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들어 돼지 도매가격(제주 및 등외 제외, kg당)이 11주 만에 하락으로 돌아서는 양상입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지난 월요일(24일) 도매가격은 6304원을 기록해 1주 전 가격(17일 6223원)보다 81월 높게 출발했습니다. 11주 연속 주간 가격이 상승하는 듯했습니다. 하지만, 이어 화요일(25일)과 수요일(26일)에는 각각 6209원, 6060원으로 전주보다 가격(-167원, -343원)이 떨어졌습니다. 지난 10주간은 좀체 볼 수 없었던 모습입니다. 이에 따라 24일부터 26일까지 3일간의 평균 가격은 6192원입니다. 이번주 남은 이틀 큰 변수만 없다면 전주 평균 가격(6301원)을 넘기는 힘들어 보입니다. 10주 연속 주간 가격 상승세을 마치고 하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앞서 말했듯이 돼지 주간 평균 도매가격은 지난 4월 중순(4.14일 주) 이후 10주간 꾸준히 상승했습니다. 최근 2주간은 전주 대비 각각 8.1%, 6.0% 가격이 상승해 급등 양상을 보였습니다(관련 기사). 지난해 가격을 단박에 넘어섰습니다. 이를 두고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이하 육류협회)는 '이상현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시장은 특별한 수요가 없는데 가격이 급하
축산물품질평가원이 집계한 4월 평균 돼지 도매가격(제주 및 등외 제외, kg당)은 4892원입니다. 당초 5천원 초중반대까지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는 대체적인 전망을 비웃었습니다. 이 같은 원인 가운데 하나로 물가상승과 경기침체로 인한 '외식부진'이 꼽히고 있습니다(관련 기사). 최근 핀테크 기업 핀다의 빅데이터 상권분석 플랫폼 ‘오픈업’에 따르면 지난해 외식업체 81만8867개 중 17만6258개가 폐업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폐업률로 따지면 21.52%입니다. 이는 코로나19 여파가 한창이었던 '20년 폐업률 16.95%보다도 높은 수준입니다. 외식업체의 어려움은 '24년에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회장 김용철, 이하 육류협회)는 지난 11일 4월 평균 돼지 도매가격(등외 및 제주 제외, kg당)을 기존 5300~5500원(관련 기사)에서 5000원으로 하향 조정했습니다(관련 기사). 그런데 앞으로 이달 남은 기간 도매가격이 5천원 중반대로 크게 상승하지 않는 한 평균 5000원 달성도 어려울 것으로 전망됩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23일까지 평균 도매가격은 4869원입니다. 정부지원할인과 봄맞이 축제 외식소비, 5월 가정의달 준비 수요 등 여러 가격 인상 요인이 무색한 수준입니다. 이 기간 5000원대 가격을 형성한 날은 지난 16일(5061원) 단 하루뿐이었습니다. 대부분 4천원 중후반대 가격을 오르락내리락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단 하루(4.7일)를 빼놓고 5000원대를 기록한 것과는 매우 대조적입니다. 지난해 4월 평균 도매가격은 5275원을 나타내었습니다. 이달 이 같은 상황은 경기 침체 속 고금리·고물가·고환율 등의 영향으로 소비자의 소비심리가 크게 위축된 것이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관련 기사). 이스라엘-이란 분쟁으로 인해 더욱 고조된 중동위기는 소비심리를 더욱 불안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6월 마지막 경매일인 28일 돈가가 전날 27일에 이어 이틀 연속 3천원대를 기록했습니다(3,950원, 제주, 등외 제외). 올해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중국을 비롯해 베트남 등 아시아로 더욱 확산되고 그 피해 정도가 상당한 것으로 알려져 년초부터 전세계적인 돼지고기 공급 부족으로 국내 돼지고기 가격이 급등을 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하지만, 상황은 예측과다르게 전개되고 있습니다. 돼지가격이 최고가를 기록하는 여름 성수기 기간임에도 사상 최저가를 형성하고 있는 것입니다. 6월 돼지고기 평균 도매가격은 kg당 4200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19%나 하락했습니다. 6월 가격으로는 지난 2008년 이래 가장 낮은 가격입니다. 사상 최대 폭락했던 2013년 가격도 올해보단 높았습니다. 소매가격도 마찬가지입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6월 돼지고기 삼겹살(국산냉장.중품) 100g당 평균 가격은 1,936원으로 평년 2,195원을 크게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 관계자는 “해외 ASF 영향과 6월 돼지고기 소비 성수기임에도 불구하고 가격하락이 지속되는 이유는 국내 돼지고기 재고량 증가와 극심한 소비부진 때문”이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