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김정희, 이하 검역본부)가 ‘차세대 동물용 백신 아쥬반트(adjuvant, 면역증강제) 시스템’ 기술을 개발하여 산업체에 기술 이전했다고 지난 10일 밝혔습니다(관련 기사). 백신의 구성은 크게 항원과 ‘아쥬반트’로 나뉘며, ‘아쥬반트’란 의학적으로 특정 약물이나 백신의 면역반응(효과) 또는 항암제 등의 치료 효과를 증강시키기 위해 추가되는 물질을 의미합니다. 검역본부가 개발한 아쥬반트는 한 가지가 아닌 여러 가지 종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존 아쥬반트와 함께 쓸 수 있는 것부터 아예 대체할 수 있는 것까지 다양합니다. 비오일 성분 아쥬반트의 경우 구제역 백신 등에 적용시 이상육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핵심 기술은 백신의 선천성 면역 유도뿐만 아니라 적응성 면역인 세포성·체액성 면역체계를 강화함으로써 백신 접종 초기는 물론 접종 이후에도 장기간 지속되는 면역반응을 한층 더 강화해 백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기존 아쥬반트 상식을 뛰어넘습니다. 실제 구제역 및 PRRS, 써코, 마이코플라즈마 백신 등에 적용 시 면역증강 효과가 확인되었습니다. 검역본부는 이번 기술의 국내외 특허출원 및 등록(33건)과 논문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김정희, 이하 검역본부)는 지난 18일 진주 MBC컨벤션에서 2024년 대한수의학회 추계학술대회와 연계해 '구제역 백신 학술 토론회(심포지엄)'를 개최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학술 토론회에서는 검역본부가 현재 추진 중인 한국형 구제역 불활화 백신 국산화 외에 새로운 구제역 백신 플랫폼으로 맞춤형 ‘아쥬반트(보좌제)’ 개발과 피내접종 등 현장 문제 해결 방안에 대해 2개 산업체와 검역본부가 함께 발표했습니다. 검역본부는 새로운 백신 플랫폼으로 항원 생산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백신, 이상육 저감을 위한 피내접종 방법 및 면역기전에 기반한 질병 맞춤형 ‘아쥬반트’ 개발 등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한범구 상무(옵티팜)는 ‘곤충세포 발현시스템을 이용한 재조합 백신 개발 현황’을 공유했습니다. 옵티팜은 국내 발생한 O형 및 A형 구제역에 대해 연구 중이며, 특히 실험동물 모형에서 효과를 입증한 O형 구제역 백신에 대해 2026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올해 하반기 민간에 개방되는 검역본부 특수연구시설에서 목적동물(돼지) 방어능 평가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김봉윤 대표(왓슨알앤디)는 대장균 발현시스템을 이용한 재조합 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