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설기술연구원(원장 박선규, 이하 건설연)은 축산분뇨 유기질비료 제조시설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와 암모니아 등의 악취 민원을 해결할 수 있는 나노기술 기반 세정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습니다. 건설연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에는 약 1,500 개소의 축산분뇨 유기질비료 제조시설이 운영 중이며, 이들 시설에서는 미세먼지와 암모니아로 인한 악취 민원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현재 대부분 퇴비화 시설 및 제조공장 등의 배출시설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약액세정시스템은 처리 효율이 낮고 세정폐수 처리와 약품비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에 건설연 환경연구본부 연구팀(팀장 정원식 박사)은 비료 제조시설에서 배출되는 암모니아 및 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나노기술 기반 세정시스템을 개발하였습니다. 이 개발 기술은 기존 세정시스템에 나노에멀션장치와 부상분리(DAF; Dissolved Air Flotation)를 적용하여, 미세먼지 및 악취 포집 효율을 향상시키고, 세정폐수의 사용 기한도 연장하여 약품비 절감 등의 효과도 동시에 얻을 수 있습니다. 연구팀은 충남 홍성과 경기 고양에서 20CMM(Cubic meter/min, 1분당 2
축산환경관리원(원장 문홍길)은 이달 26일부터 가축분뇨 유기질비료 수출 활성화를 위한 ‘가축분뇨 유기질비료 수출 플랫폼(이하, 수출 플랫폼)’의 구축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국내 유기질비료 생산업체를 대상으로 2주간 현황 조사를 진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수출 플랫폼’은 국내 수출업체에 주요 수입국의 시장 현황, 관련 제도, 수입 바이어 정보 등을 제공하고, 국외 수입업체에는 한국 내 생산 현황 및 수출업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수출입 업체 간 상호 정보 교류를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이를 위한 첫 단계로, 국내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 가축분뇨 유기질비료 생산업체를 대상으로 업체의 기초 현황(시설 용량, 인허가 등), 제품 현황(제품명, 규격), 수출 의향 및 실적 등을 다음달 9일까지 조사할 계획입니다. 조사 결과, 가축분뇨 유기질비료 수출업체의 주요 애로사항으로는 수출 대상국의 바이어 정보 부족과 물류비 등 경제성 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수입국 역시 우리나라의 생산 현황과 품질 정보의 부족으로 인해 수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축산환경관리원이 지난달 23일부터 30일까지 한국산 유기질비료를 가장 많이 수입
무계바이오 농업회사법인(대표이사 유명하)은 지난달 24일부터 29일 일정의 영천시 동남아 무역사절단에 참여하여 베트남, 대만바이어와 460만달러(약 63억 6000만원) 계약을 체결하였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영천시 동남아 무역사절단은 총 697만달러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 중 무계바이오는 베트남에서 400만달러, 대만에서 60만달러 현지 MOU 계약을 체결하여 수출계약을 진행 중입니다. 여성벤처기업 무계바이오는 경북과 영천 관내에서 생산되는 콤포스트계분, 돈분을 활용하여 품질 높은 펠렛 비료를 생산, 수출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대만업체의 MOU 체결은 기존 대만의 축분펠렛비료와 경쟁하여 국내 축분펠렛비료가 가격과 품질면에서 경쟁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것으로 풀이됩니다. 세계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는 무계바이오는 제 3공장을 건설할 계획에 있습니다. 유명하 대표이사는 “이번 영천시 무역사절단을 통해 시장님 이하 경상북도, 영천시의회, 경상북도경제진흥원 및 유관기관의 도움을 통해 이룬 성과를 바탕으로 수출이 매우 어려운 시기이지만 대한산란계 협회 대구경북도지회, 대한한돈협회 영천시지부 등 지역 농민들과 협력하여 최고의 성과를 통해 지역기업에서 세계기업으로 성
본 연구는 농업환경지표로써 양분수지를 이용하여, 지역의 농축산업 특성을 고려한 가축분뇨 처리모델을 제안하고 예상되는 효과를 고찰하였다. 가축사육 및 분뇨 특성에 따른 지역단위 가축분뇨 처리 모델 개발 연구 결과, 토양 양분수지를 기반으로 우분뇨를 이용한 고형연료의 생산과 닭 분뇨 및 고상 돼지분뇨의 혼합 퇴비화를 통한 고품질 퇴비 생산 그리고 액상분뇨의 정화연계처리 시스템이 복합적으로 운영되는 시설의 개발을 통해 가축분뇨 유래 양분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모델 적용 전, 가축분뇨 유래 양분의 부하량은 작물 수용량 대비 질소(N) 양분은 3.5%, 인(P) 양 분은 15.1%가 잉여 양분으로 남아 토양(농경지) 내 양분 수지가 873.9 ton-N/yr, 479.0 ton-P/yr으로 산출되었으나, 최적 모델 적용 시 질소 15.2%, 인 22.6%의 유입량이 감소하여 작물 수용량을 통해 전량 수용 가능했다. 따라서 지역 단위 가축분뇨 처리모델의 적용과 더불어 토양으로의 주된 양분유입원인 화학비료와 유기질비료의 사용량을 조절하는 양분관리 계획을 통해 작물 생산성 및 토양 환경이 고려된 친환경 경축순환농업의 활성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부는 축산분뇨라는 천혜의 비료자원이 있지만 그동안 유기질비료에 매달려 왔습니다. 유기질비료의 심각성을 알수 있는 사건이 있습니다. 주민 80명 중 30명이 암에 걸리고 이중 17명이 숨진 마을이 있습니다. 바로 전북 익산시 장점 마을입니다. 문제가 불거지자 익산시는 환경부 역학조사팀을 통해 조사한 결과 담뱃잎을 건조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발암물질이 검출되었다는 중간결과를 올해 2월에서야 내놨습니다. JTBC는11일자 보도에서 '비료공장 들어선 뒤 '집단 암'…역학조사는 반년째 '깜깜''이라는 뉴스를 내보냈습니다.이에대해,12일 환경부는 '환경부는 민·관공동협의회의 개최 등 주민과 공유하고 있음'이라는 제목의 보도 설명자료를 통해 주민과 역학조사 방법, 조사결과 등을 공유하고 있다고 설명하였습니다. JTBC '비료공장 들어선 뒤 '집단 암'... 역학조사는 반년째 '깜깜' 2001년 ㄱ유기질비료공장이 들어선 이후 연초박(담뱃잎 찌꺼기)을 건조하는 과정에서 밤낮으로 검은연기를 내뿜었고 주민들은 목의 통증을 호소하는 등 극심한 고통에 시달려 왔습니다. 2010년에는 마을 저수지의 물고기가 집단 폐사했으나 전북도와 시는 저수지 오염의 직접적 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