21년 국내 23명 환자 발생에 4명이 사망했습니다. 질병관리청은 논, 양돈장 인근에 거주하는 사람 등에 대해 일본뇌염 백신 접종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