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김정희, 이하 검역본부)가 ‘차세대 동물용 백신 아쥬반트(adjuvant, 면역증강제) 시스템’ 기술을 개발하여 산업체에 기술 이전했다고 지난 10일 밝혔습니다(관련 기사). 백신의 구성은 크게 항원과 ‘아쥬반트’로 나뉘며, ‘아쥬반트’란 의학적으로 특정 약물이나 백신의 면역반응(효과) 또는 항암제 등의 치료 효과를 증강시키기 위해 추가되는 물질을 의미합니다. 검역본부가 개발한 아쥬반트는 한 가지가 아닌 여러 가지 종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존 아쥬반트와 함께 쓸 수 있는 것부터 아예 대체할 수 있는 것까지 다양합니다. 비오일 성분 아쥬반트의 경우 구제역 백신 등에 적용시 이상육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핵심 기술은 백신의 선천성 면역 유도뿐만 아니라 적응성 면역인 세포성·체액성 면역체계를 강화함으로써 백신 접종 초기는 물론 접종 이후에도 장기간 지속되는 면역반응을 한층 더 강화해 백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기존 아쥬반트 상식을 뛰어넘습니다. 실제 구제역 및 PRRS, 써코, 마이코플라즈마 백신 등에 적용 시 면역증강 효과가 확인되었습니다. 검역본부는 이번 기술의 국내외 특허출원 및 등록(33건)과 논문
[인터넷, 게임, 사진, 영상통화.. 90년대 휴대폰이 처음 출시되었을 때 상상하기 어려웠던 일들이, 스마트폰 하나를 통해 가능한 시대가 되었다. 그렇다면 우리가 농장에서 사용하는 백신은 얼마나 발전했을까? 앞으로 4회에 걸친 연재에서 동영상을 통해 백신기술의 발전현황을 같이 집어보고자 한다.] 1화. 수용성 어쥬번트의 성능개선 과거의 백신을 사용할 때 잔류가 오래되는 오일 어쥬번트(부형제)나 접종반응이 강한 백신의 효과가 좋다고 생각해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수용성 어쥬번트에 인삼이나 덱스트란과 같은 면역증진인자를 포함하여, 접종반응이 적으면서도 항체 형성능력이 좋은 제품들도 진화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면역증진인자는 항체를 형성하는 체액성 면역뿐만 아니라, 세포성 면역을 동시에 자극하여 사독백신이 갖는 한계를 극복해가고 있다. 히프라뮨G는 진세노사이드(인삼)을 기반으로 개발된 히프라의 차세대 어쥬번트이다. 이 어쥬번트는 백신의 높은 면역원성과 뛰어난 안전성을 제공한다. 히프라뮨 어쥬번트는 특징적으로 수지상세포와 대식세포 같은 항원제시세포의 생산과 성숙을 촉진한다. 그 결과 히프라뮨G는 세포성 면역과 체액성 면역 두 가지 경로 모두를 자극할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