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 구강추출액 검사(oral fluid test)'는 많은 실증 연구를 통해 검증된 그리고 효과적인 돈군 질병 모니터링 방법입니다. ASF, 구제역 등 특정 질병 원인체 유무를 검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RS, PED 등 질병의 순환 양상을 모니터링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구강추출액은 구강 내부에 존재하는 액체입니다. 돼지 타액뿐만 아니라 임파선액, 돈방 환경시료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면사 줄을 이용해 쉽고 빠르게 추출할 수 있습니다. 기존 혈액을 통한 검사 방법과 비교해 노동력·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돼지 관점에서 동물복지 친화적입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수의사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편집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국내 양돈업의 생산성은 선진국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다. 생산성 정체의 가장 큰 원인은 가축관리 미흡, 가축질병 발생으로 인한 높은 폐사율 때문이다. 이러한 부분을 조기에 진단하여 생산성 저하를 높이기 위해서는 평소 돼지의 스트레스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해외양돈업과 다르게 국내양돈업에서는 평시에 개별농가 현장에서 길러져 납품되고 있는 돼지의 바이오마커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않았다. 또한 돼지의 질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혈액분석법 대신 로프를 이용해 채취한 타액 내 바이오마커 농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농장에서 길러지고 있는 돼지들의 스트레스 수치를 정량화하였다. 돼지 스트레스의 표지가 되는 바이오마커를 네 가지(α-amylase, CRP, IgA, cortisol) 선정하여, sandwich ELISA 방법과 competitive ELISA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고, 스트레스 조건은 수정 스트레스와 공기정화에 의한 스트레스 두 가지 요인을 보았다. 모돈의 수정 스트레스의 경우, IgA는 급성 염증 바이오마커인 CRP와 유사한 경향성을 보였고 면역력을 나타내는 IgA는 수정 진행 후 면역력 수치가 올라갔다가 내려오는 것을 알
PRRS 컨트롤을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모니터링입니다. 내 농장에 어떤 바이러스가 어느 구간에 문제를 일으키는지를 파악해야 바이러스와의 싸움에서 승리할 수 있습니다. 모니터링에는 혈액을 이용한 방법이 대표적인데 채혈 과정에서의 부작용(노동, 스트레스)과 검사에서의 검출 한계가 있습니다. 최근 이를 대신해 고환액 및 타액 등을 통한 검사 방법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폐사한 자돈의 '혀 끝' 샘플을 이용한 검사도 있는데 민감도가 높아 효과적인 진단 툴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PRRS 수직감염으로 인해 폐사율이 많은 농장에서는 자돈백신 적용을 고려합니다. 정리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본 연구는 국내 PRRS 양성 농장들에서 사육단계별 돼지로부터 채집한 개체별 혈액과 돈방 단위 구강액 시료 사이의 PRRSV(PRRS 바이러스)와 PRRSV 특이 항체 진단 결과를 비교하여 오랫동안 진단 시료로 이용한 개체별 돼지의 혈액을 돈방단위 구강액 시료로 대체 가능한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최근 1년 이내 PRRSV 감염 경력이 있는 5농가를 선정했다. 각 농장의 사육단계별(6주, 9주, 12주, 16주, 후보돈) 가장 작은 체중을 보이는 1개의 돈방을 선정하고, 5두씩 25두(전체 125두)의 돼지 혈액과 멸균된 면 로프를 이용하여 1개씩 5개(전체 25 개)의 구강액 시료들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검사 결과 개체별 혈액의 항체 양성률은 68.8%(86/125)로 나타났고 돈방 단위 혈액의 항원 양성률은 44.0%(11/25), 항체 양성률은 80.0%(20/25)를 보였다. 돈방 단위 구강액의 항원 양성률은 40.0%(10/25), 항체 양성률은 84.0%(21/25)로 나타났다. 돈방 단위의 구강액 시료를 이용한 항원, 항체 검사는 혈액과 거의 동일한 수준의 양성률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PRRSV 감염이 토착화된 국내 농장들에서 구강액 시료는 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