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콘텐츠는 다비육종의 기술정보지 '다비퀸 2025년 9월호'의 일부입니다. 다비육종의 허락 하에 게재합니다. -돼지와사람] 지난 8월 6일, 다비육종은 서울대학교 이인복 교수 연구팀과 함께 '공기 재순환 환기시스템 실중연구 상반 기 성과 검토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이번 세미나는 다비육종 직영 농장인 안성 소재 도화종돈 농장에서 진행 중인 '공기 재순환 환기시스템' 실중연구의 중간 결과를 점검하고, 하반기 연구 방향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 시스템은 2018년 이인복 교수 연구팀의 과학기술정보동신부 과제에서 비롯되어 시작되었다. 5년에 걸친 연구 끝에 탄생한 '공기 재순환 환기시스템'은 단순한 환기장치에서 벗어나 태양광·태양열 등 신재생에너지를 접목해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했고, 전해수 기반 공기 세정장치와 인공지능(Al) 환경제어 알고리즘을 더해 축사 내부의 공기질과 온·습도를 자동으로 관리한다. 말 그대로 '스스로 숨쉬는 스마트 돈사'라 할 만하다. 상반기 실증 결과는 기대 이상이었다. 평균 온도가 2.6"C 낮아지고, 암모니아와 분진, 악취 농도는 절반 이하로 줄어들었다. 무엇보다도 눈에 띄는 점은 성장성 개선이다. 일당증체량이 19% 이상 늘
다비육종(대표 윤성규)은 지난달 6일 서울대학교 이인복 교수 연구팀과 함께 ‘공기재순환 환기시스템 실증연구 상반기 성과 검토 세미나’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세미나는 스마트팜 연구개발사업단 과제로 다비육종 직영의 경기도 안성 소재 도화종돈 농장에서 진행 중인 공기재순환 환기시스템 실증연구의 중간 결과를 점검하고, 하반기 연구 방향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습니다. 이인복 교수는 "2018년부터 5년간 과기부 과제를 통해 개발한 공기재순환 환기시스템을 실제 농장에 적용해 성과를 검증하는 단계"라며, “상반기 실험 결과를 통해 시스템의 실용성과 경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연구는 공기재순환 환기시스템에 태양광, 태양열 등 신재생에너지를 결합해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한 것이 특징입니다. 특히 전해수 기반의 공기 세정장치와 인공지능(AI) 알고리즘 기반의 환경제어 시스템을 통해 축사 내 공기질과 온·습도 조절을 자동화했습니다. 본 시스템은 육성·비육사 일부에 설치됐으며, 실시간 모니터링 및 자동 제어가 가능하도록 설계됐습니다. 연구팀은 온도, 습도, 암모니아 농도 등 주요 환경 지표를 기반으로 환기량과 재순환율을 조절하며 데이터를 축적해왔습니다. 실증
본 연구는 실시간으로 측정된 암모니아 농도와 환기량 자료를 바탕으로 지하채널 환기시스템이 설치된 밀폐식 비육돈사의 외기온 변화에 따른 암모니아 발생 특성을 평가한 것이다. 연구는 충청남도 청양군에 위치한 무창 비육돈사에서 이루어졌다. 비육돈사는 8개의 돈방과 지하채널 환기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체중 50kg에 입식된 비육돈은 돈방(195.9㎡)에서 약 두 달 간 사육 후 120kg 출하체중 도달 시 출하되었다. 연구는 늦가을(Cold weather) 10일, 여름(Hot weather) 9일 동안 8개의 돈방 중 1개의 비육돈방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실험기간 동안 돈방 사육밀도는 1.0~1.1head-1로 적정 사육밀도를 유지하고 있었다. 비육돈사 내 각 돈방은 깊이 1.2m의 전면 슬러리피트에서 돼지로부터 배설되는 분뇨를 출하 전까지 저장하였으며, 저장된 분뇨는 돼지 출하 후 외부 분뇨저장조로 배출되었다. 연구 결과 지하채널 환기 시스템이 설치된 비육돈사에서 Cold weather 시의 외기는 돈방으로 입기되기 전 8.5 ± 1.6°C 예열되었으며, Hot weather 시의 외기온은 지하채널에서 4.0 ± 0.5°C 예냉되었다. 이러한 지하채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