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학교는 수의과대학 이종수 교수팀이 중앙백신연구소, 아비넥스트,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등과 함께 순수 국내 기술 기반의 ‘ASF 생백신 후보주’를 개발하고, 관련 연구 결과를 지난 25일 해외 저명 학술지(Emerging Microbes & Infections)에 논문(바로보기)으로 게재했다고 3일 밝혔습니다. 논문 제목은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high-efficiency cell-adapted live attenuated vaccine candidate against African swine fever(ASF에 대한 고효율 세포 적응 생약독화 백신 후보의 개발 및 특성화)'입니다. ASF 백신 개발은 지난 수십 년간 여러 나라에서 연구와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효과와 안전성이 인정된 상용화 백신은 없는 실정입니다. 해당 논문에 따르면 이종수 교수 공동 연구팀의 백신후보주(ASFV-MEC-01)는 상업적 잠재력이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생약독화 ASF 백신 후보가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관련 기사). 현재 한국과 베트남 등에서 추가 시험 단계에 있습니다. 연구팀은
[본 기고글은 7월 4일자 동아일보 오피니언에 실린 글입니다. 글쓴이의 동의 하에 게재합니다. -돼지와사람]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돼지가 고열과 출혈 증상으로 거의 대부분 폐사하는 질병으로 구제역과 같은 제1종 가축전염병이다. 돼지 사육 농가에는 재앙적 질병이며, 국가적으로도 막대한 피해를 주는 재난형 질병이다. 6월 15일 경북 영천의 양돈농장에서 42번째로 ASF가 발생하였고, 6월 17일을 기준으로 감염된 야생멧돼지의 발병 건수는 4073건에 이른다. 감염 야생멧돼지는 경기, 강원, 충북, 경북 등에 이어 전국으로 확산하는 양상으로 전국적 토착화로 이행 중이라 할 수 있다. 현재까지 ASF로 인한 피해 규모를 금액으로 추산하면 3000억 원 이상이라는 것이 농림축산식품부 설명이다. 코로나19와 구제역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질병의 전파와 피해를 줄이고 종식으로 가는 데는 결국 백신이 필요하다. ASF의 복잡한 특성으로 인해 백신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최근 '약독화생백신' 형태의 백신 후보들이 커다란 진전을 보이고 있다. ASF 바이러스에 대한 약독화생백신은 안전해야 하며, 효능이 있어야 하고, 야외균주와 구별(DIVA)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