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포시겐 PCV2, d유전형 백신 적용 사례
써코바이러스는 오랫동안 양돈산업에 큰 영향을 미쳐왔습니다. 백신이 없었던 시절 써코바이러스로 인한 폐사율 증가로 인하여 양돈 생산성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질병이었습니다[1]. 써코바이러스 백신이 개발된 이후 질병이 종식될 줄 알았지만 써코바이러스는 환경 저항성이 매우 강하고, 발병 이후 새로운 유전자형으로 진화를 하며 변화를 하며 생존해왔습니다[2,3]. 가장 처음 발견된 PCV-2a는 1996년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대부분의 양돈장에 널리 퍼져 있었습니다. 2005년 이후부터 PCV-2b로 변화하였고, 2023년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PCV-2d가 양돈장 전반에 넓게 퍼져있는 것이 많은 자료를 통하여 확인되고 있습니다[4-8]. 2022년 돼지수의사회 연례세미나에서 발표된 ‘농림축산검역본부’ 자료에 의하면 국내 PCV2 유전자형의 약 85%가 PCV-2d로 확인되고 있습니다[9]. 즉 PCV-2d 유전자형이 국내 양돈장 대부분에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변화하는 PCV2유전형을 방어할 수 있는 PCV-2d 유전형으로 만들어진 백신에 대해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버박에서 만든 포시겐 PCV2d는 PCV-2d 유전형을 사용한 백신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