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가 다음달 1일부터 7일까지 '이마트 패밀리 위크' 행사를 통해 ‘스타상품’ 15개 품목을 가격파괴 수준의 초특가로 판매한다고 27일 밝혔습니다. 초특가 상품에는 ‘스페인산 냉동 삼겹살’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유일한 축산물입니다. 이마트는 행사 기간 이 스페인산 냉동 삼겹살(1kg)을 평소 판매가 12,980원보다 32% 저렴한 8,800원에 판매할 예정입니다. 한편 최근 연합뉴스는 '삼겹살이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3년간 대형마트 돼지고기 매출에서 절반 가까운 비중(45%)을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전체 삼겹살 매출에서 수입산 비중이 10%를 넘어섰다'고 보도했습니다(이마트 10%, 롯데마트 15%; 기사보기). 고물가 영향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에 따르면 2023년 돼지고기 수입량은 40만2915톤입니다. 이는 역대 두 번째로 많이 수입된 전년(44만톤)과 비교하면 8.9% 감소한 양입니다. 다행스러운 결과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역대 4번째로 많은 수입 기록입니다. 그런데 이를 자세하게 살펴보면 몇 가지 주목할 점이 발견됩니다. 이들로 인해 올해뿐만 아니라 앞으로 돼지고기 수입 양상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벌써부터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냉동육은 크게 줄었지만, 냉장육은 크게 늘어 지난해 전체 돼지고기 수입량 가운데 냉동육은 36만8501톤, 냉장육은 3만4413톤입니다. 여전히 냉동육이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지난해 냉동육은 전년보다 4만6108톤이 감소한 양입니다(-11.1%). 냉장육은 6651톤이 증가한 양입니다(24.0%). 냉동육은 줄고 냉장육은 늘어난 결과가 최종 전년대비 -8.6%가 된 것입니다. 자연스럽게 전체 수입량 가운데 냉장육이 차지하는 비율은 '22년 6.3%에서 '23년 8.5%로 2.1%포인트 증가했습니다. 더 많은 수의 우리 소비자가 냉장 수입 돼지고기를 경험해 봤다는 얘기입니다. 이같은 결과는 지난해 정부가 추진한 돼지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2월까지 전체 돼지고기 수입량이 최종 44만 2,372톤으로 집계되었습니다. 3년 만에 수입량 규모가 40만 톤을 넘어선 가운데 지난 '18년 46만 톤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높은 기록입니다. '22년 44만 톤, 전년 대비 32.9% 증가 수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예측한 '22년 돼지고기 수입량은 34~36만 톤이었습니다. 당초 연구원은 돼지고기 수입선 다변화에 따라 '21년 수입량 증가가 '22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보았습니다. 하지만, 40만 톤을 넘길 것은 예상하지 못했습니다. 한돈산업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지난해 44만 톤은 전년 33만 톤에 비해 무려 32.9% 증가한 수준입니다. 지난해 돼지고기 수입량이 크게 증가한 이유는 국내산 돼지고기의 높은 수요 및 가격과 정부의 무관세 할당 정책, EU산 수입단가 하락 등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전체 수입 증가분 11만 톤, 대부분 냉동육 '21년 대비 '22년 돼지고기 수입량 증가분은 약 11만 톤 규모(10만 9,615톤)입니다. 대부분 냉동육입니다. 지난해 전체 수입 돼지고기 가운데 냉동육은 41만 4,610톤입니다. 냉장육은 2만 7,762톤입니다
돼지고기 수입량이 40만 톤을 넘어섰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21일 기준 올해 누적 돼지고기 수입량은 40만 3천 톤을 나타냈습니다. 이는 지난 '18년(46만)과 '19년(42만)에 이어 역대 3번째 기록입니다. 현재 수입 추이로 볼 때 남은 기간 동안 '19년 기록을 무난히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그러면 역대 2번째 기록이 되는 셈입니다. 올해 수입량이 크게 증가한 이유는 국내산 돼지고기의 높은 수요 및 가격과 정부의 무관세 할당 정책, EU산 수입단가 하락 등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참고로 지난해 전체 돼지고기 수입량은 33만 톤입니다. 지난 12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예측한 올해 예상 수입량은 34~36만 톤입니다.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상반기 돼지고기 수입이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8.5% 감소해 벌써부터 3년 연속 수입 감소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다행스러운 일입니다. 이런 가운데 수입육에 대한 심층 분석 결과 몇 가지 눈여겨 볼 대목이 있어 소개합니다(관련 기사). '돼지와사람'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수입 축산물 검사 실적 보고를 바탕으로 지난해와 올해 상반기 육류 수입을 비교 분석했습니다. 간단히 요약하면 올해 상반기 기준 수입 육류 가운데 돼지고기만 나홀로 감소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돼지고기 부위에서 삼겹살 수입량만은 증가했습니다. 또한, 냉장육 수입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아져 눈에 띕니다. 국내 시장에서 독일산 돼지고기의 퇴출로 드디어 스페인산 돼지고기가 2위로 등극했습니다. ① 수입 육류 중 돼지고기만 나홀로 감소 올 상반기 전체 수입 육류량은 약 45만 톤입니다. 품목별로는 쇠고기가 가장 많은 21만 7천 톤으로 거의 절반(48.2%)을 차지했습니다. 이어 돼지고기(16.3만, 36.2%), 닭고기(6.0만, 13.3%), 면양고기, 산양고기, 오리고기 순으로 수입이 많이 된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그런데 돼지고기(-8.5%)를 제외하고 전년 상반기에 비해 모두 증가
(사)소비자시민모임(회장 김자혜, 이하 소시모)이오늘 28일오전 11시 서울 중구에 위치한 한국프레스센터에서'이베리코 흑돼지 판별 검사 및 표시광고 조사 결과 발표' 기자회견을개최합니다. 소시모는 각 언론사에 취재요청문을 보내면서인터넷 쇼핑몰, 음식점 등에서 판매하는 '이베리코 흑돼지' 50점 중 10%는 '이베리코 흑돼지'가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소시모는 '이베리코 흑돼지'가 그간 과대·과장광고의 소지가 있어 시중 음식점 및 정육점, 인터넷 쇼핑몰 등에서 판매되고 있는 '이베리코 돼지고기'의 가격 및 표시광고 실태조사를 실시했습니다. 그리고 지난 18일부터 22일까지 5일간, 판매되는 이베리코 50점을 대상으로 흑돼지 여부를 '정P&C연구소'에 의뢰하여 DNA 검사를 실시하였습니다. 그 결과 10%가 흑돼지가 아닌 '백색돼지'로 확인된 것입니다. 소시모에서는 보도자료에서 기자회견 이후 기사화를 요청했지만, 연합뉴스, KBS, YTN 등의 주요 언론에서 '이베리코 10% 가짜'라는 기사를 내기시작하면서 벌써부터 큰 관심을 모이고 있습니다. 소시모는 "스페인산 이베리코 흑돼지의 진위 여부 및 광고 등의 문제점에 대해 소비자들이 정확한 정보를
지난해 한돈산업은 역대 최대 출하 성적을 내었습니다. 그런데 수입 돼지고기도 최고의 기록을 내기는 마찬가지였습니다. 이런 가운데 최근 돼지 도매가격이 크게 하락해 앞으로수입 돼지고기의 향방에 더욱 귀추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돼지와사람'이 지난해 수입 돼지고기 관련 각종 주목해야 할 5가지 사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역대 최대 수입량, 40만톤을 넘어 46만톤을 기록하다 지난해 수입돼지고기 수입량은 돼지고기 수입 자유화 이후 역대 최대입니다. 지난 2011년 대규모 구제역 사태로 인한 37만 톤 수입 기록을 가볍게 넘어서 46만4천 톤을 기록했습니다. '17년36만9천 톤과 비교하면25.5%(9만4천 톤)가 더 늘어났습니다. 2. 미국산 여전히강세, 스페인산 크게 약진 수입 돼지고기의 전통적인 강자인 미국산은 지난해에도 더욱 강세였습니다. 전체 18만5천 톤이 수입되어 '17년에 비해 36.7%나 증가(5만 톤)했습니다. 이베리코 돼지고기로 대변되는 스페인산의 약진도 한돈을 크게 위협할 정도입니다. 무려 2만천 톤이 늘어나 5만6천 톤을 기록했습니다. '17년에 비해 59.3%나 성장한 셈입니다. 미국산과 스페인산의 '17년 대비 늘어난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