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콘텐츠는 다비육종의 기술정보지 '다비퀸 2025년 7월호'의 일부이며 다비육종의 허락 하에 게재합니다. -돼지와사람] 농장에서의 ‘이각(耳刻)’은 오랜 시간 동안 개체 식별을 위한 주요 수단으로 활용되어 왔다. 생후 며칠 되지 않은 자돈의 귀에 V자 형태의 절개를 가하는 방식은 빠르고 간단하지만, 이로 인해 발생하는 생애 첫 외상이 자돈에게 주는 생리적·면역학적 스트레스는 그동안 간과되어 왔다. 생후 1주 이내 자돈은 매우 민감한 시기로, 이 시기의 외상은 면역력 저하, 식욕 감소, 성장 지연 등 생산성 저하로 직결될 수 있는 문제들을 유발한다. 특히, 이각은 단미, 거세 등과 함께 시행되는 경우가 많아 복합적인 스트레스를 야기하며, 이는 명백히 동물복지에 대한 부담 요소다. 이러한 인식은 세계적인 기준에서도 변화의 흐름을 만들고 있다. 유럽 일부 국가에서는 이각을 법적으로 금지하고 있으며, 국제 동물복지 인증에서도 대체 식별 수단 도입을 권장하고 있다. 국내 역시, 동물복지를 고려한 농장을 지향한다면 기존의 이각 방식에 대한 재검토와 함께 보다 적절하고 지속가능한 개체 식별 방법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 ◈ 다비육종의 변화 : 이각에서 이표로 다비육종
[본 콘텐츠는 다비육종의 기술정보지 '다비퀸 2024년 5월호'의 일부이며 다비육종의 허락 하에 게재합니다. -돼지와사람] 양돈장에서 이각은 돼지를 식별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으로 뽑힌다. 국내 종돈장에서 이각이 없는 돼지는 후보돈으로 판매가 불가능한 비육돈으로 취급되고 있으나 최근 해외 돼지들에서는 이러한 이각을 찾아볼 수 없다. 태그가 이각을 대체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전자태그로 불리는 RFID태그가 장착된 돼지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양돈 산업에서 RFID태그는 오랫동안 대두되던 화제였으나 비용과 시스템의 부재 등으로 실제 적용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최근 해외의 양돈 산업에서 RFID태그는 수많은 ICT 장비들의 기본 설정값으로 적용되며 더불어, 동물복지법으로 인한 이각이 제한되는 국가들의 해결책으로써 활약하고 있다. 이러한 트랜드에 발맞춰 가기 위해서 다비 육종은 오랜 기간 RFID태그 장착 테스트를 마치고 현재 단계별로 적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원고를 통하여 RFID 태그의 활용성과 적용방안에 대해 설명하려 한다. 1. RFID 태그 활용 배경 - 중복 번호 기존 이각에는 휴먼 에러로 인하여 중복이각이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