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9일부터 ASF 발생 위험 시기나 지역에 따라 위기 단계를 차등해서 발령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개편한 것(관련 기사)에 대해 대한한돈협회(회장 손세희)가 환영 성명서를 11일 발표했습니다. 협회는 '그동안 일률적으로 적용된 심각 단계로 인해 한돈농가는 과도한 이동제한 조치와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였다'라며, '이번 개편으로 인해 한돈농가와 방역 현장이 겪어온 어려움을 해소하고, 방역의 실효성을 높이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습니다. -돼지와사람]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심각단계 해제와 합리적 개편을 환영한다 농식품부의 현장 중심 정책 결정으로 한돈산업의 새로운 전기 기대 1. 대한한돈협회(회장 손세희)는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위기단계 발령 체계 개편을 적극 환영한다. 이번 결정은 지난 5년간 지속된 ‘심각’ 단계 발령으로 인해 한돈농가와 방역 현장이 겪어온 어려움을 해소하고, 방역의 실효성을 높이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2. 이번 개편은 발생 위험 시기와 지역에 따라 위기단계를 차등 발령할 수 있도록 체계를 정비한 것이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규제를 완화하고, 실제 위험 지역에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 농식품부)가 운영하고 있는 ASF 관련 홈페이지(바로가기)가 업데이트가 되지 않고 자료도 없는 등 부실로 운영되고 있어 일선 농가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습니다. 농식품부는 지난해 9월 ASF 발병 이후 현재까지 관련 위기대응을 '심각' 단계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농식품부는 일선 양돈농가에 연일 '농장단위 방역조치'를 당부하며, 시설 개선뿐만 아니라 방역활동을 실시간으로 점검하고 있습니다. 개선되지 않을 시 과태료도 부과하는 등 강하게 정책을 펴고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정작 농식품부가 운영하고 있는 ASF 관련 홈페이지는 부실하게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코로나19 홈페이지(바로가기)와 비교하면 너무나 초라한 수준 입니다. 참고로 농식품부는 ASF에 있어 중앙사고수습본부의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농식품부의 ASF 관련 공식 보도자료는 지난 7월 8일이 마지막 업데이트 입니다. 7월 8일 이전 보도자료도 모두 업데이트 된 것이 아닙니다. 여지껏 기준도 없이 건성건성 올려져 있다고 볼 밖에 없습니다. 발생현황 보고는 지난 2월 20일이 마지막입니다. 꾸준히 업데이트 되고 있는 것은 검역본부가 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