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돼지를 포함한 동물용 항생제의 판매량이 전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농림축산검역본부와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이 매년 공동 발간하는 '2023년도 국가 항생제 및 내성 모니터링; 동물·축산물'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항생제 판매량(콕시듐제 제외)은 전년보다 1.4% 증가한 총 787톤입니다. 축종별로 돼지에서 543톤(69.0%)으로 가장 많이 판매되었고, 다음으로 닭(128톤, 16.2%), 소(87톤, 11.3%), 기타동물(19톤, 2.4%), 반려동물(10톤, 1.2%) 등의 순으로 높았습니다. 반려동물을 제외하고 전년보다 모두 증가하였는데 증가량을 보면 닭(8톤), 돼지(5톤), 소(2톤), 기타동물(1톤)의 순으로 많이 늘어났습니다. '14년 판매량과 비교하면 돼지(114톤), 닭(18톤), 반려동물·기타동물(각 6톤), 소(2톤) 순입니다. 수의사 처방제('13년 8월)가 도입된 이후 항생제 사용량이 증가한 것입니다. 단순히 사육두수가 증가했다는 이유를 달기보다는 신중한 항생제 사용을 위한 심도깊은 사회적 논의가 당장 필요해 보입니다. 2023년 항생제 계열별 판매량은 페니실린 계열(253톤, 32%), 암페니콜 계열(117톤,
지난해 돼지에 판매된 항생제량이 전년 대비 출하두수 증가에도 불구하고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긍정적인 성적표입니다. 농림축산식품부와 농림축산검역본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이 공동으로 발간한 '2022년도 국가항생제 사용 및 내성 모니터링'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소, 돼지, 닭 등 축산에 판매된 항생제 판매량(추정치)는 약 715톤(725,486kg, 항콕시듐제 제외)입니다. 이는 전년과 비교해 84톤 감소한 수준입니다(-10.4%). 715톤 가운데 돼지에서의 항생제 판매량(추정치)은 526톤으로 집계되었습니다(525,899kg). 전년인 '21년보다 24톤(4.4%)이나 줄어든 수치입니다. 매우 다행스러운 결과입니다. 지난 '21년의 경우 역대 최고 판매량인 550톤을 기록한 바 있습니다(관련 기사). 또한, 지난해 526톤은 출하두수가 전년에 비해 증가한 가운데 나온 결과여서 더욱 의미가 있습니다. 지난해 전체 출하두수를 반영한 출하두당 항생제 판매량은 28.3g입니다. '21년 29.9g보다 1.6g이나 감소했습니다(-5.3%). '19년 28.2g과 비슷해졌습니다. 앞으로도 산업 차원의 계속적인 노력이 요구됩니다. 항생제별 판매량을 살펴보면 지난
'21년 돼지에 판매된 항생제량이 역대 최대였던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출하두수에 비해 항생제 사용량이 크게 증가한 것이어서 한돈산업 차원의 선제적인 항생제 감축 노력이 있어야 할 듯합니다. 농림축산검역본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발간한 '2021년도 국가항생제 사용 및 내성 모니터링' 보고서에 따르면 '21년 소, 돼지, 닭 등 전체 축산에 판매된 항생제 판매량은 약 810톤입니다(809,571kg). 이는 전년에 비해 73톤 가량 증가한 수준입니다(9.8%). 이는 소에서는 감소했지만, 돼지와 닭에서 증가한 영향입니다. 소와 돼지, 닭에서의 항생제 판매량은 각각 95톤, 550톤, 164톤입니다. 증감율은 각각 -1.3%, 9.8%, 17.6%입니다. 증가율로는 닭이 돼지를 앞섰지만, 절대량 증가분은 돼지(49.0톤)가 닭(25.6톤)의 거의 두 배입니다. 결국 '21년 항생제 증가의 가장 큰 요인은 돼지에서의 판매량이 가장 많이 늘었던 결과인 셈입니다. 돼지에서의 항생제 판매량 550톤은 역대 최고 기록입니다. 직전까지 최대 판매량은 지난 '17년 531톤이었습니다. 550톤에 전체 출하두수를 반영한 출하두당 항생제 판매량은 29.9g으로 분석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