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F는 돼지에 영향을 미치는 치명적인 전염병이다. 본 연구는 최초의 한국 'ASF 바이러스(ASFV)' 분리주(Korea/Pig/Paju1/2019)를 사용하여 4가지 경로(근육, 구강, 비강, 접촉)를 통해 접종한 돼지에서 각각의 질병 경과를 비교했다. 바이러스 공격 실험에서 근육 접종(IM) 그룹 돼지에게는 '103 HAD50' 1ml을 주사로, '구강 내(IO)' 및 '비강 내(IN)' 그룹 돼지에게는 각각 '106 HAD50' 1ml를 입 또는 콧구멍을 통해 투여하였다. '직접 접촉(DC)' 그룹의 경우 비감염 돼지와 IM 그룹 돼지를 돈방에 함께 수용했다. 연구 결과 IO, IN 및 IM 접종 돼지는 유사한 질병 경과를 보였지만 DC 돼지는 7일 잠복기 후에 비슷한 ASF 증상을 보였다. 가장 흔한 감염 경로 중 하나인 DC 경로의 질병 경과는 IO 및 IN 경로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IM 및 DC 그룹은 발열 및 림프절과 비장의 출혈성 병변의 중증도 측면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초기 백신 개발 시험에 적합한 IM 경로가 감염 초기 단계를 포함한 ASFV 감염 기전을 연구하는 데 적합하지 않음을 시사한다. 또한, 지정된 용량의 IO 및 IN
본 연구는, 돼지에서 ▶무침 피내접종 0.5ml(이하 무침피내) ▶무침 근육접종 2ml(이하 무침근육) ▶일반주사기를 이용한 근육접종 2ml(이하 주사근육) 등의 구제역 백신접종에 따른 스트레스, 증체, 구제역 백신 항체가(항체양성률)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먼저 무침 분사식주사기를 이용하여 구제역 백신을 근육 혹은 피내에 접종하고 12주 동안 체중변화를 관찰한 결과, 기존 일반주사기를 이용하여 접종한 경우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증체효과가 관찰되었다. 항체 역가는 주사근육 및 무침근육 그룹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무침피내 그룹은 주사근육 그룹에 비교하여 1차와 2차 접종한 경우 모두 항체가가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낮게 나타났다(p<0.05). 구제역 백신 접종 후 5일차 및 7일차 혈청 코티솔 농도는 무침근육·무침피내 그룹 모두 주사근육 그룹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부터, 무침 분사식 주사기를 이용한 구제역 백신의 근육접종은 일반주사기를 이용한 접종과 비교하여 항체 형성에 있어서 차이가 없었으며, 돼지의 백신접종 스트레스의 감소 및 증체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서론 '돼지유행성설사병(PED)' 바이러스 감염은 모돈과 자돈에서 설사를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특히 자돈의 경우, 이 돼지 코로나바이러스는 소장에 심각한 손상을 일으키는데 먼저 선와(crypt, 융모 하단부)와 융모(villi)의 비율을 1:7에서 1:3으로 감소시켜 영양분과 전해질의 흡수를 방해합니다. 이어 높은 폐사율(약 20~50%)과 성장 지연을 유발합니다. 현재 PED를 예방할 수 있는 가장 실용적인 방법은 면역을 가진 모돈의 초유를 통해 자돈에게 수동면역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모돈을 면역시키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분만 직전에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PED에 걸린 자돈의 신선한 소장을 먹이는 것(피드백)입니다(1,2).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면 모돈 초유에는 수동 면역, 특히 PED 바이러스에 특이적인 IgG와 IgA가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3). 그러나 지난 10년 동안 불활화(사독) 또는 생독 백신을 근육 주사해도 면역력, 특히 IgA 수준이 떨어지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4). 재료 및 방법 총 50마리의 후보돈을 다음과 같이 5개의 그룹으로 나누었습니다: 그룹 1(대조군, n=10), 20주령
북미형 PRRS 백신인 프라임팩® PRRS, 이미 그 안전성과 효능이 입증되어 있습니다. 프라임팩® PRRS는 PRRS에 의한 생산성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어합니다.
근육뿐만 아니라 피내 접종 모두가 가능한 '북미형 PRRS' 백신이 국내 처음으로 소개됩니다. 한국엠에스디동물약품(대표 윤훈갑)은 이달 10일 오후 1시부터 대전 오노마 호텔에서 '프라임팩® PRRS' 신제품 출시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최근 밝혔습니다. '프라임팩 PRRS'는 PRRS 2형(북미형) 바이러스로 인한 바이러스혈증과 임상증상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약독화된 PRRS 생독 백신입니다. 후보돈과 모돈, 자돈 모두에게 사용이 가능하며, 높은 안정성과 접종 후 23주까지 지속되는 면역으로 PRRS 컨트롤에 효과적입니다. 또한, '프라임팩 PRRS'는 근육 접종뿐만 아니라 최근 각광받고 있고 '피내 접종'을 할 수 있습니다. 피내 접종은 우선 접종이 편리합니다. 주사침으로 인한 질병 전파 가능성이 없습니다. 돼지의 접종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습니다. 국내 판매되고 있는 북미형 PRRS 백신 가운데 피내접종이 가능한 것은 이번에 출시되는 '프라임팩 PRRS'가 유일합니다. 한국엠에스동물약품이 현재 공급 중인 '포실리스 PRRS' 역시 근육·피내 접종 모두 가능한데 '유럽형 PRRS' 백신입니다. 물론 북미형·유럽형 모두에 일정 효과(교차방어)를 가진다는
다양한 외부 환경의 악재 속에서 사료효율을 개선하는 것은 한돈농가가 투자 대비 수익을 당장 올릴 수 있는 방법입니다. 사료효율 개선을 위해서는 '지방보다 근육을 축적'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에 맞는 사료와 종돈, 정액을 선택합니다. PSY 성적 향상에 노력합니다. 돼지 장 건강을 위한 적절한 환경 및 사양관리를 실시합니다. 액상 사료 급여를 고려합니다. 최근 개발된 EP-P 가공사료는 사료효율뿐만 아니라 사료허실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정리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돼지고기로 인해 PRRS가 전파될 가능성이 있을까?(질문국가: 대한민국) 돼지고기로 인해 PRRS 바이러스가 전파될 가능성이 있을까? PRRS 예방을 위해 농장 직원들이 돼지고기를 가져오거나 접촉하는 것을 막아야 할까? 돼지고기로 인한 PRRS 바이러스 전파 위험을 100% 배재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그 가능성은 매우 낮다. 우선 PRRS 바이러스는 비경구적인 경로를 통해 적은 양으로도 감염이 일어나지만, 경구적인 경로로 돼지가 감염되려면 매우 많은 양의 바이러스(1 x 105.3 TCID50)가 필요하다. 하지만 PRRS 급성 감염으로 다량의 바이러스가 복제되는 시기는 보통 어린 자돈 구간으로, 도축시기에 도달하는 비육돈은 양성이더라도 PRRS 바이러스양이 보통 적은 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축장까지 PRRS 바이러스를 가져오는 돼지들도 일부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다. PRRS 바이러스가 복제하고 증식하는 표적세포를 살펴보면, 단핵구 계통의 면역세포로 주로 완전히 분화된 대식세포에서 증식된다. 반면 근육세포는 PRRS 바이러스에 대한 감수성이 없어 증식하기 어려운 세포이다. 따라서 돼지고기에 존재할 수 있는 PRRS 바이러스는 주로 감염된 근세포가 아닌
서론 구제역(FMD)은 발굽동물의 발굽과 입에 수포의 형성을 유발하는 악성전염병으로 돼지 목 부위에 구제역 백신을 근육접종하는 방법은 널리 쓰이고 있다. 피내접종과 피하접종과 같은 다른 접종경로는 도축장에서 발견되는 구제역 백신 접종부위 부작용(목심 이상육)을 줄이는데 근육접종보다 더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현재까지 개발된 어쥬번트와 백신성분 조합은 이 목표에 부합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신 에멀젼 기술과 피내접종 또는 피하접종 경로로 사용되기에 최적의 어쥬번트를 도입한 새로운 구제역 백신이 도축장에서 폐기되는 목심 이상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평가방법 본 연구는 국내 3 곳의 일반 돼지농장에서 실시되었고 총 96마리의 8주령 돼지가 사용되었다. 싱글오일 에멀젼, 다가 구제역 백신(바이오아토젠 Bioaftogen® ID, Biogénesis-Bagó)이 두 가지 접종경로로 사용되었다(피내접종 42두, 피하접종 42두).그리고 12두는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대조군이었다. 백신을 목표 부위(피내 또는 피하)에 정확하게 주입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일반 주사기를 사용하여 접종하였다. 1차접종과 2차접종은 각각 8주령과 11~12주령에
구제역 백신의 접종 부위가 공식적으로 '이근부(목) 근육'에서 '(모든) 근육'으로 변경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습니다. 앞으로는 기존 이근부뿐만 아니라 둔부(엉덩이) 등의 모든 근육에 접종이 가능합니다. 단, 2회 2ml 접종은 동일합니다. 정부는 현재 구제역 백신으로 인한 목심 이상육 발생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난달 28일 모든 구제역 백신의 접종 부위와 관련한 백신 부표를 일괄 변경하였습니다. 관련하여 대한한돈협회(이하 한돈협회)는 '최근 이상육 발생 관련 언론보도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이상육이 시중에 유통될 경우 한돈산업에 막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며 '목 대신 둔부로 접종부위를 변경할 경우에는 주사침이나 둔부 내 이상육이 사전에 발견될 수 있도록 육가공업체와 반드시 사전 협의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일부 육가공업체에서는 둔부에서 이상육 발견이 어렵다는 이유로 외려 꺼리는 경우가 있다는 것입니다. 한돈협회는 아울러 '구제역 백신 접종을 왼쪽 혹은 오른쪽으로 접종 방향을 통일 시 양쪽 접종보다 이상육 공제를 줄일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한돈협회는 이상육 발생에 따른 농가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피내접종 현장실험, 무침주사기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