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경양돈농협(조합장 이재식)은 지난 9일 김해시 소재 JW웨딩컨벤션센터에서 ‘제25회 부경양돈농협 양돈전산성적발표회’를 개최하고 PSY 27두 첫 달성을 자축했습니다. 부경양돈농협은 조합원농가의 생산성적을 전산관리하며 분석자료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지난 1999년부터 시행하고 있으며, 첫해 8개 농장을 시작으로 2024년 말에는 121개 농장이 전산관리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날 행사는 이재식 조합장을 비롯해 조합농가 및 임직원 등 100여명과 농림축산식품부 식량정책실 축산정책관 안용덕 국장, 축산환경관리원 안종락 총괄본부장, 서울대학교 김유용 교수 등 외빈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되었습니다. ▶2024년도 생산성 분석(양돈종합지원실 컨설팅팀 김태용 계장) ▶농장경영 분석(양돈종합지원실 컨설팅팀 박종헌 계장) ▶양돈질병 분석(양돈종합지원실 양돈클리닉센터 정성민 수의사) ▶다산성 모돈의 생산성 극대화 방안(세진양돈컨설팅 김기룡 소장) 등이 발표되었습니다. 최근 2년 이상 전산기록을 유지하고 있는 96개 농장을 대상으로 한 지난해 생산성적 분석 결과, 상시모돈 수를 제외한 전 항목에서 전년 대비 개선되었거나 동일한 성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분만율 81.5%,
양돈산업은 전업화 또는 대규모화로 꾸준히 발전해오고 있다. 이와 함께 돼지의 번식능력 개량뿐만 아니라 돈육도 증체량과 함께 품질이 날로 향상되어 가고 있다. 본 연구는 1970년대부터 2018년까지 번식모돈 양돈장을 대상으로 총 80농장과 23명의 연구자의 번식경영 보고 자료를 이용하여 번식관리 경영분석 결과를 가지고 고찰한 내용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총산자수는 2018년에 11.50두로 최근 년도일수록 점점 상승하였으며, 2010년대(10.85두) 대비 2018년은 14.43% 향상되었다. 그리고 포유 개시두수는 2000년대 9.84두 대비 2018년은 10.15두로 3.15% 증가되었다. 모돈 회전율은 2000년대에 2.10회에서 2018년에서는 2.30회로 9.52%가 향상되었다. 그리고 모돈 도태율은 2000년도에 28.31% 대비 2018년은 26.72%로 -5.62%가 낮아진 것(감소)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모돈의 번식성적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복당 이유두수는 2000년대는 8.15두로 비교적 저조하였으나, 2000년대 대비 2018년은 9.85두로 13.87%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포유 중 육성률은 2000년대에 88
부경양돈농협(조합장 이재식)은 조합 양돈전산 프로그램에 참여 중인 94개 농장의 '23년 상반기 조합 전산농가 생산성적 분석자료'를 조합 소식지 9월호를 통해 발표했다고 밝혔습니다. 분석 결과 평균 PSY는 27.2두, 평균 이유두수 11.6두, 분만율 80.6%, 비생산일수(NPD) 40.8일, 모돈회전율 2.35회전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PSY의 경우 지난해 평균 25.8두 보다 1.4두 높은 성적으로 전반적인 생산성적은 매년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전산 상위 30% 이내 농장들의 평균 PSY가 30두 이상이라는 점이 주목됩니다. 이는 이제 부경양돈농협에서 생산성 상위그룹은 PSY 30두, 이유두수 12.5두 이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평균이 아닌 개별 성적으로는 전산참여 농가의 20%가 PSY 30두 이상을 기록하고 있는 반면 16% 농가만이 PSY 24두 이하를 나타냈습니다. 산자수의 경우 총산 14두 농가가 33%, 실산 13두가 4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습니다. 이유두수는 11두 농가가 46%로 거의 과반을 차지했습니다. 월 평균 12두 이상 이유를 하는 농가 비율이 29%로 점점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