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7월경 경기도 소재 모돈 250두 규모의 일괄생산농장에서 모돈의 20%가 폐사하는 사례가 발생하였다. 검사 결과 ASF는 아니었다. 그 시기에 한참 유행 하고 있던 'NADC34 유사 바이러스(NADC34-like PRRS, 북미형, 강독형 PRRS)'가 원인이었다. 농장상황 해당농장은 모돈의 20%가 폐사하고 유산율은 50% 이상을 기록했다. 자돈에서는 약 50%의 폐사율을 보였다. 농장에서는 PRRS 백신, 면역요법, 디팝 등의 여러가지 노력을 기울였다. 그 이후 다행히 모돈들의 번식성적은 비교적 안정이 되었으나 자돈 폐사율은 여전히 50%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상황이었다. 2024년 4월에 필자가 방문하였을 당시, 농장에서는 폐쇄돈군(Herd closure) 운영으로 PRRS를 안정화시키고 있는 상황이었다. 모돈의 번식성적은 수태율 90%, 분만율 85%, 모돈 두당 평균이유두수 10두로 일반적인 번식성적을 유지하고 있었다. 다만, 3주령 이유부터 10주령까지 약 40%의 폐사와 약 10%의 위축돈 발생으로 인해, 매월 400두를 이유하지만 200두 이상의 도폐사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가장 먼저 농장의 현재 상황
가장 널리 알려진 돼지 파보바이러스는 '돼지 번식장애증후군(reproductive failure syndrome)'의 주요 원인인 porcine parvovirus(PPV1)입니다. 번식장애증후군은 이른바 'SMEDI(사산, 미이라화된 태아, 조기 배아 사망, 불임)'로도 불립니다. 최근 유럽에서는 '27a 유사 균주( 27a-like strain)'라고 불리는 PPV1의 새로운 우점 균주가 등장했는데, 이 균주는 기존 백신 균주에 의한 중화가 잘 안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내 돼지에 27a 유사 균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PPV4는 2005년 미국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소 파보바이러스 2와 같은 copiparvovirus에 속합니다. PPV4 감염은 돼지에서 지속될 수 있지만 병원성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상업용 돼지 농장에서 순환하는 돼지 파보바이러스 PPV1과 PPV4의 거의 완전한 게놈 서열을 확보하여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PPV1의 premature stop codons과 PPV4의 frameshift mutations 등 숙주 변화의 전조일 수 있는 중요한 돌연변이가 관찰되었습니다. 아울러 기존 상용 백
한국엘랑코동물약품(대표 정현진)의 PRRS 백신(제품명 프리배선트 PRRS 생독, 이하 프리배선트)이 지난달 22일 농림축산검역본부로부터 최종 품목 허가를 받은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프리배선트'는 엘랑코 백신연구소가 개발한 첫 양돈백신입니다(관련 기사). 'SD11-21주(리니지1)'를 항원으로 하는 약독화 PRRS 생독백신입니다. 2주령 이상의 자돈뿐만 아니라 후보돈, 경산돈에 1회 1ml 근육 접종을 통해 PRRS에 의한 호흡기·생식기 임상증상을 완화하고 바이러스혈증을 감소시키며, 부가적으로 증체율을 개선할 수 있는 등의 효능을 인정받았습니다. 엘랑코에 따르면 접종 부작용도 낮고 접종 후 26주간 면역이 지속됩니다. 프리배선트는 일선 현장수의사가 최근 주목하고 있는 그리고 빠른 국내 도입을 기다리고 있는 PRRS 백신입니다. 이유는 '리니지1(Lineage 1)' PRRS 바이러스에 특화된 예방 백신이라는 점 때문입니다. 리니지1 바이러스는 우리나라에서 리니지5와 리니지8, Kor 리니지 A, B, C 바이러스 등과 함께 대표적인 북미형 PRRS 바이러스 그룹 중 하나입니다. 중국, 미국에 이어 국내에서도 커다란 경제적 피해를 유발하고 있는 'NADC
'NADC34 유사 PRRS 바이러스(PRRSV)'는 2018년부터 중국에서 널리 퍼진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현재까지 중국 내 10개 이상의 성으로 확산되었다. 모돈의 심각한 유산과 자돈의 높은 폐사율을 유발하여 중국 양돈산업에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그러나 실험적 감염을 통해 평가된 'NADC34 유사 PRRSV'의 병원성은 거의 조사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 바이러스 균주의 병원성을 연구하기 위해 2021년 장쑤성에서 분리된 중국 'NADC34 유사 PRRSV'인 'JS2021NADC34 PRRSV'로 돼지를 감염시켰다. 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돼지는 발열이 지속되고 체중이 감소했으며 이환율과 폐사율이 높았다. PRRSV 특이적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해 바이러스 단백질을 검출한 결과 간질성 폐렴, 림프구 고갈, 급성 출혈, 림프구 내 호중구 침윤 등의 조직병리학적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JS2021NADC34 PRRSV가 돼지에게 매우 병원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중국에서 가장 최근에 등장한 PRRSV 균주이므로 NADC34 유사 PRRSV의 유병률과 병원성을 추가로 조사할 필요가 있다. [논문 원문(바로보기),
지난 20일 한국베링거인겔하임동물약품 주최의 'PRRS College' 행사에서 단연 화제는 고병원성 특징을 가진 'NADC34 유사 바이러스'였습니다. 이날 행사에서 전북대학교 김원일 교수는 'NADC34 유사 바이러스'라고 부르는 PRRS 바이러스가 우리나라에서도 확인되었다며 차단방역 강화와 함께 정기적인 PRRS 모니터링을 당부했습니다(관련 글). 김 교수는 "현재 (미국이나 중국 등) 전 세계적으로 높은 폐사율과 (경제적) 피해를 일으키고 있는 NADC34 유사 바이러스가 국내 경기와 충청 지역에서 검출되었다"라며, "농장 정보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밝힐 수 없지만, 대부분의 경우 높은 유산, 이른바 유산 폭풍 수준의 유산율과 어린 연령의 자돈 폐사가 발생하였다"라고 밝혔습니다. 행사 이후 김 교수는 돼지와사람과의 통화에서 "지금까지 NADC34 유사 바이러스가 확인된 농장 사례는 모두 4건"이며, "일선의 적지 않은 농장에서 비슷한 피해를 겪고 있는 것으로 듣고 있어 바이러스 확산 정도는 훨씬 심각한 것으로 생각한다"라고 말했습니다. 실제 발생농장의 피해 정도는 한 현장수의사로부터 간접적으로 들을 수 있었습니다. 그는 "10% 이상의 유산율과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