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금값이 급격하게 오르며 8일 기준 순금 '한 돈(3.75g 살 때, 한국금거래소)'이 58만2천원에 이르렀습니다. 지난달 31일(55만6천원) 대비 약 5% 가까이 상승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1.20) 이후 미국발 관세전쟁 위기감으로 인해 안전자산인 '금' 선호 분위기가 강화되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입니다. 반면, 국내산 돼지고기, 한돈 도매가격(등외 및 제주 제외, kg당)은 지난주(2.2-7) 평균 4,675원을 기록, 설 명절 직전 주 평균 가격(4,994원)보다 6.4% 떨어지며 3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돼지 한 마리(39만5천원, 110kg, 지육율 76.7%) 팔아봐야 금 0.7돈을 살 수 있는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이달 예상 도매가격은 4,700~4,900원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관련 기사). 3월 삼겹살데이 수요가 관건입니다. 그런데 최근 우리나라 소매판매 통계는 21년 만에 최악의 내수 침체 상황을 가리키고 있어 4,700원 전망도 불안불안합니다. ※ '25년 2월 한돈산업 전광판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지난해 우리 소비자는 정육점을 통해 돼지고기를 가장 많이 구매한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추정됩니다. 이같은 결과는 최근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장승진, 이하 축평원)이 발간한 ‘2021년 축산물 유통정보조사’ 결과에서 나왔습니다. 해당 결과에 따르면 먼저 출하단계에서 돼지의 경매 출하 비율은 지난해 5.4%로 전년 5.9%보다 0.5%포인트 감소했습니다. 이는 직매 출하 비율이 그만큼 증가했다는 의미입니다. 지난해 직매 출하 비율은 94.6%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도매단계(업태 성격이 아닌 비용 발생 관점)에서 돼지의 -도축장 직반출과 식육포장처리업체를 통한 반출은 각각 2.9%, 97.1%로 나타났습니다. 식육포장처리업체를 통한 반출 비율 역시 전년보다 2.2%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역대 최대로 나타났습니다. 소매단계에서의 유통비율은 큰 변동이 있었습니다. 지난해 대형마트는 전년 대비 7.8%포인트 크게 감소했습니다. 반면, 정육점은 0.7%포인트 소폭이나마 증가했습니다. 그 결과 각각 19.4%, 25.6% 유통비율을 보여 정육점이 대형마트를 제치는 이변을 낳았습니다. 이어 나머지 소매단계 유통비율은 일반음식점(18.0%), 2차
올해 2분기 일선 양돈농가에서 돼지 한 마리를 출하할 때는 43만5천 원 나가고 소매단계에서는 72만3천 원에 판매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지난해 같은 시기에는 출하 시 46만2천 원에 나가고 소매단계에는 76만8천 원에 판매되어 이는 작년에 비해 올해 출하시 2만7천 원이, 소매 가격은 4만5천 원이 각각 줄어든 셈입니다. 이같은 결과는 지난 13일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백종호, 이하 축평원)이 발간한‘2018년 2분기 축산물 유통실태 보고서’를 통해 확인되었습니다. 한편 ‘축산물 유통실태 보고서'에 따르면 돼지고기의 2분기 유통비용률은41.3% 입니다.지난해 같은 시기 유통비용률은 39.8%로 올해 1.5% 상승했습니다. 반면1분기(45.6%)보다는 2분기에 4.3%가 감소했습니다. 유통비용률은 소비자가격에서 생산자가격을 뺀 차액, 즉 '유통비용'을 소비자가격으로 나눈 값(%)을 말하며 유통비용률이 낮을수록 소비자가격에서 유통비용이 적다는 의미입니다.돼지고기 유통비용률 41.3% 의미는 가격이 1,000원일 때 유통비용이 4130원이고 생산자 수취가격은 5870원이라는 의미입니다. 참고로 다른 축산물의 유통비용률을 보면 계란 58.9%, 닭고기 5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