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김정희, 이하 검역본부)는 동물의 보호‧복지에 대한 성숙하고 친근한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제17회 동물사랑 사진 공모전'을 개최합니다. 이번 사진 공모전의 주제는 ‘사람과 동물이 함께 행복한 세상(One Welfare)’입니다. 응모 분야는 일반카메라, 스마트폰 사진, 짧은 영상(숏폼) 등 총 3개 부문입니다(대상 3백만원 포함 총상금 6백만원). 동물에 관심 있는 국민은 누구나 다음달 12일까지 국가동물보호정보시스템 홈페이지(바로가기)를 통해 참여할 수 있습니다. 검역본부는 전문가와 국민 심사를 거쳐 작품성과 독창성이 높은 작품을 선정해 오는 8월 23일에 최종 발표할 계획입니다. 최종 선정된 작품은 시상식 이후 순회 전시 등을 통해 동물 보호‧복지를 위한 홍보 자료로 활용할 예정입니다. 이명헌 검역본부 동물질병관리부장은 “올해는 최근 동향을 반영하여 짧은 영상(숏폼) 부문을 신설할 계획”이라며 “이번 공모전이 많은 국민의 참여를 통해 동물사랑 문화를 확산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습니다.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직무대리 이명헌, 이하 검역본부)는 이달 19일부터 25일까지 동물복지 문화 확산을 위해 국민과 함께하는 ‘제2회 동물사랑 주간’을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검역본부는 이번 행사를 △초등학생 대상 동물복지 교육 △성숙한 반려동물 문화 조성 △동물복지 축산농장 및 축산물 소비 활성화 등 총 3가지 주제로 구성했습니다. 먼저 20일에는 검역본부 축혼비 정원에서 실험 및 질병 등으로 희생된 동물의 넋을 기리기 위해 ‘동물 추모제’를 진행합니다. 24일과 25일 김천녹색미래과학관에서는 초등학생 및 학부모 대상으로 동물복지를 소개하는 영상 제공 및 동물복지 축산물 시식을 진행하고, 검역본부가 개발한 동물 해부 실습 대체 실감형 콘텐츠 체험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19일과 22일에는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동물복지 관련 교육콘텐츠 설명회도 진행합니다. 또한, 성숙한 반려동물 문화 조성을 위해 행사 기간 동안 ‘동물등록제도 운영 활성화 이벤트’도 가집니다. 22일과 24일에는 아동보육시설 2개소에서 동물사랑 사진 공모전 수상작을 전시할 예정입니다. 동물복지 축산농장 및 축산물 소비 활성화를 위해 KTX 서울 역사 내에 6월 한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박봉균, 이하 검역본부)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제16회 동물사랑 사진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동물사랑 사진 공모전은 ‘사람과 동물의 조화로운 공존(One Welfare)’을 주제로 실시됩니다. 동물을 사랑하는 국민이라면 누구나 이달 10일부터 6월 20일까지 공모전 홈페이지(바로가기)을 통해 응모할 수 있습니다. 검역본부는 전문가와 국민 심사를 거쳐 공모전 주제에 부합하고 작품성과 독창성이 높은 작품 12점을 선정하여 오는 8월 3일(목)에 최종 발표할 계획입니다. 선정된 작품에는 상장과 상금을 지급하며, 동물복지 홍보자료로 적극 활용됩니다. 이상준 검역본부 동물보호과장은 “특히 올해는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 촬영 사진 부문을 신설하였고 국민 공감대 형성을 위해 국민 심사 단계를 반영할 계획이다”라면서 “이번 공모전이 많은 국민의 참여를 통해 동물사랑 문화를 확산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습니다.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박봉균, 이하 검역본부)의 동물의 보호·복지에 대한 의식 확산을 위한 '동물사랑 사진공모전'이 오는 8월 9일까지 진행됩니다. 올해로 13번째인 이번 사진공모전은 ‘사람과 동물의 조화로운 공존(One Welfare)’을 주제로 열립니다. 동물등록제, 동물복지농장, 동물실험윤리위원회 등의 제도를 잘 표현하고 주제에 걸맞는 작품성과 독창성이 높은 15개 작품(사진 12작품, 동영상 3작품)을 선정하여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상과 총 500만 원의 상금을 시상합니다. 접수기간은 7월 1일부터 8월 9일까지이며, 동물을 사랑하는 국민이라면 사진공모전 홈페이지(바로가기)를 통해 손쉽게 응모할 수 있습니다. 입선작은 전문가 심사를 거쳐 9월 25일 최종 선정·발표할 예정입니다. 검역본부 김기연 동물보호과장은 “이번 동물사랑 사진공모전을 통해 우리사회의 구성원이 된 반려동물에 대한 인식 개선 및 동물과 사람이 행복할 때 하나의 복지(One Welfare)를 이룰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박봉균, 이하 검역본부)가“사람과 동물의 조화로운 공존”을 주제한 '동물사랑 사진공모전'을 개최합니다. 동물사랑 공모전은 검역본부가 동물의 보호·복지에 대한 의식 확산을 위해 2008년부터 매년 진행해 왔으며, 올해로 12회째를 맞이했습니다.최근 5년간 3,932건의 사진 작품이 접수되는 등 동물을 사랑하는 많은 국민들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번 공모전의 접수기간은 16일부터 다음달 4일까지 3주간이며, 동물을 사랑하는 국민 누구나 동물보호관리시스템(www.animal.go.kr)에 접속하여 손쉽게 응모 가능합니다. 이번에도 검역본부는 사람과 동물의 조화로운 공존을 표현하고 동물등록제, 동물복지농장, 동물실험윤리 등 동물보호 정신을 높이는 12개 작품을 선정하여 상장 및 상금을 시상할 예정입니다. 총 상금 규모는 490만원이며, 대상의 경우 200만원 입니다. 선정된 작품은 동물보호관련 홍보자료로 활용됩니다. 검역본부 관계자는 “이번 동물사랑 사진공모전을 통해 우리사회의 구성원이 된 반려동물과 우리가 부득이하게 이용하는 실험동물 등에 대한 사회적 의미를 재조명하고, 동물보호·복지 인식이 확산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
이번에농림축산검역본부(이하 검역본부) 주최의'제 11회 동물사랑 사진공모전' 대상으로 선정된 '첫 걸음마(김만진 作)'라는 작품입니다. 검역본부는 동물보호복지에 대한 범국민적 의식 확산을 위해 매년 사진공모전을 개최하고 있습니다.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박봉균)는 11일 ‘제10회 동물사랑 사진 공모전’의 입상작 총 15점을 선정․발표하였습니다. 동물사랑 사진 공모전은 동물을 사랑하고 사진에 관심이 많은 국민을 대상으로 2008년부터 매년 개최하고 있으며, 올해에는 914점을 출품 받아 심사위원의 심사를 거쳐 대상, 최우수상 등을 선정하였습니다. 이번 공모전에서 대상은 ‘사랑스러운 눈빛을 주고 받는 어미소와 송아지의 교감’을 안정된 구도로 표현하여 동물사랑 및 생명존중 사상을 느낄 수 있는 ‘어미소의 송아지 사랑’이 선정되었고, 최우수상은 ’아름다운 메타세콰이어 숲을 배경으로 어미돼지의 젖을 빨고 있는 새끼돼지의 모습‘을 통해 진정한 동물복지의 의미를 되새겨 볼 수 있는 ’한돈 가족‘이 영광을 안았습니다. 이번에 대상으로 선정된 작품은 오는 10월 ‘동물보호문화축제 행사에서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상장과 200만원의 상금, 최우수상 선정작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상장과 100만원의 상금을 수여 받게 됩니다. 농림축산검역본부 문운경 동물보호과장은 “지속적인 동물사랑 사진 공모전을 통해 동물에 대한 사랑과 배려, 생명존중사상을 확산시켜 동물이 더 이상 학대받지 않는 비폭력 선진 문화가 조속히 정
농림축산검역본부(이하 검역본부)는 “동물과 사람의 조화로운 One-Health, One-Welfare"를 주제로 제10회 동물사랑사진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밝혔습니다. 'One-Health, One-Welfare'는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서 발표한 개념으로 사람과 동물의 보건 및 복지는 불가분의 관계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번 공모전은 7월 31일까지 접수된 작품을 심사하여 15개 작품을 선정, 9월 8일 당선작을 발표합니다. 당선작 선정 기준은 반려동물․농장동물을 포함한 동물을 대상으로 '사람과 동물의 아름다운 공존과 동물보호 정신'의 표현 입니다. 선정된 작품은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상(대상)을 포함한 상장과 상금이 지급되며, 동물보호 관련 홍보자료로 활용될 예정입니다. 문운경 검역본부 동물보호과장은 “사람과 동물의 아름다운 공존을 구현한 작품이라면 국민 누구나 참여가 가능하다"며 "우리사회의 구성원이 된 반려동물과 우리가 부득이하게 이용하는 농장동물, 실험동물 등에 대한 사회적 의미를 재조명하는 계기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공모전 참여는 동물보호관리시스템 홈페이지를 통해 손쉽게 응모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