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충북에서 열린 '제21대 대한한돈협회장 선거 후보자 합동소견발표회'에서 후보자들은 농촌 공간 정비 사업과 재건축 관련 농가 피해 문제를 핵심 현안으로 다루며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충북을 포함한 일부 지역 농가는 농촌 공간 정비 사업 대상에 포함되거나 지자체 재건축 허가 제한으로 인해 이전, 폐업 압박과 시설 노후화 문제를 동시에 겪고 있습니다. 이에 후보자들은 농가 보호와 합리적 보상, 법적 지원 방안을 공약으로 내세웠습니다.
기호 3번 한동윤 후보는 “농촌 공간 정비 사업 대상 농가는 버티기 어렵다”며, “지역에 따라 현대화하거나, 냄새 방지 시설을 갖춘 농장도 정비 대상이 되면, 주민 민원과 행정 절차로 어려움을 겪는다. 이전할 부지가 부족하고, 폐업 시 보상 체계도 미흡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재건축 문제와 관련해 “화재나 노후화로 재건축을 원해도 지자체 허가가 제한돼 현장이 막혀 있다. 재건축이 원활한 지역을 벤치마킹하고, 중앙회 차원의 법률적 대응으로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기호 2번 이기홍 후보는 “중부 지역 농가가 정비 사업으로 가장 큰 피해를 보고 있다”며, “농가가 개별 소송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도록 방치하는 대신, 협회가 예산과 전략을 마련해 대행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재건축 문제와 관련해서는 “지자체 권한이 과도하게 위임돼 농가가 개인 대응을 하기 어렵다. 냄새 저감 시설과 현대화 조건을 갖춘 농가는 증축 허가를 받을 수 있도록 조직적 대응과 벤치마킹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기호 1번 구경본 후보는 “농촌 공간 정비 사업과 재건축 문제는 개별 농가가 대응하기 어려운 사안”이라며, “지부와 소통 시스템을 구축하고, 완료 사례를 백서로 정리해 공유하며, 피해 농가는 지자체 차원의 보상을 받도록 하겠다. 필요 시 대체 부지를 마련해 청년 한돈 농가가 안정적으로 이어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재건축과 관련해서는 “미래 한돈 연구소에 재건축 민관학대책반을 만들어 중앙정부와 지자체를 연결하는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세 후보 모두 농촌 공간 정비와 재건축 문제를 농가 권익과 직결된 핵심 과제로 인식하고, 중앙회·도협의회와의 협력, 법률 지원, 보상 체계 마련, 대체 부지 확보 등 구체적 대응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후보자들은 이를 통해 충북 한돈산업의 안정적 발전과 농가 보호를 실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한편 제21대 대한한돈협회장 선거 도별 후보자 합동소견발표회는 26일(금) 한돈협회 이천지부에서 열리는 경기지역 일정을 끝으로 마무리됩니다(연천 ASF로 연기). 투표는 오는 10월 14일 BMK웨딩홀(대전 소재) 제57차 임시총회에서 실시 예정입니다. 선거인명부에 등록된 216명의 선택으로 차기 회장이 최종 결정됩니다.
이근선 기자(pigpeople100@gmail.com)