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분뇨처리 방식, 무엇이 최선일까?
지난 11일(목) 화성상공회의소 회의실에서 상일테크 고객초청 양돈산업 세미나가 높은 관심 속에 진행되었습니다. 상일테크 정상택 대표의 인사로 시작된 세미나에서는 우리나라의 분뇨처리방식을 다시 생각해 보게 하는 흥미로운 발표가 이어졌습니다. 첫 연자로 나선 안기홍 소장(양돈전문 컨설턴트, 일본 브랜드돈육 전문가)은 정시, 정량, 정질을 목표로 하여 고품질 돈육을 생산하여 수입육과 차별화하는 일본 양돈농가의 사례를 소개하였습니다. 안 소장은 "우리나라와 비슷한 일본의 경우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돈사에서부터 분뇨를 분리하여 처리합니다. 뇨와 분리된 분은 퇴비화하기 훨씬 쉽고 뇨는 정화 방류처리를 합니다. 이것이 일본의 분뇨처리의 기본 원칙입니다."라며 "우리나라는 슬러리가 처음 도입되면서 깊이가 낮고 슬러리를 쉽게 버리지 못하는 상황입니다."라고 지적했습니다. 슬러리 방식의 첫번째 문제는 슬러리 처리 비용이 많이 듭니다. 두번째는 슬러리가 관리되지 않음으로해서 돈사환경이 아주 나빠집니다. 악취의 주원인은 슬러리 때문입니다. 우리나라는 슬러리를 빨리 빼지못하여 돼지나 사람의 건강에 좋지 못하고 냄새로 인한 민원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새롭게 돈사를 만드는 경우 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