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경제연구원(이하 농경연)이 2분기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습니다. 농경연의 국제곡물 관측 4월호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2015년=100)는 전 분기보다 1.4% 상승한 138.5입니다. 2분기 연속 상승했습니다. 다만, 138.5는 당초 예상치(139.5)보다 1.0포인트 낮은 수준입니다. 3월 옥수수, 대두박 등 주요 원료 수입단가가 하락한 영향입니다. 특히, 대두박 하락폭이 컸습니다(전월 대비 -3.4%, 전년 대비 -18.8%). 최근 가장 큰 변수로 떠오른 대미환율 상승이 하락폭을 제한했습니다. 이러한 경향은 2분기에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에 농경연은 2분기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 예상치를 기존 139.1에서 136.5으로 더 크게 내렸습니다. 3분기 만에 소폭 하락에서 확실한 하락으로 전망했습니다. 대미환율은 여전히 변수입니다(2분기 전망치 1450.8원/달러). 미국발 관세 폭탄에 더욱 유동적입니다. 한편 농경연은 오는 4분기 사료 수입단가에 영향을 줄 2분기 국제곡물 선물가격지수(2015년=100)는 전 분기(113.6) 대비 1.7% 하락하는 111.7(전년 동기 대비 -7.9%)이 될
올해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는 1분기까지 두 분기 연속 상승하다가 2분기에는 소폭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농촌경제연구원(이하 농경연)이 최근 발표한 국제곡물 관측 3월호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는 전 분기보다 3.7포인트 오른 136.6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지난해 10월 예측치(135.5)보다 1.1포인트 더 높은 수준입니다(관련 기사). 대미환율 상승폭이 예상보다 더 컸기 때문입니다. 환율 영향은 올해 계속 이어지는 모양새입니다. 농경연의 올해 1분기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 예측치는 4분기보다 2.9포인트(2.1%) 오른 139.5입니다. 역시 지난해 10월 예측치(132.1)보다 7.4포인트 더 높습니다. 농경연은 대두박 수입단가 하락에도 대미환율 상승으로 올랐다고 분석했습니다. 농경연은 다만, 2분기의 경우 사료용 옥수수 상승에도 지난해 4분기 대두박 선물가격 하락 시기에 구입한 물량이 도입되면서 0.4포인트(0.3%) 소폭 하락한 139.1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한편 농경연은 오는 3분기 사료 수입단가에 영향을 줄 올해 1분기 국제곡물 선물지수는 전 분기 대비 5.1% 상승한 114.6로 전망했습니다(전년 동기
4분기 식용 곡물가격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는가운데 사료용 곡물 가격은 하락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었습니다(관련 기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하 농경연)이 최근 발표한 국제곡물 관측 10월호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사료용 곡물지수는 132.9로 2분기(144.4) 대비 11.5포인트 떨어지며 한 분기 만에 다시 하락으로 전환했습니다. 이어 농경연은 4분기 사료용 곡물지수를 131.2로 예측해 추가 하락(-1.3%)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식용 곡물지수의 경우 이번 4분기 상승하는 것과는 대조적입니다. 제분용 밀과 채유용 콩의 경우 수입단가가 상승한 것과는 달리 사료용 밀과 옥수수, 대두박 등의 수입단가가 하락한 영향입니다. 또한, 농경연은 내년 1분기 사료용 곡물지수는 127.4로 전 분기 대비 -2.9%로 하락, 3분기 연속 하락세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보았습니다. 농경연은 내년 2분기 사료 수입단가에 영향을 줄 올해 4분기 국제곡물 선물가격지수의 경우 110.3으로 전 분기 대비 2.6%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전년 동기 대비 -13.5%). ▶'24/25년도 세계 밀·옥수수 수급 여건 악화 전망 ▶'24'25년도 남미 곡물 주산지와 '25/'26년도
2분기 잠시 하향세를 멈췄던 수입 사료 가격이 3분기와 4분기에는 다시 하락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었습니다(관련 기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하 농경연)이 최근 발표한 국제곡물 관측 8월호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지수는 144.4로 전분기 대비 3.3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2분기 이래 1년 만에 하락세가 멈추었습니다. 밀, 옥수수, 대두박 가격이 일제히 상승한 영향입니다. 다만, 2분기 144.4는 전년 동기(166.0) 대비로는 21.6포인트 낮은 수준입니다. 농경연은 3분기부터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지수가 다시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구체적으로 3분기 136.0, 4분기 133.6으로 예측했습니다. 3분기 예측치는 지난달 예측치(130.8)보다 다소 상향된 수준입니다. 전년 동기 대비 높은 대미환율 영향으로 추정됩니다. 상승이 예상되는 국제유가도 변수입니다. 실제 3분기 첫 달인 7월 수입 사료원료 가격지수는 전월(143.3) 및 전년 동월(167.0) 대비 각각 2.2%, 16.1% 하락한 140.1을 기록했습니다. 또한, 농경연은 내년 상반기 사료 수입단가에 영향을 줄 3분기 국제곡물 선물가격지수의 경우 전분
지난달 수입사료원료 가격이 전월 대비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하 농경연)의 국제곡물 5월호(바로보기)에 따르면 4월 수입사료원료 가격지수는 전월(145.3) 대비 2.2% 상승한 148.5포인트를 나타냈습니다. 이는 옥수수(258달러/톤, 0.9%)와 대두박(535달러/톤, 1.0%) 등의 수입단가와 달러환율(대미환율, IHS Global Insight 기준, 2.4%)이 오른 영향입니다. 밀의 수입단가(273달러/톤)는 0.6% 하락하면서 전체 가격지수 상승을 제한했습니다. 다만, 4월 수입사료원료 가격지수 148.5포인트는 여전히 지난해 같은 달(175.1)과 비교하면 15.2% 낮은 수준입니다. 달러환율(3.2%)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옥수수(-22.8%), 밀(-23.1%), 대두박(-4.4%) 등의 수입단가가 1년 사이 모두 크게 하락한 결과입니다. 농경연은 2분기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지수를 여전히 전 분기보다는 낮지만, 전달 예측치(135.5, 관련 기사)보다는 다소 높게 관측했습니다. 139.8포인트입니다. 이는 전 분기(141.1) 대비 -0.9%, 전년 동기(166.0) 대비 -15.8% 수준입니다. 2분기 국내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하 농경연)이 최근 곡물관측 4월호(바로가기)를 발표한 가운데 2분기 국제곡물 선물가격지수는 1분기에 이어 추가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4월 곡물관측 발표에 따르면 3월 국제곡물 선물가격지수는 전월(-2.2%) 및 전년(-22.3%) 대비 모두 하락한 119.2포인트를 기록했습니다. 큰 폭의 밀 가격 하락 영향입니다. 옥수수와 콩 가격 상승이 하락을 제한했습니다. 밀 가격의 경우 러시아 공급 증가에 따른 수출가격 하락, 중국의 미국산 밀 구매계약 취소 등으로 미국산 수출 부진 우려 심화 등으로 전월(-7.6%) 대비 크게 떨어졌습니다. 옥수수와 콩 가격은 브라질 수확량 전망치 하향 조정, 미국 콘벨트의 건조한 기상 형성 우려, 아르헨티나 폭우 영향 등으로 전월 대비 올랐습니다.(옥수수 1.3%, 콩 0.8%). 농경연은 2분기 곡제곡물 선물가격지수를 121.1포인트로 예측했습니다. 이는 전 분기(-0.9%)뿐만 아니라 전년 동기(-18.7%) 대비 모두 낮은 수준입니다. 지난 '22년 2분기 이후 8분기 연속 하락한 가격입니다. 흑해지역의 원활한 밀 공급 지속, 세계 옥·수수콩 기말재고량 및 기말재고율 상승 예측 등을 판단 근거로 제
올해 3분기부터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지수가 떨어지면서 4분기에 이어 내년 1분기까지 수입가격 하락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국제곡물 12월호에 따르면 올해 4분기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는 5.7% 하락했고, 내년 1분기에는 6.0% 하락 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2022년 1분기 국제곡물 선물가격지수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에 따른 공급 차질 우려, 남미 주산지 가뭄에 따른 생산량 감소 등으로 전 분기 대비 18.8% 상승했습니다. 2분기 국제곡물 선물가격지수는 전쟁 장기화에 따른 공급 차질 심화, 북반구 주산지 기상 악화 등으로 전 분기 대비 13.8% 상승했습니다. 3분기부터 국제곡물 선물가격지수는 164.3으로 세계 경기 침체 우려와 흑해 지역 곡물 수출 재개 등으로 전 분기 대비 15.0% 하락하며 전쟁 이전 수준으로 돌아갔습니다. 그러나 전년(141.4) 및 평년(98.0) 동기 대비 여전히 높은 수준입니다. 4분기 국제곡물 선물가격지수는 162.2로 국제 유가 하락 전망 등 외부 요인으로 전 분기 대비 1.3% 떨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국제곡물 가격 이슈는 미국의 가뭄으로 미시시피강 수위가 낮아져 바지선을 이용한
높은 인플레이션에 따른 민간 소비 위축, 긴축 정책 시행, 불확실성에 따른 투자 약세 등으로 세계 경제가 불안한 가운데 국제곡물 선물가격지수가 보합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국제곡물 11월호에 따르면 올해 4분기부터 내년 1분기 곡물 수입단가지수는 전 분기 대비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흑해 곡물 수출 재개, 달러화 강세와 경기 침체로 인한 수요부진 우려 등으로 3분기 선물 가격이 하락하여 4분기 곡물 수입단가는 전 분기 대비 하락 전망되나 원/달러 환율 상승은 지수 하락폭 제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10월 국제 유가는 전월 대비 상승했습니다. 세계 곡물 기말재고율은 콩은 전년 대비 소폭 상승했고, 밀·쌀은 하락했습니다. 옥수수는 전년과 비슷할 전망입니다. 세계 옥수수 생산량은 11억 6,663만 톤으로 전월 대비 410만 톤(0.3%) 감소했습니다. 세계 각국이 가뭄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세계 옥수수 소비량은 11억 6,826만 톤으로 전월대비 514만 톤(0.4%) 감소했습니다. 세계 콩 생산량은 3억 9,054만 톤으로 전월 대비 60만 톤(0.2%) 증가했습니다. 콩의 세계 소비량은 3억 8,081만 톤으로 전월 대비 341
4분기 곡물 수입단가지수는 전 분기 대비 하락할 것으로 보입니다. 흑해 지역 곡물 수출이 재개되고 3분기 국제곡물 가격이 하락했기 때문입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 10월호에 따르면 국제곡물 선물가격지수는 전분기 대비 3분기, 4분기에 각각 15.0%, 0.2%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세계 경기 침체로 인한 수요 부진 때문입니다. 그러나 흑해 지역의 수출에 대한 불확실성, 라니냐 전망에 따른 곡물 주산지 이상 기상 발생 우려 등으로 하락폭은 제한적입니다. 9월 수입사료원료 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3.4% 상승했습니다. 배합사료 주원료 수입단가는 하락하였으나 대미 환율이 상승했기 때문입니다. 9월 사료용 옥수수와 대두박의 수입단가는 전월 대비 하락했고, 밀은 상승했습니다. 옥수수는 톤당 386달러로 전월(393달러/톤) 대비 1.8% 하락했고, 대두박은 톤당 601달러로 전월(619달러/톤) 대비 2.9% 하락했습니다. 밀은 톤당 380달러로 전월(349달러/톤) 대비 8.8% 상승했습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으로 지난 3월 세계 식품 가격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후 하향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흑해 항구의 수출 재개는 세계 곡
2/4분기 국제 곡물 선물 가격지수가 전 분기 대비 13.8% 상승 추정되어 최고점을 찍고 3/4분기 하락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한국 농촌경제연구원(이하 농경연)의 농업관측 7월호에 따르면 곡물 수출 주요국의 원활한 수확이 진행되고 있고, 미국 금리 인상 이후 경기 침체로 인한 수요 감소로 국제 유가도 하락하고 있어 3/4분기 국제 곡물 선물 가격지수는 전 분기 대비 3.7% 하락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자세히 살펴보면 미국 겨울밀의 원활한 수확이 진행되고 22/23년 미국 밀 생산량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옥수수는 미국 중서부 지역 기상 개선으로 파종에 진척이 있고, 브라질의 2 기작 옥수수는 평년 대비 빠른 수확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22/23년 세계 옥수수 수급 개선이 전망되어 옥수수 가격이 하락하고 있습니다. 콩은 전쟁으로 세계 식물성 유지류 수급 악화가 지속되면서 대두유 선물 가격이 강세를 띄고 있습니다. 다행인 것은 22/23년 세계 콩 수급 개선 전망으로 가격 상승 폭에 제한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6월 주요 곡물 수입단가는 전 품목 전년 동월 대비 12~48% 높은 수준으로 전월 대비 4.5% 상승했습니다. 곡물 수입단가는 여전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