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이상육으로 인한 농가의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대부분 주사(접종)에서 비롯됩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상육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약제 사용을 피합니다. 가급적 주사 횟수를 줄입니다. 주사침의 경우 반드시 인체용이 아닌 동물전용을 사용하고, 돼지 성장단계별 적정 규격(직경, 길이)을 따릅니다. 올바른 접종 부위에 주사기와 피부가 수직이 되도록 주사합니다. 이때 서두르지 않습니다. 관리자에 대한 정기적인 교육도 요구됩니다. ▶영어 자막 ▶캄보디아어 자막 ▶네팔어 자막 ▶태국어 자막
[본 콘텐츠는 다비육종의 기술정보지 '다비퀸 2023년 4월 봄호'의 일부이며 다비육종의 허락 하에 게재합니다. -돼지와사람] 최근 아프리카돼지열병의 예방차원으로 8대방역시설 등 농장의 차단방역 및 위생관리가 강조되는 시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년 돼지유행성설사(PED)에 의해 피해를 겪는 농가가 발생하고 있다. 실제로 농가를 진료하며 경험한 돼지유행성설사(PED)에 관한 농가 사례 및 관리 방안을 공유하고자 한다. 1. 돼지유행성설사(PED)의 국내 발생 현황 PED는 2014년도 이후 대략 3~4년 주기로 발생건수가 증가하며, 18,19년도에 높은 발생건수 이후에 다시 22년도에 발생건수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또한 월별 발생건수를 보면 주로 1월~4월에 높은 발생률을 보이며, 그 외의 계절에도 꾸준히 발생을 보이고 있다. 2. 돼지유행성설사(PED)의 특징 및 증상 돼지유행성설사(Porcine epidemic diarrhea)는 니도바이러스목(Nidovirales order), 코로나바이러스과(Coronaviridae family), 알파코로나바이러스속(Alphacoronavirus)으로 분류되며, 바이러스 감염 질병이다. 바이러스는 주로 분변-구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