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에 의한 돼지 폐사두수가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결국 6만두를 넘어섰습니다. 역대 최고 기록입니다. 1일 중앙재난안전 상황실에 따르면 지난 30일 누적 기준(5.20~7.30.)으로 가축 농업정책보험금융원에 신고된 폭염 돼지 폐사신고두수는 잠정 6만160마리입니다. 3일 만에 1만 마리가 증가한 셈입니다(관련 기사). 6만160마리는 지난해 같은 기간 1만9,224마리보다 3배 이상 수준입니다. 8월입니다. 이달에도 폭염과 열대야가 계속 이어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폐사두수는 당분간 늘어날 전망입니다.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중앙재난안전 상황실은 27일 기준으로 폭염에 의한 돼지 폐사 신고두수가 잠정 5만1,372마리(5.20~7.27)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 1만2,563마리보다 4.1배나 많은 양입니다. 지난 21일(4만891마리, 관련 기사) 이후 6일 만에 1만 마리가 늘어났습니다. 하루 1,700마리 꼴입니다. 한편 29일 기상청은 당분간 낮 최고체감온도가 35도 내외로 매우 무덥고 열대야가 나타나는 곳이 많겠다고 예보했습니다. ※ 고온기 가축피해예방 및 축사환경관리 핵심기술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전국적인 집중호우(716-20)가 물러나자 폭염에 의한 돼지 폐사 신고건수가 다시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지난 14일 3만두 돌파(관련 기사)에 이어 일주일 만인 21일 4만두를 기록했습니다. 중앙재난안전 상황실에 따르면 21일 누적 기준으로 폭염에 의한 돼지 폐사 신고두수는 전날(20일)보다 1,179두 증가한 4만891두(잠정)입니다. 지난 5월 20일 이후 두 달여 만에 4만두를 넘어섰습니다. 22일에는 2,338마리가 또 증가해 누적 폐사두수가 4만3,229마리로 늘어났습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신고두수(8,008두)보다 5.4배나 많은 수준입니다. 당분간 폐사두수는 더욱 늘 전망입니다. 23일 기상청은 현재 우리나라에는 폭염을 만들고 있는 북태평양고기압이 머물고 있는 가운데 제7호 태풍 '프란시스코'이 몰고 온 열기로 한반도가 더욱 뜨거워질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실제 이날 전남 곡성과 경기 안성, 경남 밀양 등 일부 지역은 한낮 최고기온(체감)이 36도 이상을 기록했습니다. 24일 6시 전국에 폭염특보가 발효되었습니다. ※ 고온기 가축피해예방 및 축사환경관리 핵심기술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중앙재난안전 상황실은 폭염에 의한 돼지 폐사 신고두수가 3만 두(5.20-7.14 누적)를 넘어섰다고 16일 밝혔습니다. 정확히 3만2,059마리입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신고두수 4,673마리보다 6.8배나 많습니다. 한편 기상청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당분간 흐린 날씨에 간간히 비 소식이 이어지는 가운데 한낮 최고기온은 26~31도를 오르내리겠습니다. 폭염 폐사 신고두수 증가세가 주춤할 전망입니다. ※ 고온기 가축피해예방 및 축사환경관리 핵심기술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구제역 사태 5일차인 17일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 장관이 전남도청 가축방역 상황실을 방문하였습니다. 이날 방문은 전라남도의 구제역 방역관리 상황을 점검하고, 방역관계자를 격려하기 위해 진행되었습니다. 전라남도는 백신 접종반 편성(108개반 337명) 및 접종 현황, 영암군 및 인접 시군 우제류 농장에 대한 임상검사 계획, 가축시장(15개) 잠정 폐쇄 현황, 우제류 농장 및 도축장 등에 대한 소독 강화 조치 등 전남지역 방역관리 추진 사항을 보고하였습니다. 송미령 장관은 이 자리에서 “구제역은 확산이 매우 빠른 가축질병으로 전남도는 소와 염소 사육이 많아 백신접종이 미흡했던 농장을 중심으로 추가 발생 우려가 있기 때문에 신속한 백신 접종과 철저한 소독 등 차단방역으로 조기 종식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해 줄 것”을 강조하였습니다. 또한, "소‧돼지 사육농장 등에 대한 임상예찰을 꼼꼼히 진행하고 구제역 임상 증상이 있는 경우 신속하에 신고할 수 있도록 농장주, 수의사 등에게 홍보를 강화해 줄 것"을 주문하였습니다. 김영록 전라남도지사는 “전남도는 육지부 유일의 구제역 청정지역을 지키기 위해 온 힘을 다했는데, 지난 13일 영암군에서 구제역이 최초
정세균 국무총리가 13일 오전 농림축산식품부 가축전염병 중앙사고수습본부 상황실을 방문하여, ASF, 고병원성 AI 등의 방역상황을 점검했습니다. 현재 ASF는 영월과 양양 등에까지 감염 멧돼지가 발견되며, 전국 확산의 기로에 놓여 있습니다. 고병원성 AI는 지난 10월부터 야생조류를 시작으로 현재는 8개 시·도 가금농장에서 연이어 발생, 가금산업에 큰 피해를 유발하고 있습니다. 이날 정 총리는 박영범 농식품부 차관, 홍정기 환경부 차관, 김희겸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 등이 배석한 가운데 먼저 김현수 중앙사고수습본부장으로부터 가축전염병 방역상황에 대한 보고를 받았습니다. 보고 후 정 총리는 “고병원성 AI는 아직 농장 간 수평전파는 없으나, 산발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최근 광역울타리에서 멀리 떨어진 “영월에서 멧돼지 사체가 발견되어 걱정이 크다“며, ”관계부처가 다시 한번 힘을 모아 방어해달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상황실 근무자들을 만나 방역업무의 노력에 감사를 전하면서, “지성이면 감천이라는 말처럼 최선의 노력을 다하면 성과가 있을 것”이라고 격려했습니다. 한편 이날 오후 충북 천안, 경기 안성·포천, 경북 문경, 전북 정읍, 충남 홍성·천안 등의
정부가 지난 20일 강원도청에 'ASF 현장 상황실'을 마련했습니다. 현재의 ASF 야생멧돼지의 동·남진 확산 차단을 위한 현장 이행상황을 종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함 입니다. '현장 상황실'은 환경부(팀장)를 중심으로 농식품부, 국방부, 행안부 등 4개 부처와 강원도, 화천군 등 지자체 관계관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앞으로 울타리 설치, 멧돼지 포획, 폐사체 수색, 엽사 관리, 농장 차단방역 등 현장의 방역 추진상황을 점검해 신속히 대응할 계획입니다. 앞서 지난 9일과 12일 강원도 화천의 기존 광역울타리 너머에서 ASF 야생멧돼지 발견되어 충격을 준 바 있습니다. 이에 현재 화천에서 고성까지 연결하는 3단계 광역울타리 건설 작업이 한창 입니다. 또한, 남방한계선을 연결하는 남북 종단울타리 2개 노선, 양구 펀치볼 남측 우회구간 등도 추가 설치되고 있습니다. 아울러, 화천군 광역울타리 미설치 구간 중 울타리 기능을 대체하지 못하는 마을지구 59개소는 마을 뒤로 우회 울타리를 설치 중입니다. 울타리 관리를 위해 '울타리 관리원'이 고용됩니다. 2월말부터 마을 주민을 울타리 관리원으로 고용하여 출입문 개폐, 울타리 훼손 등에 대해 신속히 조치할 계획입니다. 그간 부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