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ME-SA/Ind-2001e 구제역 바이러스은 최근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서 유행하고 있는 대유행 변종입니다. 2023년 5월, 이 바이러스는 대한민국으로 확산되어 청주와 증평에 위치한 소와 염소 농장에서 11건의 발병이 확진되었습니다. 감염된 동물은 침흘림과 식욕부진을 동반한 수포성 병변 등 전형적인 구제역 증상을 보였습니다. 분자 진단 검사 및 유전자 분석(VP1 염기서열 분석) 결과, 구제역 바이러스는 O/ME-SA/Ind-2001e 계통에 속하며 몽골 및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수집된 바이러스와 가장 가까운 염기서열(97.95-99.21%)을 공유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계통학적 분석 결과, 이러한 염기서열은 2019년에 발생한 이전 국내 O/ME-SA/Ind-2001e 계통 발생에서 수집된 염기서열과 구별되는 것으로 나타나 이번 사례가 국내로 새로 유입된 바이러스에 의한 것임을 입증했습니다. 항원적으로 일치하는 혈청형 O형 백신(r1 값: 0.74-0.93)을 이용한 긴급 백신 접종을 신속히 실시하고 감염 농장 주변 농장에 대한 집중적인 예찰을 통해 구제역의 추가 확산을 성공적으로 방지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최근의 구제역 발생은 구제역의 국내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PRRS) 바이러스는 한국 양돈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병원체이다. 차단방역 및 백신 접종 프로토콜 개선 등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바이러스는 계속 순환하고 진화하고 있다. ORF5의 계통학적 분석에 따르면, 한국의 PRRS 바이러스는 전 세계적으로 순환하는 리니지(lineage; 계통)뿐만 아니라 국가별 리니지(Lin Kor A, B, C)도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국내 PRRS 바이러스의 역학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2014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 분리주 총 1349건의 ORF5 염기서열을 분석했다. 최대확률법을 이용하여 계통발생학적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계통의 상대적 유병률의 시간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조사 대상 연도 내내 PRRS 바이러스 1형(유럽형)과 PRRS 바이러스 2형(북미형) 모두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PRRS 바이러스 1형 분리주 중 'subgroup A(90.1%)'와 '백신 유사 subgroup C(9.0%)'가 개체군의 대부분을 구성했다. PRRS 바이러스 2형 분리주의 경우, '백신 유사 리니지 5(36.3%)'가 가장 많았고, 이어서 'Lin Kor B(25.9%)', 'Kor C(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