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꼽탈장(umbilical hernia, UH)은 돼지에서 흔히 발생하는 발생학적 결함으로,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에 의해 모두 영향을 받는 다인자형질(multifactorial trait)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양돈농장에서 UH의 발생률을 조사하고 UH 개체의 종돈 활용이 돼지의 번식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였다. 조사된 양돈농장에서 UH의 발생은 0.1%-3.0%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1개 농장을 제외한 모든 농장(95.7%)에서 UH 발생개체들이 발견되었다. UH 발생개체를 활용한 번식시험 결과, UH-연관교배와 후손들은 정상 대조축군과 임신기간, 출생자돈수, 생존자돈수, 생시체중과 21일령체중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 < 0.05). UH-연관교배는 정상 대조집단에 비해 임신기간이 더 길고, 출생자돈수와 생존자돈수가 감소하며, 생시체중과 21일령 체중이 더 가벼웠다. 흥미로운 점은 감소된 자돈수는 약 1/4에 해당하여, UH 유전형질이 아마도 돼지의 배발생과정에서 치사유전자(lethal gene)로써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UH 발생은 UH-연관교배에서 대조축군에 비해 유의적으로(P < 0.05)
PRRS 바이러스에 대한 감염 감수성은 돼지 품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까? 돼지의 일령, 성별 그리고 유전적 특성에 따라 PRRS 증상에 차이가 있을까?(질문국가: 대한민국) PRRS 바이러스에 대한 돼지의 감염 감수성은 품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돼지 품종에 따른 PRRS 감염의 차이 이미 1998년에 특정 유전품종의 돼지는 PRRS에 대한 감수성이 다른 품종보다 낮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예를 들어 매산돈(Meishan pig)은 듀록과 비교했을 때, PRRS 감염 이후 혈중 바이러스 수치가 낮고 병변도 미약하게 유발되는 것이 확인되었다(Halbur et al. 1998). 같은 품종 내에서의 PRRS 증상의 차이 같은 품종에 속하는 돼지라도 PRRS에 대한 임상증상 심각도는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유전학 연구를 통해 PRRS 바이러스의 감염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비교하였다. 돼지 염색체 4번(SSC4, Sus scrofa chromosome 4)에서 확인되는 유전자의 단일 염기 변이(SNP)는 실험실적으로 PRRS 바이러스에 감염시킨 돼지의 혈중 바이러스양 및 증체 효율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Boddick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